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문과 교육의 특징
2. 중학교 한문 교과의 특성
3. 한문 교육의 목적
4. 한문과 교육의 교수-학습방법
5. 한문과 교육과정
6. 한문과 교육의 평가
7. 연간 지도 계획
Ⅱ. 단원관 1. 교재 및 단원명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3.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스듬하게)
99. 나와 동물 생김새가 비스름하다.(비스름하다 : 거의 비슷하다)
100. 우리집 골목길은 비뚜로하게 나 있다.(비뚜로 : 비뚤어지게)
101. 나의 보짱은 흔들리지 않을 것이다.(보짱 : 꿋꿋하게 가지는 속마음, 배짱 : 굽히지 않는 힘)
10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10.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문투의 언어를 시대적 상황에 맞게 현대어로 고쳐서 대사를 꾸미는게 사실이다. 왜냐하면 고도의 전문적인 지식을 요하는 내용의 대사나 시대적 배경은 일반 대중에게는 퍽이나 낯설고 또한 이해하는데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감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6.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有一言而可以終身行之者乎. 子曰 其( )乎 已所不欲 勿施於人.
① 恕 ② 禮 ③ 聞 ④ 信 제1절 한자와 한자어
Ⅰ. 육서(六書)와 한자어의 구조(構造)
Ⅱ. 필수 한자어(漢字語)
제 2 절 한 문 법
Ⅰ. 품사(品詞)
Ⅱ. 한문의 문형(文型)
|
- 페이지 34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3.10.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기 위해 삽입하는 요소들을 가리킨다. 이두의 경우 문법적 요소를 제외하면 한문 문장으로 복원되지 않는 반면 구결문의 경우 구결을 제외하면 한문 원문에 전혀 변형을 가하지 않는다. 이것이 이두와 구결의 다른 점이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0.1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문을 가능하면 빠르게 이해할 수단으로 한문 원문 그대로에 우리말 문법 형태소를 붙이게 되었는데, 이것이 구결이다. 김광해 외, 『국어지식탐구』,박이정, 1999, p 415
天地之間 萬物之中厓 唯人伊 最貴爲尼 所貴乎人者隱 以其有五倫也羅 (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문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두는 이처럼 한국어 어순으로 쓰인 의사한문에 문법적인 요소를 더 보완한 것이다. 신라 이두는 ‘임신서기석’에 나타나는데, 여기에서 한자들은 그 본래의 의미로 사용되지만, 그들의 결합은 한문의 어순과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2.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문 문장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절이 끝나는 곳에 끼워 넣던 우리말의 문법 요소. \'입 - 차례 -
1. 요약
2. 차자표기
3. 음차와 훈차
4. 이두
5. 향찰
6. 구결
7. 향찰, 이두,구결의 차이점
8. 현재 학교문법이나 일반적인 통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법을 밝히려는 연구도 있었다. 두시언해 주석(주석)문은 독해(독해)수단으로서의 구결이 아니라 표현수단으로서의 구결을 보여주는 것이다. 남풍현은 이 주석문에서 한문의 문법에 국어의 기능어들이 어떻게 대응하는가를 기술하였다. 아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5.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법상의 특징과 어휘상의 특징, 음운상의 특징,
4) 현대 맞춤법의 원리
(1) 주시경 선생의 本音 이론
단어나 형태소의 음가를 \'본음/임시의음\'으로 구별하고, 표기에서는 \'본음\'을 적어야 예) \'높-\'의 경우 \'높\'과 \'놉\' 두 가지로 발음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800원
- 등록일 2009.06.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