|
능력으로 나누어 보고 있는데, 지적 도야 이론은 이 중 지적 능력에 대해서만 고려한 것이라고 보인다.
참고문헌
* 김응태· 박한식· 우정호,수학교육학개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84
* 이달우, 형식도야이론의 교육원리, 공주대학교 교육연구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3.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3부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 제9장 교사의 수업 전문성
제3부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 제10장 학교 교육과정
제4부 교육과정의 쟁점과 연구과제 : 제11장 교과교육학
제4부 교육과정의 쟁점과 연구과제 : 제12장 교육과정 연구의 영역과 과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육학적 해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2
6. 최진덕,“주자의 中和新說과 敬의 공부론,” 철학연구회,『철학연구』, 제51집, 2000, 21-43쪽. 1. 들어가며
1-1. 마음의 중층구조
1-2. 교과의 내면화로서의 마음
1-3. 형식도야이론과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07.06.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양에서의 교육의 정의
7.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성에 따른 정의
1) 우드워스의 이론
2) 폭주설(스턴)
3) 체제설
8. 교육의 형태에 따른 정의
1) 듀이의 의도성에 따른 분류
2) 크리크의 교육의 3요소에 의한 분류
Ⅵ. 결 론
-참고문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5.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육학 상>, 마이쌤, 2008, p.172~175.
조화섭, <조화섭교육학 上>, 혜담, 2006, p.336~337.
탁영진, <알기쉬운 탁영진교육학 ①>, 탁설닷컴, 2006, p.155~157. 1. 생애와 활동
2. 교육사상
3. 교육론
4. 형식도야이론
5. 빈민교육론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5.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육학개론, 재동문화사, 2003.
5. 이홍우, Bruner 지식의 구조, 교육과학사, 1998.
6. 권낙원, 교수방법, 원미사, 2001.
7. 변영계, 교수학습이론의 이해, 학지사, 2001.
8. 김재현, 브루너(J.Bruner) \'지식의 구조\'에 대한 탈구조주의적 비판, 영남대 대학원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600원
- 등록일 2012.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지고 있는 개념을 활용하여 수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것으로 어떻게 보면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이전 개념에 대한 새로운 학습으로의 전이로 볼 수 있다. 1. 전이 이론에 대해서
2. 전이의 유형
3. 전이를 촉진하는 교수 전략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6.07.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육학이 교육에 대한 이론적인 체제를 이루고 있으면서 그 관점의 체제아래 있음으로 인하여 듀이에 대한 많은 비난과 비판이 끊임없이 이어졌다. 더구나 듀이는 형식도야이론과 역차적 교육이라는 관념에 근거하여 교육에 대한 이론과 실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06.0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론적 이해의 여지가 있다는 점을 간과한다.
- 중략 - 제1장 학문적 탐구로서의 교육과정 및 평가
제2장 형식도야이론
제3장 지식의 구조
제4장 지식의 형식
제5장 실물교육
제6장 교육방법으로서의 간접전달
제7장 성리학의 심법
제8장
|
- 페이지 4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7.14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식 중시
② 사회적 가치 중시 본성과 흥미 중시
③ 교사의 통제 강조 학습자의 자유 강조
④ 전통 중시 변화의 중요성 인정
① 보기의 가)는 본질주의, 나)는 진보주의에 관한 내용이다. 본질주의와 진보주의는 서로 비교해서 알아두어야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5.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