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본문내용
와 같이 가야 합니다.”
於是在槽上檢了兩頭快驢, 備上行囊, 向州大路進發。
이에 말구유에서 두 마리 빠른 나귀를 점검하고 행낭을 준비해 청주를 향하여 큰 길로 출발했다.
行不兩日, 見有三四個戴紅巾的兵丁, 住問道:“們是恁樣人, 往那裏去的?”
恁樣人: 이러한 사람. 이와 같은 사람
간지 2일이 안되어 3,4명 홍색 두건을 쓴 병사를 보고 가로막고 물었다. “이와 같은 당신들 어디로 가십니까?”
淳風科, 便下了驢, 拱手答道:“大哥可是守的?”
동순풍이 쳐다보고 곧 나귀에서 내려 손을 맞잡고 물었다. “형님은 수신이 아니십니까?”
兵丁笑道:“守的都了, 還留到如今。”
守:xun shu,是指地防守位
병정이 웃으면서 말했다. “수신은 모두 마셨고 다시 지금처럼 남아 있습니다.”
淳風道:“這樣說起來, 是石寨的義士了。”
동순풍이 말했다. “이렇게 설명하니 사석채의 의사입니다.”
兵丁道:“虧猜!”
병정이 말했다. “당신이 의심해서입니다!”
將手指着前面道:“兀的不是我們賓將軍的大寨?”
兀的 [wude] ① 이(것) ② 문득 ③ 어찌 ④ 그(것)
전면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말했다. “이것이 우리 빈장군의 큰 영채가 아니겠습니까?”
淳風道:“好, 煩大哥引見賓將軍, 小可有話稟。”
동순풍이 말했다. “좋소, 형님께서 빈장군을 만나게 해주시면 제가 아뢸 말이 있습니다.”
兵丁道:“不是兒的, 先與我說是甚事。”
병정이 말했다. “아이 장난도 아니고 당신이 먼저 나에게 어떤 일인지 말해보십시오.”
淳風道:“星夜奔來, 只爲着的軍機二字, 漏泄不得。借重通報一聲, 將來自然知道。”
동순풍이 말했다. “저녁에 달려와서 단지 군사 기밀을 위해 2글자를 발설할수 없소. 중요한 통보이니 자연 알게 될 것입니다.”
又一個兵丁道:“誰耐煩通報, 知道是細作不是!拿他去見賓將軍就是了。”
또 한명 병정이 말했다. “번거롭게 통보하려는데 간첩일지 모르지 않소? 그를 잡아 빈장군에게 보여주면 될것입니다.”
將繩子向頸上套來, 淳風一手接住道:“不消得, 就此同去。”
不消 [buxio] ① …할 필요가 없다 ② 견딜 수 없다 ③ 필요하지 않다 ④ …할 나위가 없다
줄을 가지고 목에 묶으니 동순풍은 한 손으로 잡고 말했다. “이럴 필요 없고, 이에 같이 가십시다.”
那些兵丁做好做的, 擁到大營, 說拿了兩個跡可疑的人解來了。
做做好: zuo qian zuo ho. 比用各理由或方式反
저 병정은 반복해 권하고 대영에 데려가 두명 종적이 의심되는 사람을 압송해 왔다고 설명했다.
賓鴻卽升帳, 令押進, 淳風與司韜立而不, 左右刀斧手喝一聲, 二人全然不懼。
喝 [yohe] ① 고함치다 ② 큰 소리로 외치다
빈홍은 장막에 올라 잡아오라고 하니 동순풍과 사위가 서며 꿇어앉아 좌우 도부수는 한번 일갈하니 두 사람은 전혀 두려워하지 않았다.
淳風徐徐而言道:“將軍可要萊州府?在下備個謹具帖兒送在這裏, 望乞稍霽威嚴, 以便呈上。”
帖 [tir] ① 글 쪽지 ② 벽보 ③ 삐라
동순풍은 서서히 말했다. “장군께서 내주부를 요구하지 않으십니까? 제가 삼가 첩을 이곳에 보내면 조금 위엄을 푸신다면 곧 올리겠습니다.”
賓鴻道:“好個利口!一定是奸細。”
빈홍이 말했다. “말 잘하는구나! 반드시 간사한 세작같다.”
喝令推出斬首, 刀斧手下去。
[chzhuai] 잡아끌다
일갈해 끌어내 참수하게 하니 도부수는 잡아 끌어 갔다.
淳風聲道:“不納良謀, 斬我便了!只這位是殉難忠臣的公子, 他來投我, 我反累他, 如何向黃泉路上去見司公!”
동순풍이 사나운 소리로 말했다. “좋은 계책을 받아들이지 않고 저를 참수하십니까? 단지 이분은 난리에 순국한 충신 공자로 그가 저에게 투신을 왔지만 제 죄가 반대로 그에 연루되니 어찌 황천길에서 사공을 만나러 가겠습니까?”
賓鴻聽了這話, 連忙帶轉來, 問:“是何殉難的公子?”
빈홍이 이 말을 듣고 바삐 다시 데려오라고 하고 물었다. “난리에 순국한 어떤 분의 공자시오?”
司韜道:“們枉起義兵, 連鐵面司都御吏都不曉得?”
사위가 말했다. “저희 가문이 잘못 의병을 일으켜 철면 사도어리까지 모두 알아보지 못하십니까?”
賓鴻隨下座, 揖遜至帳中分賓主坐定, 問淳風姓氏。
빈홍이 곧 자리에서 내려와 읍하면서 공손하게 장막안에 손님과 주인자리를 나눠 좌정하고 동순풍 성씨를 물었다.
答道:“在下姓仝名然, 字淳風, 這位是司僉都諱中的公子。”
그가 대답했다. “저의 성은 동이며 이름은 연이고 자는 순풍으로 이분은 사첨도 휘중의 공자입니다.”
賓鴻道:“何不早說!幾乎我做了不赦的罪人。”
빈홍이 말했다. “어찌 빨리 말하지 않으셨습니까? 거의 제가 사면할 수 없는 죄인이 될 뻔했습니다!”
淳風道:“不敢, 行軍之際, 豈可不嚴爲防範。”
동순풍이 말했다. “감히 못했습니다. 행군할 때 어찌 엄밀하게 방비하지 않겠습니까?”
賓鴻道:“正是日前監軍有令, 凡客商向西者許走, 向東者皆令宿於客店, 不許前行, 以防通漏消息。若無貨物, 卽系可疑, 皆須拿來駁問明白, 然後發放。所以有此一番, 多多得罪。”
빈홍이 말했다. “바로 앞날 감군의 명령으로 상인은 서쪽을 향하는 사람만 달려감을 허락하고 동쪽을 향하는 자는 모두 객점에서 숙박하게 하며 앞서 가게 하지 않아 소식을 누설함을 방비했습니다. 만약 물건이 없으면 의심하니 모두 반드시 잡아와 명백하게 심문한 뒤에 놔주었습니다. 그래서 이 한번 많이 죄를 졌습니다.”
一面詳詢來由, 一面令小校飛馬請高監軍及劉將軍到營, 與仝淳風、司韜相見, 備陳始末。
[beichen]① 상세히 말하다 ② 상술(詳述)하다
한편으로 온 연유를 자세히 묻고 한편으로 하급장교에게 빨리 말을 달려 고감군과 유장군 군영에 도달하게 하여 동순풍, 사위와 보게 하며 시말을 다 진술
高監軍肅然致敬道:“不意今日英雄, 都是殉難的忠嗣。”
고감군이 숙연해져 공경하며 말했다. “뜻하지 않게 오늘 영웅은 모두 난리에 순국한 충성이 있는 대이은 사람입니다.”
阿蠻兒道:“汝父與我父, 系是同年同寅, 而又同時殉難。今我與汝, 又得同聚於此, 報雪憤, 定自有日。”
아만아가 말했다. “당신 부친과 제 부친은 모두 같은해 과거에 급제했고 또 동시에 난리에 순국했습니다. 지금 저와 당신이 또 이 곳에서 같이 만나 원한과 분노를 풀 날이 있을 것입니다.”
淳風隨問司公如何殉難, 高參軍約略一說, 司韜放聲大哭。
동순풍은 곧 사공이 어찌 난리에서 순국한지
於是在槽上檢了兩頭快驢, 備上行囊, 向州大路進發。
이에 말구유에서 두 마리 빠른 나귀를 점검하고 행낭을 준비해 청주를 향하여 큰 길로 출발했다.
行不兩日, 見有三四個戴紅巾的兵丁, 住問道:“們是恁樣人, 往那裏去的?”
恁樣人: 이러한 사람. 이와 같은 사람
간지 2일이 안되어 3,4명 홍색 두건을 쓴 병사를 보고 가로막고 물었다. “이와 같은 당신들 어디로 가십니까?”
淳風科, 便下了驢, 拱手答道:“大哥可是守的?”
동순풍이 쳐다보고 곧 나귀에서 내려 손을 맞잡고 물었다. “형님은 수신이 아니십니까?”
兵丁笑道:“守的都了, 還留到如今。”
守:xun shu,是指地防守位
병정이 웃으면서 말했다. “수신은 모두 마셨고 다시 지금처럼 남아 있습니다.”
淳風道:“這樣說起來, 是石寨的義士了。”
동순풍이 말했다. “이렇게 설명하니 사석채의 의사입니다.”
兵丁道:“虧猜!”
병정이 말했다. “당신이 의심해서입니다!”
將手指着前面道:“兀的不是我們賓將軍的大寨?”
兀的 [wude] ① 이(것) ② 문득 ③ 어찌 ④ 그(것)
전면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말했다. “이것이 우리 빈장군의 큰 영채가 아니겠습니까?”
淳風道:“好, 煩大哥引見賓將軍, 小可有話稟。”
동순풍이 말했다. “좋소, 형님께서 빈장군을 만나게 해주시면 제가 아뢸 말이 있습니다.”
兵丁道:“不是兒的, 先與我說是甚事。”
병정이 말했다. “아이 장난도 아니고 당신이 먼저 나에게 어떤 일인지 말해보십시오.”
淳風道:“星夜奔來, 只爲着的軍機二字, 漏泄不得。借重通報一聲, 將來自然知道。”
동순풍이 말했다. “저녁에 달려와서 단지 군사 기밀을 위해 2글자를 발설할수 없소. 중요한 통보이니 자연 알게 될 것입니다.”
又一個兵丁道:“誰耐煩通報, 知道是細作不是!拿他去見賓將軍就是了。”
또 한명 병정이 말했다. “번거롭게 통보하려는데 간첩일지 모르지 않소? 그를 잡아 빈장군에게 보여주면 될것입니다.”
將繩子向頸上套來, 淳風一手接住道:“不消得, 就此同去。”
不消 [buxio] ① …할 필요가 없다 ② 견딜 수 없다 ③ 필요하지 않다 ④ …할 나위가 없다
줄을 가지고 목에 묶으니 동순풍은 한 손으로 잡고 말했다. “이럴 필요 없고, 이에 같이 가십시다.”
那些兵丁做好做的, 擁到大營, 說拿了兩個跡可疑的人解來了。
做做好: zuo qian zuo ho. 比用各理由或方式反
저 병정은 반복해 권하고 대영에 데려가 두명 종적이 의심되는 사람을 압송해 왔다고 설명했다.
賓鴻卽升帳, 令押進, 淳風與司韜立而不, 左右刀斧手喝一聲, 二人全然不懼。
喝 [yohe] ① 고함치다 ② 큰 소리로 외치다
빈홍은 장막에 올라 잡아오라고 하니 동순풍과 사위가 서며 꿇어앉아 좌우 도부수는 한번 일갈하니 두 사람은 전혀 두려워하지 않았다.
淳風徐徐而言道:“將軍可要萊州府?在下備個謹具帖兒送在這裏, 望乞稍霽威嚴, 以便呈上。”
帖 [tir] ① 글 쪽지 ② 벽보 ③ 삐라
동순풍은 서서히 말했다. “장군께서 내주부를 요구하지 않으십니까? 제가 삼가 첩을 이곳에 보내면 조금 위엄을 푸신다면 곧 올리겠습니다.”
賓鴻道:“好個利口!一定是奸細。”
빈홍이 말했다. “말 잘하는구나! 반드시 간사한 세작같다.”
喝令推出斬首, 刀斧手下去。
[chzhuai] 잡아끌다
일갈해 끌어내 참수하게 하니 도부수는 잡아 끌어 갔다.
淳風聲道:“不納良謀, 斬我便了!只這位是殉難忠臣的公子, 他來投我, 我反累他, 如何向黃泉路上去見司公!”
동순풍이 사나운 소리로 말했다. “좋은 계책을 받아들이지 않고 저를 참수하십니까? 단지 이분은 난리에 순국한 충신 공자로 그가 저에게 투신을 왔지만 제 죄가 반대로 그에 연루되니 어찌 황천길에서 사공을 만나러 가겠습니까?”
賓鴻聽了這話, 連忙帶轉來, 問:“是何殉難的公子?”
빈홍이 이 말을 듣고 바삐 다시 데려오라고 하고 물었다. “난리에 순국한 어떤 분의 공자시오?”
司韜道:“們枉起義兵, 連鐵面司都御吏都不曉得?”
사위가 말했다. “저희 가문이 잘못 의병을 일으켜 철면 사도어리까지 모두 알아보지 못하십니까?”
賓鴻隨下座, 揖遜至帳中分賓主坐定, 問淳風姓氏。
빈홍이 곧 자리에서 내려와 읍하면서 공손하게 장막안에 손님과 주인자리를 나눠 좌정하고 동순풍 성씨를 물었다.
答道:“在下姓仝名然, 字淳風, 這位是司僉都諱中的公子。”
그가 대답했다. “저의 성은 동이며 이름은 연이고 자는 순풍으로 이분은 사첨도 휘중의 공자입니다.”
賓鴻道:“何不早說!幾乎我做了不赦的罪人。”
빈홍이 말했다. “어찌 빨리 말하지 않으셨습니까? 거의 제가 사면할 수 없는 죄인이 될 뻔했습니다!”
淳風道:“不敢, 行軍之際, 豈可不嚴爲防範。”
동순풍이 말했다. “감히 못했습니다. 행군할 때 어찌 엄밀하게 방비하지 않겠습니까?”
賓鴻道:“正是日前監軍有令, 凡客商向西者許走, 向東者皆令宿於客店, 不許前行, 以防通漏消息。若無貨物, 卽系可疑, 皆須拿來駁問明白, 然後發放。所以有此一番, 多多得罪。”
빈홍이 말했다. “바로 앞날 감군의 명령으로 상인은 서쪽을 향하는 사람만 달려감을 허락하고 동쪽을 향하는 자는 모두 객점에서 숙박하게 하며 앞서 가게 하지 않아 소식을 누설함을 방비했습니다. 만약 물건이 없으면 의심하니 모두 반드시 잡아와 명백하게 심문한 뒤에 놔주었습니다. 그래서 이 한번 많이 죄를 졌습니다.”
一面詳詢來由, 一面令小校飛馬請高監軍及劉將軍到營, 與仝淳風、司韜相見, 備陳始末。
[beichen]① 상세히 말하다 ② 상술(詳述)하다
한편으로 온 연유를 자세히 묻고 한편으로 하급장교에게 빨리 말을 달려 고감군과 유장군 군영에 도달하게 하여 동순풍, 사위와 보게 하며 시말을 다 진술
高監軍肅然致敬道:“不意今日英雄, 都是殉難的忠嗣。”
고감군이 숙연해져 공경하며 말했다. “뜻하지 않게 오늘 영웅은 모두 난리에 순국한 충성이 있는 대이은 사람입니다.”
阿蠻兒道:“汝父與我父, 系是同年同寅, 而又同時殉難。今我與汝, 又得同聚於此, 報雪憤, 定自有日。”
아만아가 말했다. “당신 부친과 제 부친은 모두 같은해 과거에 급제했고 또 동시에 난리에 순국했습니다. 지금 저와 당신이 또 이 곳에서 같이 만나 원한과 분노를 풀 날이 있을 것입니다.”
淳風隨問司公如何殉難, 高參軍約略一說, 司韜放聲大哭。
동순풍은 곧 사공이 어찌 난리에서 순국한지
추천자료
채동번 동한 역사소설 『후한통속연의(後漢通俗演義)』 25회 26회 27회 한문 및 한글번역
채동번의 중국 청나라 역사소설 청사통속연의 25회 26회 27회 한문 및 한글번역
채동번의 당나라 역사소설 당사통속연의 25회 26회 27회 한문 및 한글번역 74페이지
채동번의 중국 5대사역사소설 오대사통속연의 25회 26회 27회 한문 및 한글번역
여선외사1회 2회 3회 한문 및 한글번역
청나라 여웅 역사소설 당새아 여선외사 10회 11회 12회 한문 및 한글번역
청나라 여웅의 당새아 역사소설 여선외사 16회 17회 18회 한문 및 한글번역 53페이지
중국 당새아 여자영웅 여선외사 19회 20회 21회 한문 및 한글번역
청나라 여웅 당새아 여자영웅 여선외사 22회 23회 24회 한문 및 한글번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