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약진 운동을 ‘오이로 징을 두드리는 격’이라고 비유했다. 또한 루산에서 소그룹 회의를 시작하기 앞서, 사오산을 방문한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 했다고 한다.
마오는 펑더화이의 편지를 대량으로 복사해 150명의 현직 간부들에게 보내었다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약진 운동 시작
1959년 루산회의
1960년 식량위기(약 천오백만명 아사)
1961년 베트남전쟁 미군 개입
1962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
1964년 원자폭탄 실험 성공
1966년 문화 대혁명 시작(모택동 홍위병과 접견)
1969년 유소기 옥사,중-소 무력 충돌
1971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6.0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루산회의의 공식성명은 대약진의 실패를 솔직히 시인했다. 하지만 대약진 운동을 부활시키기로 했으며 인민공사의 유효성과 실행 가능성을 재확인 했다. 1959년 가을과 1960년 겨울, 루산에서 마오가 거둔 정치적 승리는 속빈 강정이었음이 명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6.0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全國人民代表大會
16. 우리나라와의 외교수립일: 92.8.24 대약진운동(大躍進運動)
문화대혁명 (문화대혁명)
16차와 강택민의 3개대표론
중국공산당 전국대표회의
▣ 중국공산당 전국대표회의
♣ 중국공산당 제16차전당대회 설명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약진운동의 실패를 자인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에 중국공산당은 뒤틀린 국가경제정책을 바로잡기 위한 노력을 하게 된다. 그중에 주목할만한 것은 바로 1962년 1월에 “7000인 대회”로 알려진 대규모 중앙위원회 확대회의를 개최하고 대약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6.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