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시작전통제권 환수에 대한 미국의 입장
2.2.1 공식적인 입장
가) 버웰 벨 사령관 “우리는 함께 간다”
: 미 국방부 공보실과 버웰 벨 주한미사령관 겸 한미연합사령관이 국방부와 주한미군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주한미군이 “이미 합의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01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한미군사령관이 가지고 있는 한국군에 대한 전시작전통제권을 환수해야한다. 전시작전통제권의 미군 위임과 한ㆍ미연합사체제는 한국군을 미래지향적으로 개편하는데 장애가 되고, 미국의 정보력에 의존함으로써 독자적인 정보판단과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10.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과 한국의 전략적 대응 구상”, 『국가전략 제12권 1호』, 한국 교육방송공사 편집부, 2006
이상현, “제1차 한미 전략대화의 의의와 한미관계 전망”, 세종연구소: 세종논평 NO.37, 2006.1.19.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 문제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관련 국방부가 발표 (2006. 8. 17)
『QDR, 미국 국방백서』 (미국의 국방부, 2006년 2월 6일)
김성한, \'한미동맹의 비전\', 외교안보연구원 세미나「한미동맹 50년 도전과 비전」(2003년 2월 11일)
문장렬,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3.10.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한미군으로부터 제공받고 있으며, 북한 신호정보(SIGMINTSignal Intelligence)의 99%, 영상정보(IMINTImagery Intelligence)의 98%를 全的으로 미군의 기술력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전시작전통제권의 환수와 이에 따른 주한미군의 지위 및 성격의 재조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5.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시 작전 통제권(이하 전작권) 환수라는 주제와 연관될 수 있는 신 안보 패러다임의 주요 골자는 냉전 체제에서 보이는 적, 공산권 팽창에 대한 억지의 역할을 위해 존재했던 주한미군을 냉전 체제의 붕괴와 9.11 사태 이후 보이지 않는 적, 즉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4.10.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작전통제권 문제에만 집착하다가는 미국의 의도에 말려들 가능성이 농후하다.
(4) 새로운 통제 구조가 형성되어 형식적 환수 가능성 농후
지금까지의 보도된 논의를 종합해보면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이후 한국군과 주한미군은 각각의 총괄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5.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책임을 덜게 되는 반면, 반테러전쟁이나 지역 안보와 같은 새로운 임무 수행 가능. 주한미군에 소요되는 방위비 절감, 미군 에 대한 반미감정의 감소
Ⅶ. 전작권 환수를 둘러싼 두 가지 견해
1)찬성 : 전시작전통제권은 한국의 주권에 속하는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3.08.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한 평시 작전통제권을 이양하는 데 합의
1996년 동해안 잠수함 침투사건, 1999년 연평해전 및 2002년 서해해전
동아시아 전략구상 Ⅱ
주한미군 동결 전시작전 통제권
전시작전통제권 배경
전시작전 통제권 환수 시 한국의 과제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6.09.2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한미군 병력을 1992년 수준으로 동결한다고 명기.
• 01. 9.11테러 후 범세계적 대 테러전을 수행하면서 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강화,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도 강화. 1.전시작전통제권의 의의 및 전작권과 관련한 한미간 역사
2.전작
|
- 페이지 3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6.1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