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자학이외에 중국과의 외교와 문물제도정비에 필요한 詞章學과 훈고학등이 원용되기도 하였다. Ⅰ. 고려후기 사회
1. 元의 간섭과 정치체제의 변동.
. 정치세력의 재편
Ⅱ. 고려후기 개혁정치의 전개와 그 성격
<고려후기 개혁정치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희의 지식론이 가지고 있는 약점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자신의 밖에서 이치를 구하는 것은 동양철학의 이해의 강의 중 순자의 이론과 닿아있다는 느낌을 준다. 도덕적 주체성을 중시한 맹자의 성선설을 계승한 주자는 성즉리설(性卽理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를 내성(內聖)이라 한다. 즉 이윤과 안연을 목표로 한 외왕내성을 선비의 이상으로 제시하였다. 1. 주돈이
2. 주돈이의 사상
3. 장재
4. 장횡거의 사상
5. 정호
6. 정호의 사상
7. 정이
8. 정이천의 사상
9. 주희
10. 주희의 사상
11.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06.24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희와 도교-주자학 성립의 계기를 통해 본 유교, 도교 사상의 교차점\', 『종교학연 구』,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1997.
정륜, \'도가의 생명존중 사상\', 『범한철학』, 범한철학회, 2004. Ⅰ. 서론
Ⅱ. 본론
1. 연암의 노장사상 수용양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희, 유학의 체계를 바꾼 성리학의 완성자, 이상은, 상지대학교, KIC News, Volume23, No.5, 2020.
한국 주자학 연구의 두시선, 강경현, 2018, 한국학연구 제49집, pp.11~40.
거경(居敬)과 궁리(窮理):퇴계와 율곡의 철학적 차이에 관하여, 허남진, 인제대학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4.0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자학과 공통점은 있으마 주자학이 실천에서 \'외\'의 공부를 중시하면서 예학의 완성과 새로운 규범의 확립을 지향하는 경우 이기이원론과 \'성즉리\'설은 활발하고 자유로운\'심\'을 자칫 규범과 관습에 의해 다시 구속하고 그 객관 타당성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0.03.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론적 철학 중에서 가장 뛰어난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는 심즉리(心卽理)라고 주장하였는데, 여기서 심(心)은 나의 본심을 의미하는 것으로, 나의 본심은 곧 리(理)다. 라고 했다. 여기서 본심이란, (주자의) 사단지심(측은지심, 사양지심, 시비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자만년정론과 함께 다시 말하지 않아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④왕양명은 40세가 되던 해 그는 드디어 육상산의 학리를 특징짓는 ‘이간’‘각’‘존덕성’‘허’ 등은 ‘불교의 것’이라고 비판한 관학파들에게 자신의 견해를 아래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론의 발달사』. 이경용·김동노 역. 한울
아카데미. Ⅰ. 문제 제기
Ⅱ. 현대 사회학의 사회관
1. 개체 중심적 관점
2. 전체 중심적 관점
3. 양자의 공동 기반
Ⅲ. 동아시아 사상의 통일체적 세계관
1. 유가의 통일체적 세계관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론은 출분히 타당한 것이었다.
2. 이황의 입론 근거
앞서 살펴본 것처럼 사단과 칠정을 각각 리화 기에 분속시키는 것이 이황의 입장이다. 그뿐만 아니라 그는 주희가 인정하지 않았던 리의 작용을 인정하고 있다. 이황의 이와 같은 주장이 성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3.05.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