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체는 점과 획의 굵기가 일정하고 형태는 각이 진 모습(방형)을 이루어 전체적으로 중후한 느낌이 나타납니다.
1443년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만드실 당시 원본인 훈민정음 해례본 중에서 가려 뽑은 글자입니다.
판본체는 판을 새길 때 쓰는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7.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본론
1) 한글의 우수성 - 독창성, 과학성
① 한글은 기존 문자의 영향을 받지 않은 독창적인 문자이다.
② 한글은 음성 과학적 기반을 가진 문자이다. (훈민정음 ‘해례본’에 의거하여)
③ 음소문자(표음문자)로 만들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1.26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본 화엄경)을 낱낱이 기억하여 예배드리는 것이다. 사성례는 극락세계에 있는 아미타불과 관세음, 대세지, 일체청정대해중보살님께 예배드리는 것이다. 강원상강례는 학인들이 강의받기 전에 예배드리는 의식이다.
1. 극락전(혹은 彌陀殿)
극
불교용어 보시, 불교 열반, [불교용어, 보시, 열반, 여래십호, 종송, 석등, 도솔천, 간단예불]불교용어와 보시, 불교용어와 열반, 불교,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본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훈민정음해례본은 훈민정음의 자음은 牙, 舌, 脣, 齒, 喉의 발음기관을 본 따 만들었으며 모음은 3개의 기본자로 만들었다고 설명한다.
아무리 독창적인 문자라 하더라도 그 당시 우리나라 문화에 직간접적으로 영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3.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례 본문에 나타나는 모든 자류(字類)를 추려 보면 처음 1443년에 제정하
였던 28자를 훨씬 상회하고 있다. 그것은 그 동안 운서 편찬과정에서, 또는 국어 표기를 통
해서 거기에 필요한 자류가 더 요청되었기 때문에 그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본으로 소개했다.
이 판본은 세종 29년에 간행된 목판본으로 판광(板匡)은 세로 26.4cm, 가로 17.9cm인데, 정음자체(正音字體)는 석보상절체(釋譜詳節體)와 이기문(1962:289)은 ‘ㆍ’와 방점자획 등의 특징에 따라 정음 자체를 ‘훈민정음 해례본체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5.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례곤몬간군 등에게 논공행상을 청하여 받은 것이 보여 상당 기간 중국에 있어서의 백제세력이 유지된 것을 보여 준다. 그후 麗羅의 협겨을 받아 본국이 위기에 빠짐에 다라 저절로 해외에 있어서의 세력기반을 상실하게 된 것이었다고 생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 기본자는 그것이 나타내는 음소를 調音(조음)하는데 관여하는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떴다고 한다.
- 2 ; 解例 用字例(해례 용자례)에서 제외.
東國正韻(동국정운)의 한자음 표기를 위하여 마련된것이기 때문.
한자음 이외의 표기에 사용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본이 되는 자획(字劃)을 보여 주고 있다. 그래서 훈민정음 창제때 아것을 참고하여 제자하였을 것이라는 설이다.
15. 발음 기관 상형설
훈민정음 해례본의 제자해에 따르면, “초성글자의 기본자는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떠 만들었고, 중성글자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7.07.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례의 장차가 따로 매겨져 있으며 판심제가 다르다는 사실에 대한 이러한 언급은 <훈민정음>의 영인본들을 통해서는 쉽게 이루어지기 어렵다. 한두 영인본을 제외하고는 대개 판심 부분이 보이지 않게 영인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1.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