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고려속요 여음의 종류와 기능 및 특징
1. 들어가며
고려속요에 대한 연구는 명칭과 장르, 작자와 수용자, 형태와 율격, 발생 혹은 형성, 개별 작품론, 음악적 접근 등 다방면에 걸쳐 다양하게 논의되어 왔다. 이 중 고려속요의 형태와 율격에 관한 연구는 다른 어느 분야보다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이것은 고려속요가 다른 어느 것보다도 서정표출의 양상이 특징적이라는 데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서정을 표출하는 방식으로서 형식적 특징은 중요한 방식이다. 고려속요의 형식적 특징은 여음의 존재와 반복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나 여음은 여타 시가(詩歌)들과는 달리 고려속요의 모든 작품에서 예외 없이 나타나고 있고, 작품 내에서 그 양적인 비중도 클뿐더러, 다양한 층위에서 다양한 쓰임새를 가지고 있다. 여음은 곧 고려속요의 형식적인 특성일 뿐만 아니라 본사부와 더불어 하나의 시가작품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이며, 고려속요를 고려속요답게 만드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여음의 정의와 종류 및 기능에 따른 특징을 몇 가지로 분류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2. 여음의 개념
고려속요의 형식적 특징은 여음의 존재와 반복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여음은 여타시가들과는 달리 고려속요 전 작품에서 예외 없이 나타나고 있고, 작품 내에서 그 양적인 비중도 클뿐더러, 다양한 층위에서 다양한 쓰임새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여음은 고려속요의 한 형식적 지배 인자이자 양식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고려속요는 가창의 방식으로 수용되는데, 이때 여음이 그 리듬효과를 주도하였던 것이다. 이렇게 볼 때, 고려속요의 여음은 본사부와 더불어 하나의 시가작품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일 뿐 아니라 ‘고려속요를 고려속요이게’하는 것으로 존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여음이란 “시가에서 대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되풀이되어 나타나는 음성이나 말로서, 흥을 돋우거나 운율을 고루어 음악적 효과를 얻거나, 본사의 내용적 의미의 보충ㆍ강조 등을 행하기 위해 사용된 무의미한 사설 혹은 감탄적 사설”이란 의미로 사용할 수 있다. 정종진, 고려속요의 존재방식으로 본 여음考
3. 여음의 종류
여음의 종류는 그 위치에 따라 ①전치여음(前置餘音) ②중치여음(中置餘音) ③후치여음(後置餘音)으로 분류가 되고, 그 성분에 따라 ①감탄여음(感歎餘音) ②의성여음(擬聲餘音) ③어사여음(語辭餘音)으로 분류가 된다.
3.1. 위치별 분류
3.1.1. 전치여음
전치여음은 노래의 서두에서 각 연마다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고려 속요 가운데 전치여음을 가지고 있는 노래는 <상저가>뿐이다.
1. 들어가며
고려속요에 대한 연구는 명칭과 장르, 작자와 수용자, 형태와 율격, 발생 혹은 형성, 개별 작품론, 음악적 접근 등 다방면에 걸쳐 다양하게 논의되어 왔다. 이 중 고려속요의 형태와 율격에 관한 연구는 다른 어느 분야보다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이것은 고려속요가 다른 어느 것보다도 서정표출의 양상이 특징적이라는 데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서정을 표출하는 방식으로서 형식적 특징은 중요한 방식이다. 고려속요의 형식적 특징은 여음의 존재와 반복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나 여음은 여타 시가(詩歌)들과는 달리 고려속요의 모든 작품에서 예외 없이 나타나고 있고, 작품 내에서 그 양적인 비중도 클뿐더러, 다양한 층위에서 다양한 쓰임새를 가지고 있다. 여음은 곧 고려속요의 형식적인 특성일 뿐만 아니라 본사부와 더불어 하나의 시가작품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이며, 고려속요를 고려속요답게 만드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여음의 정의와 종류 및 기능에 따른 특징을 몇 가지로 분류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2. 여음의 개념
고려속요의 형식적 특징은 여음의 존재와 반복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여음은 여타시가들과는 달리 고려속요 전 작품에서 예외 없이 나타나고 있고, 작품 내에서 그 양적인 비중도 클뿐더러, 다양한 층위에서 다양한 쓰임새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여음은 고려속요의 한 형식적 지배 인자이자 양식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고려속요는 가창의 방식으로 수용되는데, 이때 여음이 그 리듬효과를 주도하였던 것이다. 이렇게 볼 때, 고려속요의 여음은 본사부와 더불어 하나의 시가작품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일 뿐 아니라 ‘고려속요를 고려속요이게’하는 것으로 존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여음이란 “시가에서 대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되풀이되어 나타나는 음성이나 말로서, 흥을 돋우거나 운율을 고루어 음악적 효과를 얻거나, 본사의 내용적 의미의 보충ㆍ강조 등을 행하기 위해 사용된 무의미한 사설 혹은 감탄적 사설”이란 의미로 사용할 수 있다. 정종진, 고려속요의 존재방식으로 본 여음考
3. 여음의 종류
여음의 종류는 그 위치에 따라 ①전치여음(前置餘音) ②중치여음(中置餘音) ③후치여음(後置餘音)으로 분류가 되고, 그 성분에 따라 ①감탄여음(感歎餘音) ②의성여음(擬聲餘音) ③어사여음(語辭餘音)으로 분류가 된다.
3.1. 위치별 분류
3.1.1. 전치여음
전치여음은 노래의 서두에서 각 연마다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고려 속요 가운데 전치여음을 가지고 있는 노래는 <상저가>뿐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