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학언해와 번역소학
- 소학언해의 해석 및 설명 (강독)
- 번역소학의 해석 및 설명 (강독)
- 소학언해와 번역소학의
언어학적 관점에서의 표기상의 비교
《소학언해(小學諺解)》
* 연대 : 중종 12년(1517)에 홍문관에서 \'번역 소학\' 10권을 간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12.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학언해 小學諺解≫(1587)가 간행되기 이전에 간행된 것으로 추측되나 확실한 것은 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그 번역이 15세기에 주로 불경(佛經)의 언해에서 수립된 직역(直譯)의 전통을 따르지 않고 의역(意譯)을 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5.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번역소학’에서는 ‘술와 져와’과 같은 중세적 용례가 많이 발견되지만, 16c 말의 ‘소학언해’에서는 ‘술와 져’로 고쳐져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로 보아 이러한 변화는 중세 말기에 일어난 것임을 알 수 있다.
2
원문/해석
여슷 찻 (여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0,000원
- 등록일 2025.07.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번역하는 것이다. 역과에서는 경국대전을 책을 펴놓고 번역하게 하였으며 천문학 시험에서는 七政算內外篇과 文食推步假令의 算과목을 부과하였다.
특별시험
성균관 학생들에게는 각종 특별시험이 부과되었는데 이러한 시험에 합격한 사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석하는 것(천자문,소학)
②제술(製述)
오언절구, 칠언절구,사율,고풍십팔시 등의 글짓기
③습자(習字)
글씨를 익히는 것으로 해서-행서-초서를 가르침
5)서당의 교육방법
①개별교수법+주입식암기식
②강독의 순서: 한자를 가르침->음독이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8.1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번역소학(飜譯小學)]
* 간행연대 : 중종 12(1517), 홍문관
* 언해자 : 김전,최숙생
* 표기상 특징 : ,,방점 사용
☞ [어제소학언해(御製小學諺解)]
* 간행연대 : 영조 20(1744)
* 언해작업 : 선조판을 고쳐 다시 발간
* 표기 : 18-19세기 표기법, 직역 중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10.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학언해
중국의 ≪소학 小學≫을 읽기 쉽게 하기 위하여 한글로 토를 달고 번역한 책. 6권 4책. 활자본. ≪소학언해≫는 선조의 명(命)으로 교정청에서 번역, 간행한 책이다. 현재 내사본 완질이 도산서원에 간직되어 있다.
책 첫머리에 범례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 사적 등을 가르치기 위하여 입교(立敎), 명륜(明倫), 경신(更新), 계고(稽古), 가언(佳言), 선행(善行)의 6편으로 편찬한 수신서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조선조 중종(中宗) 12년에 이르러 처음으로 \'소학\'이 번역되었는데, 이는 홍문관의 진언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嗟嗟小子(차차소자)아 아! 소자(제자)들아
敬受此書(경수차서)하라 공경히 이 책을 받아라.
非我言(비아언) 라내 말은 늙은이의 망녕이 아니라
惟聖之謨(유성지막)시니라 오직 성인의 가르치심이니라. 사자소학의 해석본 함께있음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1.05.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풍속과 교화에 만에 하나라도 도움이 있을 것이다.
淳熙丁未三月朔旦에 晦菴은 題하노라
순희 정미(宋孝宗14, 1187, 고려 명종17) 삼월 초하루 아침에 회암(주자)은 쓴다.
|
- 페이지 1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10.0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