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선행연구 정리
2. 생애
3. 해체시
1) 해체시란?
2) 해체시 형성 경위 -왜 80년대인가?
3) 해체시의 경향
4)해체시의 형태적 특징
5)유하- 1990년대 키치세대의 대표주자
Ⅲ. 결론
Ⅱ. 본론
1. 선행연구 정리
2. 생애
3. 해체시
1) 해체시란?
2) 해체시 형성 경위 -왜 80년대인가?
3) 해체시의 경향
4)해체시의 형태적 특징
5)유하- 1990년대 키치세대의 대표주자
Ⅲ. 결론
본문내용
포스트모더니즘 시인들은 부정의 심연을 넘어서는 새로운 세계에 대한 전망을 내놓아야 한다는 논의 사항들이 제기되고 있는 현실에 안타까웠다. 장정일이 말한 ‘역동하는 문화양태 속에 기능하는 문학’을 하는 시인들이 더 많이 배출되기를 기대해 본다.
문학은 항상 시대를 반영하기 마련이다. 우리나라는 해방 이후 문화, 사회, 경제, 정치 등 다방면에서 급변을 겪었기에 문학 역시 그러한 변화를 겪을 수 밖에 없었다. 그렇기에 유럽문학에서 낭만주의,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이 순차적으로 보여지는 반면 우리 는 양극점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두 사조가 한 시대에 충돌하게 되는 경우가 보여지는 것이다. 그럼에도 1980년대의 시 풍조가 해체시로 일관됨을 보이는 것은 해체주의가 그 시기를 가장 잘 대변해줄 수 있는 사조였다는 데에 대다수의 문인들이 고개를 끄덕인 것이다. 80년대, 피로 얼룩진 518민주주의항쟁으로 시작한 1980년대는 지식인들에게 충격의 도가니였고 그 안에서 살아남기 위해 자신과 문학의 안으로 천착해 들어간 결과 나온 작품들이 바로 해체시들인 것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준오, 『도시시와 해체시』, 문학과 비평사, 1992.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05.
마이클 라이언(나병철, 이경훈 역), 『해체론과 변증법』, 평민사, 1994.
유하, 『무림일기』, 문학과지성사, 1989.
윤호병, 『문학이라는 파르마콘』, 새미, 2006.
이승훈, 『해체시론』,새미,1998.
장석주, 『20세기 한국 문학의 탐험 v5:1989-2000』,시공사,2001
황지우, 『사람과 사람 사이의 신호』, 1994(초판 1986년 발행)
논문
김경복, 「현대문학: 한국 현대시의 양가성과 해체시」, 『국어국문학지』제35호, 문창어문학회, 1998.
김선희,「유하 시에 나타난 키치적 상상력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김효중, 「한국 현대시 비평과 해체주의 이론」,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 연구논문집 제 56편, 1997. 12.
송지윤,「한국 해체시의 형태적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신원선, 「지배담론과 성문학의 충돌-장정일 희곡론」, 『한민족문화연구』제2호, 한민족문화학회, 1997.
유하,「다시,불온성을 생각한다」, 정과리 외, 『21세기 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9.
이명연,「한국 포스트 모더니즘 시 연구」,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
장정일, 「인공시학」,『펄프에세이』,하늘연못, 1997.
진순애, 「1980년대 해체시의 실천적 지평」, 『비평문학』제21호, 2005.11.
최미선 ;조영철 사진, 「시와는 인연을 끊은 듯 침묵하던 황지우가 8년만에 시집낸 궁금한 사연, “사실 시와 저는 \'잘못된 만남\'이었어요”」, 『여성동아』, 1999. 2.
그 외 한국해체시 참고 자료
단행본
김경복, 『한국 현대시의 구조와 의식지평』, 박이정, 2010.
김수이, 『문학연구와 문학교육의 소통』, 청동거울, 2008.
김정자, 『현대문학과 양가성』, 태학사, 1999.
문흥술, 『시원의 울림』, 청동거울, 1998.
문흥술, 『형식의 운명 운명의 형식』, 역락, 2006.
송기한, 『한국 현대시의 서정적 기반』, 문학시대사, 2002.
이기철, 『그 말이 내 가슴에 들어왔다』, 영남대학교출판부, 2002.
이승훈, 『한국모더니즘 시사』, 문예출판사, 2000.
이승훈, 『한국현대시의 이해』, 집문당, 1999.
이진엽, 『존재의 놀라움』, 북랜드, 2006.
이형권, 『한국시의 현대성과 탈식민성』, 푸른사상, 2009.
장석주, 『20세기 한국문학의 탐험』, 시공사, 2007.
정효구, 『시와 젊음』, 문학과비평사, 1989.
진순애, 『전쟁과 인문학』,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6.
황선열, 『빛과 그늘의 문학』, 전망, 2004.
논문
강동우, 「실험, 자유와 놀이, 해방의 배출구:잡체시와 해체시」, 『시현실』 제14호, 예맥사, 2002.
권은정, 「1980년대 한국 해체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김수이, 「현실비판적 해체시의 교육방법론과 기대효과」, 『현대문학이론연구』제33호, 현대문학이론학회, 2008.
문흥술, 「해체시에 나타나는 주체해체의 양상」, 『수행인문학』제14호, 서울여자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2005.
민병관, 「황지우의 해체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박선주, 「1980년대 해체시의 양상과 세계관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박정인, 「한국모더니즘시의 사적전개」,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오연경, 「해체의 충동과 발견의 시학」, 『시와반시』제72호, 시와반시사, 2010.
오종환, 「80년대 해체시의 사회사적 의미론」,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이경호, 「실험, 해체로부터 새로운 전위를 향하여」, 『현대시』, 한국문연, 1993.
이광호, 「수화의 전략과 그 비극성;80년대 \'해체시\'의 재인식」, 『현대시』, 한국문연, 1993.
이미순, 「80년대 해체시에 대한 연구」, 『개신어문연구』제19호, 개신어문학회, 2002.
이승엽, 「황지우 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이승훈, 「해체시와 포스트모더니즘」, 『시현실』제13호, 예맥사, 2002.
이형권, 「80년대 해체시와 아버지 살해욕망」, 『어문연구』제43권, 어문연구학회, 2003.
이형권, 「해체시의 자의식과 서정」, 『한국시문학』제11호, 한국시문학회, 2001.
임현준, 「황지우의 해체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전정구, 「현실대응으로서의 해체시 운동」, 『시문학』, 시문학사, 1989.
전형주, 「한국 현대 해체시의 발전과 전개 양상에 대한 고찰」,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진순애, 「한국현대시의 실험시 계보」, 『개신어문연구』제14집, 개신어문학회, 1997.
채희영, 「텍스트 언어학으로 본 80년대 해체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허혜정, 「언어실험으로서의 해체와 현대시정신」, 『우리말글교육』제7호, 우리말글교육학회, 2005.
문학은 항상 시대를 반영하기 마련이다. 우리나라는 해방 이후 문화, 사회, 경제, 정치 등 다방면에서 급변을 겪었기에 문학 역시 그러한 변화를 겪을 수 밖에 없었다. 그렇기에 유럽문학에서 낭만주의,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이 순차적으로 보여지는 반면 우리 는 양극점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두 사조가 한 시대에 충돌하게 되는 경우가 보여지는 것이다. 그럼에도 1980년대의 시 풍조가 해체시로 일관됨을 보이는 것은 해체주의가 그 시기를 가장 잘 대변해줄 수 있는 사조였다는 데에 대다수의 문인들이 고개를 끄덕인 것이다. 80년대, 피로 얼룩진 518민주주의항쟁으로 시작한 1980년대는 지식인들에게 충격의 도가니였고 그 안에서 살아남기 위해 자신과 문학의 안으로 천착해 들어간 결과 나온 작품들이 바로 해체시들인 것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준오, 『도시시와 해체시』, 문학과 비평사, 1992.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05.
마이클 라이언(나병철, 이경훈 역), 『해체론과 변증법』, 평민사, 1994.
유하, 『무림일기』, 문학과지성사, 1989.
윤호병, 『문학이라는 파르마콘』, 새미, 2006.
이승훈, 『해체시론』,새미,1998.
장석주, 『20세기 한국 문학의 탐험 v5:1989-2000』,시공사,2001
황지우, 『사람과 사람 사이의 신호』, 1994(초판 1986년 발행)
논문
김경복, 「현대문학: 한국 현대시의 양가성과 해체시」, 『국어국문학지』제35호, 문창어문학회, 1998.
김선희,「유하 시에 나타난 키치적 상상력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김효중, 「한국 현대시 비평과 해체주의 이론」,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 연구논문집 제 56편, 1997. 12.
송지윤,「한국 해체시의 형태적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신원선, 「지배담론과 성문학의 충돌-장정일 희곡론」, 『한민족문화연구』제2호, 한민족문화학회, 1997.
유하,「다시,불온성을 생각한다」, 정과리 외, 『21세기 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9.
이명연,「한국 포스트 모더니즘 시 연구」,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
장정일, 「인공시학」,『펄프에세이』,하늘연못, 1997.
진순애, 「1980년대 해체시의 실천적 지평」, 『비평문학』제21호, 2005.11.
최미선 ;조영철 사진, 「시와는 인연을 끊은 듯 침묵하던 황지우가 8년만에 시집낸 궁금한 사연, “사실 시와 저는 \'잘못된 만남\'이었어요”」, 『여성동아』, 1999. 2.
그 외 한국해체시 참고 자료
단행본
김경복, 『한국 현대시의 구조와 의식지평』, 박이정, 2010.
김수이, 『문학연구와 문학교육의 소통』, 청동거울, 2008.
김정자, 『현대문학과 양가성』, 태학사, 1999.
문흥술, 『시원의 울림』, 청동거울, 1998.
문흥술, 『형식의 운명 운명의 형식』, 역락, 2006.
송기한, 『한국 현대시의 서정적 기반』, 문학시대사, 2002.
이기철, 『그 말이 내 가슴에 들어왔다』, 영남대학교출판부, 2002.
이승훈, 『한국모더니즘 시사』, 문예출판사, 2000.
이승훈, 『한국현대시의 이해』, 집문당, 1999.
이진엽, 『존재의 놀라움』, 북랜드, 2006.
이형권, 『한국시의 현대성과 탈식민성』, 푸른사상, 2009.
장석주, 『20세기 한국문학의 탐험』, 시공사, 2007.
정효구, 『시와 젊음』, 문학과비평사, 1989.
진순애, 『전쟁과 인문학』,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6.
황선열, 『빛과 그늘의 문학』, 전망, 2004.
논문
강동우, 「실험, 자유와 놀이, 해방의 배출구:잡체시와 해체시」, 『시현실』 제14호, 예맥사, 2002.
권은정, 「1980년대 한국 해체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김수이, 「현실비판적 해체시의 교육방법론과 기대효과」, 『현대문학이론연구』제33호, 현대문학이론학회, 2008.
문흥술, 「해체시에 나타나는 주체해체의 양상」, 『수행인문학』제14호, 서울여자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2005.
민병관, 「황지우의 해체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박선주, 「1980년대 해체시의 양상과 세계관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박정인, 「한국모더니즘시의 사적전개」,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오연경, 「해체의 충동과 발견의 시학」, 『시와반시』제72호, 시와반시사, 2010.
오종환, 「80년대 해체시의 사회사적 의미론」,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이경호, 「실험, 해체로부터 새로운 전위를 향하여」, 『현대시』, 한국문연, 1993.
이광호, 「수화의 전략과 그 비극성;80년대 \'해체시\'의 재인식」, 『현대시』, 한국문연, 1993.
이미순, 「80년대 해체시에 대한 연구」, 『개신어문연구』제19호, 개신어문학회, 2002.
이승엽, 「황지우 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이승훈, 「해체시와 포스트모더니즘」, 『시현실』제13호, 예맥사, 2002.
이형권, 「80년대 해체시와 아버지 살해욕망」, 『어문연구』제43권, 어문연구학회, 2003.
이형권, 「해체시의 자의식과 서정」, 『한국시문학』제11호, 한국시문학회, 2001.
임현준, 「황지우의 해체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전정구, 「현실대응으로서의 해체시 운동」, 『시문학』, 시문학사, 1989.
전형주, 「한국 현대 해체시의 발전과 전개 양상에 대한 고찰」,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진순애, 「한국현대시의 실험시 계보」, 『개신어문연구』제14집, 개신어문학회, 1997.
채희영, 「텍스트 언어학으로 본 80년대 해체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허혜정, 「언어실험으로서의 해체와 현대시정신」, 『우리말글교육』제7호, 우리말글교육학회, 2005.
키워드
추천자료
- 고전문학사(기원.서정시.서사시.가요.장르.신화.설화.향가)
- 한국사회 권력 이동- 가부장적 권력의 해체와 새로운 사회를 향해
- 매월당 김시습(1435-1493) - ‘탈주’와 ‘해체’의 기획
- 연구수업 지도안 중학교 2학년 1-3 도시의 성장과 장원해체
- 황지우의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독후감
- 카프의 의미와 형성배경,활동과해체
- 탈산업도시의 구성-산업적, 사회관계적, 정치적 공간적 구성과 탈산업도시의 문제(도시적 삶...
- 그리스도교(기독교) 특성, 그리스도교(기독교) 여성관, 그리스도교(기독교) 이론, 그리스도교...
- [개인기업][개인][기업][개인기업 정의][설립절차][개인기업 장단점][법인기업][기업설립][회...
- [러시아문학, 역사, 사실주의, 작가, 시인(알렉산데르 푸슈킨)]러시아문학의 역사, 러시아문...
- [러시아, 지리, 정치, 천연자원, 관광지, 시인(알렉산데르 푸슈킨), 회화]러시아의 연혁, 러...
- 초등 방과후 아동지도의 필요성과 학기중 주간교육계획안과 일일교육계획안을 13시부터 18시...
- [감상문] 황지우 시집 『새들도 세상을 뜨는 구나』
- [감상문] 황지우 시집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