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남한과 북한의 언어는 언제부터 차이가 나기 시작했는가???
남한말 - 북한말
남·북한 발음의 차이
북한 주민들의 언어생활
남북한 언어 차이의 문제점 및 그 차이를 없애는 방안에 대해,,,
남한말 - 북한말
남·북한 발음의 차이
북한 주민들의 언어생활
남북한 언어 차이의 문제점 및 그 차이를 없애는 방안에 대해,,,
본문내용
부터 차이가 나기 시작했는가???
한국전쟁이후 남한과 북한은 각각 미국과 소련의 손을 잡았죠. 그리고 거기에서부터 남한과 북한의 언어차이가 시작됩니다. 우리는 미국의 영향을 받고 북한은 소련의 영향을 받은거죠. 그리고 소련이 해체되고 난 이후 북한은 외국과의 교류가 없어졌고, 우리나라는 한국전쟁 전후부터 외국과의 교류가 활발했습니다. 또 한가지 큰 이유는 북한과 우리나라의 언어정책이 달랐다는 겁니다. 북한은 가능한 모든 낱말을 우리 말로만 표현하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외국에서 들어온 낱말일 경우, 고유발음을 살리려고 했죠. 그렇기 때문에 북한은 우리 말로 된 낱말을 많이 쓰고, 우리는 외래어도 쓰기 때문에 언어 차이가 많이 생겼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지나치게 외래어를 쓰지 않으려고 하기 때문에, 언어 소통이 어려운 느낌이 있기는 합니다만 그렇다 하더라도 우리 말을 사용하려고 하는 북한의 노력은 우리도 본받을 만 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많이 쓰는 한자어 역시 북한에서는 외국어라고 하여 쓰지 않습니다. 물론 북한은 인민들(국민들) 에게 외래의 물을 뭍지 않게 하기 위한 정책적 의도로 했다 하더라도 말입니다. 그리고 북한은 정책적인 낱말을 많이 만들어
한국전쟁이후 남한과 북한은 각각 미국과 소련의 손을 잡았죠. 그리고 거기에서부터 남한과 북한의 언어차이가 시작됩니다. 우리는 미국의 영향을 받고 북한은 소련의 영향을 받은거죠. 그리고 소련이 해체되고 난 이후 북한은 외국과의 교류가 없어졌고, 우리나라는 한국전쟁 전후부터 외국과의 교류가 활발했습니다. 또 한가지 큰 이유는 북한과 우리나라의 언어정책이 달랐다는 겁니다. 북한은 가능한 모든 낱말을 우리 말로만 표현하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외국에서 들어온 낱말일 경우, 고유발음을 살리려고 했죠. 그렇기 때문에 북한은 우리 말로 된 낱말을 많이 쓰고, 우리는 외래어도 쓰기 때문에 언어 차이가 많이 생겼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지나치게 외래어를 쓰지 않으려고 하기 때문에, 언어 소통이 어려운 느낌이 있기는 합니다만 그렇다 하더라도 우리 말을 사용하려고 하는 북한의 노력은 우리도 본받을 만 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많이 쓰는 한자어 역시 북한에서는 외국어라고 하여 쓰지 않습니다. 물론 북한은 인민들(국민들) 에게 외래의 물을 뭍지 않게 하기 위한 정책적 의도로 했다 하더라도 말입니다. 그리고 북한은 정책적인 낱말을 많이 만들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