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약리작용
(1) 강심작용
①심근에 직접 작용하여 수축력을 강화
②심박수를 감소시키며 서맥을 감소한다.
(2) 이뇨작용 ; 강심배당체에 의해 심박출량이 증가되어 전신순환, 신장 순환이 개선되기 때문에 전신에 부종을 수반하는 울혈성 심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8.09.0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항부정맥제제를 사용하기도 함
Ventricular Tachycardia(심실성 빈맥)
심근경색증, 죽상경화성 심질환 및 digitalis나 quinidine 중독증
- HR : 110-250 회/분
- pacemaker 부위 : 심실의 bundle branches, purkinje fibers
- QRS complex : 0.12 ch 이상, 비정상의 모양(깊고 뾰족함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항부정맥제제의 복합요법은 일반적으로 효과의 증진이 없으면서 독성만을 증가시키므로 보 편적인 약물을 먼저 사용
⑤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심장리듬과 심박동수 그리고 활력증후를 사정
⑥다른 약물의 복용과 관련된 의학력을 검토하고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4.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항부정맥제제는 심장의 최적의 리듬으로 회복시켜 기능을 최대화 한다.
Implementation & Evaluation
1. 1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저농도의 산소를 공급한다.
3. EKG를 확인한다.
4. 안위를 사정한다.
5. NRS점수로 흉통을 사정한다.
-활력징후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0.0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정맥에 대비하여 응급물품 준비, 훈련된 의사가 시행
환자가 digitalis 제제를 복용하고 있으면 절차 전 2일간 투약을 금함
시술 전 항부정맥제제인 quinidine을 투여하여 전환 후의 리듬을 유지하게 함
시술 전, 후에 산소 공급
전환술 전에 몇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항부정맥제제(quinidine 등) 사용, 심실상부 빈맥, 쇼크, 심한 대사성 질환과 수술 또는 외상시에도 발생할 수 있다.
증상: 심실세동이 발생하면 의식상실, 맥박소실 및 무호흡 상태가 되고 혈압이 측정되지 않는다. 동공은 빠르게 산대되고 뇌에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항부정맥제제의 복합요법은 일반적으로 효과의 증진이 없으면서 독성만을 증가시키므로 보편적인 약물을 먼저 사용
⑤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심장리듬과 심박동수 그리고 활력증후를 사정
⑥다른 약물의 복용과 관련된 의학력을 검토하고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항진
③ 치료
lidocaine을 IV한 뒤 심장모니터로 세심하게 관찰
procainamide, quinidine, propranolol, disopyramide등의 항부정맥제제 사용
(2) 심실성 빈맥(ventricular tachycardia) : 심실성 조기수축이 3회 이상 연속적으로 나타 난다.
① 특징
심박동수:140~250회/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8.05.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경색증 발생 후 심장의 리듬을 조절하는데 도움을 준다. 항부정맥제제는 심실성 빈맥과 심실성 세동과 같은 심근경색증으로 인해 나타 날수 있는 심실성 부정맥을 치료하는데 이용된다.
j. adrenergics : 심근의 수축력과 박출량을 증가시키고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항부정맥제제는 동성리듬 전환과 유리를 위해 이용된다. DC shock 은 정상리듬으로의 전환을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만약 환자가 48시간 이상 심방세동 상태에 있으면 전기쇼크 시도 전에 와파린 항응고요법을 3-4주간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1)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2.1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