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넉을, 닭을 닿을·닥을·달을, 흙을 흥을·흑 을·흘을
마. 동사어간과 부사형어미 \'-아\' 가 합쳐질 때의 현상
서남지역에서는 어간이 \'-아\'의 모음조화가 잘 지켜지지만 두 음절이 넘을 때에는 언제나 \'-아-\'만 실현
받아도, 보아도, 믿어도,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류된다. 조규익, \"선초악장문학연구\", 숭실대학교출판부, 1990, p.252.
명칭에서 쉽게 알 수 있듯이, 이는 악장이 어떠한 연원에서 생성되었는지를 중심으로 한 분류이다. 그만큼 악장의 생성은 다양한 장르와의 관련 속에서 이루어졌음을 알 수
|
- 페이지 6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9.03.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체계와 모음조화에 대한 반성」, 『어학연구』 14.2, pp. 37-65.
송원용(2000), 「현대국어 임시어 형태론」, 『형태론』 2.1, pp. 1-16.
이기백(1973), 「한국사의 보편성과 특수성」, 『이화사학연구』 6, pp. 7-25.
홍재성(1999), 「기능동사 구문 연구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0.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체계와 모음조화에 대한 반성, “어학연구” 14-2,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pp. 37-65.
송원용(2000), 형태론 2-1, pp. 1-16, “현대국어 임시어 형태론”.
小倉進平, 1931, \'濟州道方言\', 靑丘學叢 5, pp. 36-89.
고영근, 북한의 문법연구와 문법지식,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2.07.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과 관련된 음운 현상
- 모음조화 (Vowel harmony)
한국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의성어나 의태어는 모음에 따라 어감이 상당히 다르다. 대략적으로 말하자면, 모음 ‘아’나 ‘오’는 작고 밝은 느낌을 주는 반면 모음 ‘어’나 ‘우’는 크고 어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7.09.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조화
전남지역에서 일음절 어간에 어미가 결합되었을 때에 모음조화의 양상을 보여준다. 전남지역에서 어휘에 따라 모음조화의 실현양상이 상당히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다. ‘삶-’의 경우 전남 전 지역에서 ‘아’를 선택하지만, ‘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0.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조화현상
모음조화현상에서
약화된 것이 적음
모음조화현상에서
약화된 것이 많음
삽입모음사용
규 칙 적임
불 규칙적임
자음 동화
자음이 동화된대로
기록된 것이 비교적적음
자음이 동화된 대로
기록된 것이 많음
현 전 본
1,2,4,12권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6.1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이므로 모음조화에 따라 ‘-아’가 쓰여 ‘하아’로 되 는 것이 규칙활용이지만, 실제는 ‘-여’가 쓰여 ‘하여’가 된다. 이와 같은 현 상을 “여 불규칙활용”이라 합니다.
‘하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게, -고, -지’와 결합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조화 현상은 일찍 파괴되어있으며 중세어에서 이미 아주 문란하였다고 지적한다. 그들은 현대 한국어에 이르러 어간과 부가 성분 사이에서 뿐만 아니라 어근 내부에서도 양성모음과 음성모음이 혼동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들은 중세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6.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말한다. 터키어에서 가장 잘 지켜지며, 국어의 경우도 15세기 중엽의 모음조화가 현대 국어보다는 그 체계가 정연했다. ② 어두에 자음군이 오지 못한다. 어두음 제약의 일종으로 한국어의 경우 한 때 자음군으로 판단되는 요소가 나타나기도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4.0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