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악이 바뀌고 있다&국악을 방송에 담다, 민속원
6. 풍남(1994), 알기 쉬운 국악개론 Ⅰ. 개요
Ⅱ. 국악기(한국전통악기) 태평소
Ⅲ. 국악기(한국전통악기) 해금
Ⅳ. 국악기(한국전통악기) 편경과 특경
1. 편경
2. 특경
Ⅴ. 국악기(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0.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전통악기(국악기) 단소
Ⅲ.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장고(장구)
Ⅳ. 한국전통악기(국악기)의 훈과 부
1. 훈
2. 부
Ⅴ. 한국전통악기(국악기) 태평소
Ⅵ. 한국전통악기(국악기) 비파와 해금
1. 향비파
2. 당비파
3. 해금
Ⅶ. 한국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5.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도 했으나 오늘날에는 뚜껑을 벗겨 받침으로 사용하여 연주자의 정면 바닥에 악기를 놓고 오른손의 채로 쳐서 소리를 낸다.
Ⅶ. 전통악기(국악기, 한국전통악기) 꽹과리
꽹과리는 농악과 무악 따위에 사용하는 타악기의 하나로써 놋쇠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 쉬운 악기였다.
Ⅵ. 국악기(한국전통악기)와 신디사이저
국악기 신디사이져의 제작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국악이라는 음악에 맞게 제작하는 것이다. 그래서 국악음계를 써서 제작하였다. 비록 우리가 만든 신디사이져는 전문적이지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02.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통리듬악기를 이용하여 장단을 치도록 한다.
(5) 변형 장단을 만들어 구음하며 신체 표현해 보도록 한다.
Ⅵ. 한국전통음악(국악) 장단지도의 정간보
1. 휘모리 장단(이채)
휘모리 장단 ①
○
○
덩 덩 쿵 딱 쿵
휘모리 장단 ②
○
덩 다다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의 전통악기
1. 타악기
한국 악기 가운데서 가장 많은 종류를 가지고 있는 것이 타악기이다. 타악기는 전부 32종이나 되고 그 중 북 종류만도 18종에 이른다. 이들은 현재 국립국악원에 모두 보존되어 있다.
2. 편종
16개의 종을 두 단으로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4.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금 2,의 악기편성에 의하여 연주되었다고 하나 지금은 사용되지 않고 있다.
Ⅸ. 국악기(한국전통악기)와 신디사이저
국악기들의 음을 주파수 분석한 결과 각 악기마다 파형의 모양과 주파수들이 많이 달랐다. 파형의 모양을 보면 가야금과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태평소는 호적이라고도 한다. 원래 이 악기는 회족이 즐겨 쓰던 악기였는데 고려 말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왔으며 주로 군중에서 사용되었다. 현재에는 불교음악, 농악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Ⅶ. 국악기(전통악기)의 포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악인(한국전통음악인)
국악연주단체에서 활동하는 기악연주가는 국악 실내악단관현악단의 단원으로 활동하면서 관악기, 타악기, 현악기 등의 국악기로 정악민속악 등의 전통국악을 연주하거나 신국악, 즉 창작국악을 합주하며 정기비정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악인(한국전통음악인)
국악연주단체에서 활동하는 기악연주가는 국악 실내악단관현악단의 단원으로 활동하면서 관악기, 타악기, 현악기 등의 국악기로 정악민속악 등의 전통국악을 연주하거나 신국악, 즉 창작국악을 합주하며 정기비정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3.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