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 글자마다 작은 크기의 동국정운식 한자음을 붙이는 것이 원칙이었다.
② \'월인천강지곡\'은 한글음을 크게 먼저 적고, 작은 크기의 한자를 다는 방식이다.
③ 용비어천가와 두시언해는 한자어에 음을 달지 않았다.
4. 현대국어 표기법
-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800원
- 등록일 2009.06.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기법이다. 향찰 표기의 기본 원리는 우리말에서 실질적 의미를 가진 부분은 한자의 뜻을 빌리고, 문법적 요소는 한자의 음을 빌려서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던 것으로 보인다.
● 한글 표기법의 변천
: 국문연구의정안(1909)-언문철자법(19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0.1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글과 한글 표기법 이론의 체계화에 대하여 , 국어학 25.
이기문(1963), 국어 표기법의 역사적 연구, 한국연구원.
-----(1983), 한국어 표기법의 변천과 원리, 한국 어문의 제 문제, 일지사.
이희승(1959), 한글 맞춤법 통일안 강의, 신구문화사.
이희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700원
- 등록일 2009.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기법
2.1. 음소적 원리
2.2. 음절적 원리
2.3. 사이시옷
2.4. 8종성법
2.5. 띄어쓰기
2.6. 병서법
2.7. 연서법
2.8. 한글과 한자의 표기
3. 근대국어표기법
3.1. 체계상의 차이
3.2. 정서법의 혼란상
4. 현대국어 표기법
4.1. 개화기의 국어
4.2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8.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글 창제 이후의 한글 표기법의 변천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았다.
훈민정음이 창제되어, 교착어적 특성에 가장 알맞은 표기 방식인 모아쓰기의 방식이었지만, \'소리대로\'와 \'원형 밝히기\' 즉, 연철과 분철의 표기상 혼란이 빚어졌다. 훈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3.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