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 매귀(埋鬼)
5) 풍물, 풍물굿
Ⅳ. 풍물굿(풍물놀이)의 형태
1. 축원형태
2. 노작형태
3. 걸립형태
4. 연예형태
Ⅴ. 풍물굿(풍물놀이)의 지역분화
Ⅵ. 풍물굿패(풍물놀이패)의 짜임과 옷차림
Ⅶ. 풍물굿(풍물놀이)에서 치배의 구성과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5.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풍물굿(풍물놀이)의 짜임과 옷차림
풍물굿패는 보통 기수(깃발을 든 사람), 취군(나발, 날라리를 부는 사람), 앞치배(악기를 다루는 사람), 뒷치배(잡색들로서 탈놀이, 재주, 난장을 피우는 사람)의 순서로 짜여 있는데, 잡색의 경우는 왔다갔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7.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굿
길을 가다가 샘이 있는 곳이면 꼭 치고 지나간다. 용왕님께 빌어 물이 일 년 내내 맑고 넘치게 하여 풍년이 들고 어떤 병도 얻지 않고 오래도록 튼튼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빈다.
3) 문굿
집집마다 풍물굿을 치며 돌아다니다가 한 집에 다다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풍물굿패가 어떤 마을에 들어갈 때(마을에 들어간다는 신호로 나발을 세 번 분 다음에 당산굿을 치고 들어간다), 또는 풍물굿패를 모아 떠날 때, 그 밖에 신호용으로 많이 쓰인다. 나발을 부는 사람으로서는 대포수, 상쇠, 설장구가 있는데, 이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9.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풍물굿의 개념과 기원, 그리고 ‘大同’
2. 왜 ‘농악’이 아니고 ‘풍물굿’인가
3. 사물놀이의 탄생과 풍물굿의 변용
3-1. 풍물굿의 변용 양상
3-2. 한국 풍물굿의 재도약, 사물놀이
3-2-1. 사물놀이의 등장
3-2-2. 사물놀이의 짜임
3-2-3. 사물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