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쌍화점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 공간적 특성 공간적 공통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시가론] 쌍화점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 공간적 특성 공간적 공통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 보여주기
2. <쌍화점>에 나타난 공간적 특성
2.1. 각 연마다 등장하는‘쌍화점, 삼장사, 우물, 술파는 집’의 해석
2.1.1. 쌍화점
2.1.2. 삼장사
2.1.3. 우물
2.1.4. 술파는 집
2.2. <쌍화점>에 나타난 공간들의 공통점
2.2.1. 사실적 장소의 공간
2.2.2. 대중적 장소의 공간
2.2.3. 밀폐된 장소의 공간
2.2.4. 소문이 퍼지는 공간
2.3. 결 론

본문내용

우물은 많은 사람들이 물을 길으러 올 것이기 때문에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였을 것이다. 또 삼장사에 여자가 ‘불을 켜러 온다’라는 설정을 보았을 때, 여자는 연등회, 석가탄신일과 같은 큰 행사 시 또는 그러한 행사 전에 등불을 달러 삼장사에 간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삼장사 역시 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상황을 전제로 한 것이 된다.
2.2.3. 밀폐된 장소의 공간
남녀 간의 성행위가 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개방적인 공간에서는 이루어질 수 없다. 성행위는 은밀한 것이기에 방과 같은 밀폐된 공간에서 이루어지기 마련이다. 이러한 밀폐된 공간이 쌍화점, 삼장사, 우물, 술집 모두에 존재한다. 삼장사의 성행위 공간은 삼장사의 사주(社主)의 방 또는 구석방일 것이며, 우물의 성행위 공간은 우물 속이라 볼 수 있을 것이고, 쌍화점과 술집의 성행위 공간은 점포에 붙어 있는 상인들의 집의 어느 방 고려시대 개경의 시장의 건물들은 주거와 점포를 겸용하는 형태였을 것으로 추정된다.(서성호,「고려시기 개경의 시장과 주거」)
이 될 것이다. 이러한 공간들은 쌍화점, 삼장사, 우물, 술집 등을 찾는 사람들이 그 공간의 주인과 사적인 인연이 있지 않은 한 쉽게 접근할 수 없는 공간이다. 그렇기 때문에 <쌍화점>의 성행위는 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공적인 공간에 속한 사적인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렇듯 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장소에서의 은밀한 성행위는 그것에 대해 듣는 사람들로 하여금 성적 흥미를 가지게 하기에 충분한 것이다.
2.2.4. 소문이 퍼지는 공간
각 연마다 등장하는 ‘새끼 광대, 새끼 상좌, 두레박,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8.07.20
  • 저작시기201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89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