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속요 여음의 개념 종류 기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속요 여음의 개념 종류 기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2. 본론2.1. 여음의 개념
2.2. 여음의 종류
2.3. 여음의 기능
3. 결론

본문내용

체로 존재한다기 보다는 본사부 의미와 더불어 존재하기 때문에 여음은 리듬효과에 의한 시적기능은 더 커진다. 현재까지 전해지는 고려속요에 여음이 들어있지 않은 것은 거의 없으며 특히 <정읍사>나 <서경별곡>은 한 연의 거의 반이 여음으로 되어 있을 정도로 양적인 비중도 크고 다양한 층위에서 다양한 쓰임을 가지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여음을 두고 ‘고려속요가 고려속요이게 하는 것’이라고 일컬을 정도로 여음은 고려속요 작품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여러 고려속요 작품들이 가지는 여음의 종류와 이 여음이 가지는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2. 본론
2.1. 여음의 개념
우선 ‘여음’이라는 단어만으로 그 의미를 추적해보면, 사전적인 의미로 ‘소리가 그치거나 거의 사라진 뒤에도 아직 남아 있는 음향’을 의미하는데, 여운, 여향과 비슷한 의미로 쓰인다. 음악 용어로는 국악 가곡에서, 기악으로만 연주하는 전주곡이나 후주곡으로 대념·대여음과 같다. 문학적인 의미로는 시가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되풀이되어 나타나는 음성이나 말로서, 없어도 시상은 성립될 수 있는 것들을 여음이라 하였다.
여음이란 “시가에서 대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되풀이되어 나타나는 음성이나 말로서, 흥을 돋우거나 운율을 고루어 음악적 효과를 얻거나, 본사의 내용적 의미의 보충ㆍ강조 등을 행하기 위해 사용된 무의미한 사설 혹은 감탄적 사설”이란 의미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여음은 시가요의 내용을 전적으로 좌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고 어음을 갖추는 감정적 특성을 이용하여 원사의 내용적 의미의 보충을 행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2.2. 여음의 종류
1) 위치별 분류
고려 속요에서 여음은 단순히 조율음, 조흥구의 기능만 하는 것이 아니라 본사 가운데서의 놓인 자리에 따라 그 기능을 달리 한다. 여음의 기능에 대해 노래를 맞춰 호흡을 늦추기도 하고 그 감정을 조화시키기도 하고 혹은 그 창곡상 효과를 주어 특정한 악상을 자아내기도 하며 후렴처럼 전편의 의미를 강조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여음의 위치에 따라 그 기능이 달라지는데 여음이 본사가 시작되기 전에 나타나는 것이 전치여음 또는 전여음, 전렴이라하고 본사의 가운데에 나타나는 여음을 중치여음 혹은 중여음, 중렴이라 하며 본사의 뒤나 장과 장 사이에 나타나는 여음을 후치여음 또는 후여음, 후렴이라 한다.
전치여음, 곧 전렴은 상저가에서만 나타나는데, 방아 찧는 소리를 나타낸 ‘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11.25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13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