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松江歌辭)》에 실려 전하며, 1656년(효종 7)에 나온 《경민편언해(警民篇諺解)》에도 수록되어 있다. 1. 강호사시사 - 맹사성
2. 강호사시사에 대해서....
3. 강호사시사의 이해와 감상
4. 훈민가(訓民歌)
5. 훈민가에 대해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3.10.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가>의 보편적 의미
(1). 훈민가 본문 및 현대어 풀이
아바님 날 나시고 어마님 날 기시니,
두 분 곳 아니시면 이 몸이 사라실가.
하 업 은덕을 어 다혀 갑오리. (제1수)
아버님께서 나를 낳으시고 어머님께서 나를 기르시니
두 분이 아니었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5.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가>, 훈민가는 警民篇에 수록, 전국으로 보급
④17세기부터 창작되지 않게 된 것은 鄕約보급 등 사림들의 향촌사회 교화가 일반화 되면서 관 주도식 훈민의 효용성 약화
⑤ 학동들을 교화하기 위한 작품; 분천강호가(汾川講好歌), 대학
|
- 페이지 53페이지
- 가격 3,800원
- 등록일 2008.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강호사시가(江湖四時歌)\'로 보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주세붕의 \'오륜가(五倫歌)\', 이황의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이이의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 정철의 \'훈민가(訓民歌)\', 윤선도의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등이 있다.
※ 시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8.0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조의 변천과정과 작품 감상
2-2. 조선전기 기녀 시조
Ⅲ. 맺음말
참고문헌 및 논문
Ⅰ. 머리말
우리 문학사에서 시조(시조)는 조선조의 대표적인 시가이자, 사대부의 시가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시조의 정의를 이태극은 “보통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7.1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