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망매가>의 내용
2. <제망매가>의 주제
3. <제망매가> 기존 연구
4. 서정시 <제망매가>, 씻김의 미학
2. <제망매가>의 주제
3. <제망매가> 기존 연구
4. 서정시 <제망매가>, 씻김의 미학
본문내용
누이의 죽음에서 오는 슬픔과 무상함을 노래하고 종교에 귀의함으로 극복하고 있다.
이 노래는 10구체 향가의 전형적인 모습인 3단 구성으로 이루어졌다. [가]단락에서는 누이의 죽음을 괴로워하며 혈육을 정을 노래했고, [나]단락에서는 생명체의 무상함에 대한 고뇌를 노래하고 있다. 마지막 [다]단락에서는 이승에서의 슬픔과 고뇌를 불교적 믿음에 의해 초극하고 재회의 기약을 다짐하고 있다.
2. <제망매가>의 주제
누이의 죽음을 추모하고 종교를 통해 슬픔을 극복
3. <제망매가>의 기존 연구
1) 次伊遣의 해독문제
작품 <제망매가>의 해독에서 지금까지 상이한 독해를 하고 있는 부분은 제2구의 次伊遣이다. 그 상이한 독해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타난다.
① 저히고 양주동, 「고가연구」, (일조각, 1965), pp.543~544.
② 머뭇거리고 김완진, 「향가해독법연구」, (서울대출판부, 1980), p.125.
③ 버글거리고 양희철, 「제망매가의 의미와 형상」, (국어국문학 102호, 1989), p.245.
이 가운데 ①은 양주동의 해독이고 ②는 김완진의 해독이다. 그리고 ③은 양희철과 강길운의 최근 해독이다. 양주동은 ‘次’ 字를 음차로 보고 ‘저’로 해독하였다. 김완진은 ‘次’ 字를 훈독하여 ‘머뭇’으로 읽었으며 양희철, 강길운 역시 훈독으로 풀이하되 ‘버’로 읽고 있다. 이들 세 가지 다른 해독은 ‘次’ 字를 음차로 읽느냐 훈독으로 하느냐에서 비롯된 것이다. 임기중 외, 「새로 읽는 향가문학」, (아세아문화사 1998), p.191.
양주동 해독
김완진 해독
生死路
예 이샤매 저히고
나 가다 말ㅅ도
이 노래는 10구체 향가의 전형적인 모습인 3단 구성으로 이루어졌다. [가]단락에서는 누이의 죽음을 괴로워하며 혈육을 정을 노래했고, [나]단락에서는 생명체의 무상함에 대한 고뇌를 노래하고 있다. 마지막 [다]단락에서는 이승에서의 슬픔과 고뇌를 불교적 믿음에 의해 초극하고 재회의 기약을 다짐하고 있다.
2. <제망매가>의 주제
누이의 죽음을 추모하고 종교를 통해 슬픔을 극복
3. <제망매가>의 기존 연구
1) 次伊遣의 해독문제
작품 <제망매가>의 해독에서 지금까지 상이한 독해를 하고 있는 부분은 제2구의 次伊遣이다. 그 상이한 독해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타난다.
① 저히고 양주동, 「고가연구」, (일조각, 1965), pp.543~544.
② 머뭇거리고 김완진, 「향가해독법연구」, (서울대출판부, 1980), p.125.
③ 버글거리고 양희철, 「제망매가의 의미와 형상」, (국어국문학 102호, 1989), p.245.
이 가운데 ①은 양주동의 해독이고 ②는 김완진의 해독이다. 그리고 ③은 양희철과 강길운의 최근 해독이다. 양주동은 ‘次’ 字를 음차로 보고 ‘저’로 해독하였다. 김완진은 ‘次’ 字를 훈독하여 ‘머뭇’으로 읽었으며 양희철, 강길운 역시 훈독으로 풀이하되 ‘버’로 읽고 있다. 이들 세 가지 다른 해독은 ‘次’ 字를 음차로 읽느냐 훈독으로 하느냐에서 비롯된 것이다. 임기중 외, 「새로 읽는 향가문학」, (아세아문화사 1998), p.191.
양주동 해독
김완진 해독
生死路
예 이샤매 저히고
나 가다 말ㅅ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