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산의 경우에는 도품 및 유실물에 대한 특칙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견해도 있다. 김상용, 물권법, 법문사 2000, 230면
Ⅳ. 결론
위와 같이 게르만법상의 동산소유권 보호 제도와 현행민법상의 동산소유권 보호 제도는 서로간에 미세한 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었으며 그 반사적 효과로서 습득자는 소유권을 취득하였다.
3. 중세법상의 동산소유권 보호제의 변천
고대에서 중세를 거치는 동안 점유상실의 원인에 따른 동산소유권보호제의 내용에는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게 되었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산소유권의 양도에는 점유의 이전, 즉, 인도가 필요하다.
VII. 結論
위에서 언급한 우리 민법의 규정들을 살펴보면, 현행민법이 독일고유법상의 법적 요소와 로마법의 법적 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로마법의 계수에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호규정이 소유권에 의해 그 한계를 가짐으로써 소유권을 보호한다. 결과적으로 이는 모두 소유권자의 보호에 그 목표가 있다고 하겠다. 그런데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앞서 설명한 것들은 모두 동산 소유권에 해당하는 것으로, 부동산 물권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유권의 개념에 전면적배타적 지배권을 부여함으로써 소유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하는 것 이외에 소유권의 최대한의 보장을 위한 소유권의 보호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로마법에서의 소유권의 보호에 대한 시민법상의 보호방법과 상린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3.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