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속요 여음의 유형과 기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속요 여음의 유형과 기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여음의 정의
2. 여음의 유형
3. 여음의 기능
Ⅲ. 결론

본문내용

<고전시가교육론>
고려 속요 여음의 유형과 기능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1. 여음의 정의
2. 여음의 유형
3. 여음의 기능
Ⅲ. 결론
Ⅰ. 서론
고려속요에 뚜렷하게 나타나는 형태적 특징으로 여음(餘音)이라는 것이 있다. 여음은 흥과 멋을 돋우고 운율을 통해 음악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 사용된 무의미하고 감탄적인 사설을 뜻한다. 이는 원시시가의 생성과 더불어 발생하여 향가 고려가요에 이르기까지 그 모습을 변모하며 발전해 왔다.
고려속요란 시가작품의 형식적 특성은 여음의 존재와 반복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는 곧 고려속요를 고려속요답게 하는 방식이 된다. 특히 여음은 여타 시가들과는 달리 고려속요의 전 작품에서 예외 없이 나타나고 있고, 작품 내에서 그 양적 비중도 클 뿐더러, 다양한 층위에서 다양한 쓰임새를 가지고 있다.
이 장에서는 이러한 고려 속요에 쓰인 여음의 종류와 그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여음의 정의
여음이란 고려속요를 포함한 우리 고전시가에 등장하는 문학적 표현 중 하나로, ‘흥과 멋을 돋우거나 운율을 골라 음악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 사용된 무의미한 사설―실사(實辭)라 하더라도 무의미하게 전용된 경우―내지 감탄적 사설’이라 정의할 수 있다. 즉, 여음은 우리 시가에서 의미의 전달보다는 시의 맛을 살리고 흥과 율격, 의미를 확장하고자 쓰인 소리로서 대개 반복적으로 쓰인다.
2. 여음의 유형
가. 영탄 여음
① ‘아으’ 여음
‘아으’ 여음이 속요에 쓰인 예는 다음과 같다.
<정읍사>
아으 다롱디리
<동동>
아으 動動다리
<정과정>
아니시며 거츠르신 아으
넉시라도 님은 녀져라 아으
읏븐뎌 아으
<처용가>
아으 壽命長願샤 넙거신 니마해
아으 千金 머그샤 어위어신 이베
아으 界面 도샤 넙거신 바래
아으 處容 아비 마아만니여
아으 둘흔 내해어니와 둘흔 뉘해어니오
아으 熱病大神의 發願이샷다
이 ‘아으’ 여음은 현대국어의 감탄사 ‘아!’처럼, 기쁨슬픔칭찬뉘우침귀찮음 또는 절실한 느낌을 나타내거나, 그 밖의 놀람당황초조 등의 다양한 감정에 두루 쓰이는 일반적인 영탄 여음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② ‘위’ 여음
속요와 동시대의 시가인 경기체가에서 전대절과 후소절의 결구마다 나타난 감탄사 ‘위’는 다음의 노래에서 나타난다.
<가시리>
위 증즐가 대평성대
<서경별곡>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사모곡>
위 덩더둥셩
김사엽은 ‘위’를 “기세를 돕는 환호성에 가까우니 현재라도 남해 해안의 어부들이 부르는 노래에 ‘위’를 부르는데, 한 사람이 부르는 앞소리에 이어 여럿이 받는 뒷소리 처음에 ‘위’하고 기세를 돕는 소리”라고 풀이하고 있다. ‘위’를 이러한 환호성으로 보는 견해는 그 밖의 여러 사람도 일치하고 있는데, 이의 해명을 위해서는 ‘위’가 개입된 위치의 특수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위’ 여음은 모두 후렴구의 첫머리에 놓인다는 점을 착안하여, 여럿의 복창에서 소리를 고르는 위치라는 사실을 중시해야 할 것이다.
한편, <쌍화점>에 보이는 “위위 다로러거디러 다로러”의 ‘위위’ 또한 같은 배경으로서, 영탄 여음 ‘위’의 중첩이므로 한층 더 득의에 찬 메김소리라 판단된다.
③ ‘어긔야’ 여음
이 여음은 <정읍사>에만 보인다.
<정읍사>
어긔야 머리곰 비취오시라
어긔야 어강됴리
어긔야 즌 드욜세라
어긔야 어강됴리
어긔야 내 가논 졈그셰라
어긔야 어강됴리
이 노래에 나타난 ‘어긔야’에 대한 견해는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악률에 맞추어 의미없이 부르는 소리라는 견해이며, 또 하나는 배 젖는 소리나 무거운 짐을 나를 때의 소리로 보는 견해이다. 그러나 <정읍사>를 노동요로 볼 수 없으므로, 두 번째 이론은 타당하다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어긔야’를 특별한 여음으로 처리하여, 악률에 맞추어 부르는 소리 외에도 원망의 영탄 여음으로 구분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④ ‘아소 님하’ 여음
<정과정>
아소 님하 도람 드르샤 괴오쇼셔
<이상곡>
아소 님하 녀
  • 가격1,6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8.11.25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13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