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373건

중세국어에 나타나는 합용병서의 발음은 어떠했을 것으로 추정되는가? \'합용병서\'란 두 글자를 나란히 쓴 \'각자병서\' 와 달리 서로 다른 글자 둘 또는 셋을 나란히 쓴 것이다. 이에는 첫소리(,,), 가운뎃소리(과,홰), 끝소리(,)의 세 경우가 있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발음되는 전설모음화 현상은 근대국어 후기에 나타남. 아칭>아츰>아침 스까힝>스굴>시골 거즛>거짓 츨>칡 힝다>ㅶㅣ가다>찢다 Ⅰ. 중세국어 1.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2. 병서자(합용병서, 각자병서) 3. 성조체계 4. 소실문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5.10.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합용병서는 완전한 된소리의 표기로 쓰였다고 보았다. <창제당년> [k](ㄱ) [k\'](ㄲ), [k\'](ㄲ) [sk](ㅺ) <1460년대> [k](ㄱ), [k\'](ㄲ) [sk](ㅺ) <그 이후> [k](ㄱ), [k\'](ㅺ) 음절말 ‘-ㅅ’이 전기 중세국어에서는 아직도 마찰음 [-s]로도 발음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국어의 쌀 께, 때- 꿈, 떡, 따름, 뼈, 나희 음절 첫머리에 둘 이상의 자음이 올 경우 보기에도 혼란스러울 뿐만 아니라 발음하는데도 어려움이 있었을 것 이와 같은 현상들로 보아 중세 국어의 둘 이상의 자음은 현대 국어로 넘어오면서 앞의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2.06.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국어의 쌀 ② 께, 때- ③ 꿈, 떡, 따름, 뼈, 나희 음절 첫머리에 둘 이상의 자음이 올 경우 보기에도 혼란스러울 뿐만 아니라 발음하는데도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들로 보아 중세 국어의 둘 이상의 자음은 현대 국어로 넘어오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2.06.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