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목차
第一回西王母瑤池開宴 天狼星月殿求姻
第二回蒲臺縣嫦娥降世 林宦家后羿投胎
第三回 鮑仙姑化身作乳母 唐賽兒誕日悟前因
第二回蒲臺縣嫦娥降世 林宦家后羿投胎
第三回 鮑仙姑化身作乳母 唐賽兒誕日悟前因
본문내용
다. 우측에 목위는 청화제군 첫째이며 이하 모두 여러 대진인이다.
西間南向獨坐是南海大士;
서쪽에 남쪽을 향하여 홀로 남해대사가 앉아 있다.
北向兩座, 左爲斗天尊, 右爲九天玄女。
(할미 모; -총9획; lao,mu)
북쪽에 두 좌석이 있어서 좌측은 두모천존이며 우측은 구천현녀였다.
東向首座鬼母天尊, 西向首座天孫織女, 餘爲太微左夫人、九華安妃、昭靈夫人、觀香夫人、月殿嫦娥、魏元君、許飛瓊、段安香、何仙姑、麻姑、樊夫人、王太眞、阮靈華、周瓊英、鮑道姑、吳彩鸞、雲英等女仙眞。
동쪽 수좌는 귀모천존이며 서쪽 수좌에는 천손직녀이며 나머지 태미좌부인, 구화안비, 소령부인, 관향부인, 월전항아, 위원군 허비경, 단안향, 하선고, 마고, 번부인, 왕태진, 완영화, 주경영, 포도고, 오채란, 운영등 여선진이 있다.
西王母陪席。
서왕모가 자리에서 모셨다.
其蟠桃每人一顆, 上帝、三、佛祖各兩顆, 唯釋迦如來是三。
반도는 매 한 사람이 한 알로 상제, 삼청, 불조는 각자 2알로 유독 석가여래만 3개였다.
佐以交梨火棗, 雪藕桃。
交梨:신선이 먹는다는 배로 일종의 선과(仙果)이다
火棗 : 전설 속에 나오는 신선들이 먹는 과일로, 이를 먹으면 우화비행(羽化飛行)한다
교리와 화조로 보좌하고 설우와 얼음 복숭아도 있었다.
酒則瓊漿玉液, 丹則絳雪玄霜。
술은 경장과 옥액 단은 강설과 현상이었다.
如來手蟠桃而設偈曰:桃有萬年子, 人無百歲春。
여래는 손에 반도를 들어 게송을 지었다. 복숭아는 만년자로 사람은 백세의 봄이 없다.
可憐虛寶筏, 若個渡迷津?
筏 [bofa] ① 귀중한 뗏목 ② 미혹을 풀어 주는 사상이나 학설 ③ 불법(佛法)
迷津 [mijn] ① 잘못 든 길 ② 세속의 번뇌 ③ 틀린 방향
가련한 헛된 보배 뗏목은 만약 미혹한 나루를 건널수 있을 것인가?
然後剖食。
연후에 잘라 먹었다.
迦葉在側垂涎, 阿難而笑之, 如來卽以一桃與迦葉, 一桃與阿難。
가섭은 옆에서 침을 흘리며 아난은 흘겨보고 웃고 여래는 한 복숭아를 가섭에 주고 한 복숭아는 아난에게 주었다.
道祖老君亦以一枚與金銀二童子分食。
도조노군도 또 한 복숭아를 금은 2동자에게 나눠 먹게 했다.
時南極老人跨來之鶴, 舒翼旋舞, 延頸徐鳴, 如中音節。
당시 남극노인이 걸터앉은 학은 날개를 펴고 춤추니 목을 빼고 천천 울며 음절에 맞았다.
而鹿亦跳躍, 俯首伏地, 若乞憐狀。
(울 유; -총8획; you) [yuyu] ① 사슴이 우는 소리 ② 슬픈 소리
사슴도 또 뛰어다니면서 슬피 울고 머리를 땅에 숙이며 마치 가련함을 구걸하는 모양이었다.
南極笑曰:“這兩個畜生, 也想要吃這樣的好東西。”
남극노인이 웃으면서 말했다. “너희 이 두 축생은 이런 좋은 물건을 먹고 싶은가보구나.”
因以指爪各一片與之。
(딸 겹; -총11획; qia)
손가락과 손톱으로 각자 한조각을 따서 주었다.
大士見善財童子在旁注視, 亦授以一枚。
남해대사는 선재동자가 옆에서 주시함을 보고 또 복숭아 한 매를 주었다.
善財曰:“菩薩想是年老健忘了。我在西天路上做大王要吃唐僧, 那時菩薩下個兒, 將我兩手合住, 再不得開, 如何來接桃子?”
合住 [hezhu] ① 합치다 ② 쥐다 ③ 함께 살다 ④ 잡다
선재동재가 말했다. “보살이 연로해 건망이 있다. 내가 서천 길에서 대왕에게 당나라 승려를 먹게 했는데 저 당시 보살은 금테를 버려 내가 두 손으로 잡아서 다시 열지 않았는데 어찌 복숭아를 접했겠습니까?”
大士向著衆女仙道:“這個孩子雖是牛種, 到也聰明。只是他學好之心却還未定, 是以至今住他雙手。”
남해대사는 여러 여선을 향해 말했다. “이 아이가 비록 소 종류이지만 총명하다. 단지 그는 학문을 좋아하는 마음이 아직 결정이 안되니 그래서 지금 그의 두 손을 테로 묶었다.”
衆女仙皆各稱善, 大士將手一指, 善財兩手分開, 接去桃子。
여러 여선은 모두 좋다고 하며 남해대사는 한 손가락으로 선재동자는 양손으로 쪼개 복숭아를 접해 보냈다.
吃畢, 仍舊合了。
合 [he//lng] ① 한데 합치다 ② 합하다 ③ 닫다
다 먹고 여전히 한데 합쳤다.
有嫦娥左右二仙女, 一名素英, 一名寒簧, 是最親近的。
名寒의 원문은 句寒이다.
항아 좌우 2선녀는 한명은 소영이며 한명은 한황으로 가장 친근하였다.
嫦娥以蟠桃分作三分, 以二小分與二仙女, 一大分自嘗。
항아는 반도를 3조각내어서 2작은 분량을 2선녀에게 주고 한 큰 부분은 자신이 먹었다.
王母見了, 便問侍女董雙成、謝長珠:“還剩下蟠桃多少?”
서왕모가 보고 곧 시녀 동쌍성 사장주에게 물었다. “다시 반도 복숭아가 얼만큼 남았는가?”
董仙女就知要與嫦娥, 因答云:“往年結得少, 到剩二十餘枚;今歲結得多, 反剩得十一顆。”
동선녀는 중요부분을 항아에게 주고 대답했다. “작년 결실이 적고 단지 20여매만 남았습니다. 올해는 결식이 많아 반대로 11알이 남았습니다.”
王母云:“這吝!可取一個來, 餘十枚留與們分吃罷。”
[yhuan] 머리를 얹은 젊은 여자 종① 계집종 ② 시녀 ③ 여복
서왕모가 말했다. “이 하녀가 인색하구나! 한 개 가져오고 나머지 10개는 당신들에게 남겨서 먹게 하겠다.”
董仙女因檢一枚送到, 王母隨遞與嫦娥道:“嫦娥, 今將遠別, 分外申敬一枚。”
分外 [fenwai] ① 유달리 ② 본분 밖의 일 ③ 특별히
申敬 [shnjing] 경의를 표하다
동선녀는 한 매를 검사해 보내오고 서왕모는 항아에게 주었다. “항아, 지금 멀리 이별하려고 하니 특별히 한매를 공경을 표하고 주겠습니다.”
嫦娥不知所謂, 只道是筵散分別的話, 欠身謝道:“佛祖、道祖止有二顆, 小仙何德敢承?”
항아는 말할 것을 모르고 단지 잔치가 끝고 헤어지는 말을 하면서 몸을 굽혀 감사하고 말했다. “불조, 도조는 단지 2알인데 제가 어찌 감히 받을 덕이 있겠습니까?”
堅辭不受。
단단히 사양하고 받지 않았다.
戰勝佛大言曰:“誰謂仙家無情?以我看來, 比凡人還勝。請看王母剩下蟠桃, 獨與嫦娥, 若說不是有情, 因何不多送我一顆?”
투전승불이 큰 소리를 쳤다. “누가 선가가 무정하다고 합니까? 저를 보면 보통 사람보다 낫습니다. 보기에 서왕모께서 반도복숭아가 남아서 유독 항아에게만 주니 만약 정이 없다고 하면 어찌 제게도 한 알을 보내주시지 않으십니까?”
如來日:“王母送與嫦娥, 禮也, 非情也。猶如下界錢行一般。悟空已成佛, 何猶似舊日粗鹵?”
行 [qianhang]
粗 [cl] 粗거
西間南向獨坐是南海大士;
서쪽에 남쪽을 향하여 홀로 남해대사가 앉아 있다.
北向兩座, 左爲斗天尊, 右爲九天玄女。
(할미 모; -총9획; lao,mu)
북쪽에 두 좌석이 있어서 좌측은 두모천존이며 우측은 구천현녀였다.
東向首座鬼母天尊, 西向首座天孫織女, 餘爲太微左夫人、九華安妃、昭靈夫人、觀香夫人、月殿嫦娥、魏元君、許飛瓊、段安香、何仙姑、麻姑、樊夫人、王太眞、阮靈華、周瓊英、鮑道姑、吳彩鸞、雲英等女仙眞。
동쪽 수좌는 귀모천존이며 서쪽 수좌에는 천손직녀이며 나머지 태미좌부인, 구화안비, 소령부인, 관향부인, 월전항아, 위원군 허비경, 단안향, 하선고, 마고, 번부인, 왕태진, 완영화, 주경영, 포도고, 오채란, 운영등 여선진이 있다.
西王母陪席。
서왕모가 자리에서 모셨다.
其蟠桃每人一顆, 上帝、三、佛祖各兩顆, 唯釋迦如來是三。
반도는 매 한 사람이 한 알로 상제, 삼청, 불조는 각자 2알로 유독 석가여래만 3개였다.
佐以交梨火棗, 雪藕桃。
交梨:신선이 먹는다는 배로 일종의 선과(仙果)이다
火棗 : 전설 속에 나오는 신선들이 먹는 과일로, 이를 먹으면 우화비행(羽化飛行)한다
교리와 화조로 보좌하고 설우와 얼음 복숭아도 있었다.
酒則瓊漿玉液, 丹則絳雪玄霜。
술은 경장과 옥액 단은 강설과 현상이었다.
如來手蟠桃而設偈曰:桃有萬年子, 人無百歲春。
여래는 손에 반도를 들어 게송을 지었다. 복숭아는 만년자로 사람은 백세의 봄이 없다.
可憐虛寶筏, 若個渡迷津?
筏 [bofa] ① 귀중한 뗏목 ② 미혹을 풀어 주는 사상이나 학설 ③ 불법(佛法)
迷津 [mijn] ① 잘못 든 길 ② 세속의 번뇌 ③ 틀린 방향
가련한 헛된 보배 뗏목은 만약 미혹한 나루를 건널수 있을 것인가?
然後剖食。
연후에 잘라 먹었다.
迦葉在側垂涎, 阿難而笑之, 如來卽以一桃與迦葉, 一桃與阿難。
가섭은 옆에서 침을 흘리며 아난은 흘겨보고 웃고 여래는 한 복숭아를 가섭에 주고 한 복숭아는 아난에게 주었다.
道祖老君亦以一枚與金銀二童子分食。
도조노군도 또 한 복숭아를 금은 2동자에게 나눠 먹게 했다.
時南極老人跨來之鶴, 舒翼旋舞, 延頸徐鳴, 如中音節。
당시 남극노인이 걸터앉은 학은 날개를 펴고 춤추니 목을 빼고 천천 울며 음절에 맞았다.
而鹿亦跳躍, 俯首伏地, 若乞憐狀。
(울 유; -총8획; you) [yuyu] ① 사슴이 우는 소리 ② 슬픈 소리
사슴도 또 뛰어다니면서 슬피 울고 머리를 땅에 숙이며 마치 가련함을 구걸하는 모양이었다.
南極笑曰:“這兩個畜生, 也想要吃這樣的好東西。”
남극노인이 웃으면서 말했다. “너희 이 두 축생은 이런 좋은 물건을 먹고 싶은가보구나.”
因以指爪各一片與之。
(딸 겹; -총11획; qia)
손가락과 손톱으로 각자 한조각을 따서 주었다.
大士見善財童子在旁注視, 亦授以一枚。
남해대사는 선재동자가 옆에서 주시함을 보고 또 복숭아 한 매를 주었다.
善財曰:“菩薩想是年老健忘了。我在西天路上做大王要吃唐僧, 那時菩薩下個兒, 將我兩手合住, 再不得開, 如何來接桃子?”
合住 [hezhu] ① 합치다 ② 쥐다 ③ 함께 살다 ④ 잡다
선재동재가 말했다. “보살이 연로해 건망이 있다. 내가 서천 길에서 대왕에게 당나라 승려를 먹게 했는데 저 당시 보살은 금테를 버려 내가 두 손으로 잡아서 다시 열지 않았는데 어찌 복숭아를 접했겠습니까?”
大士向著衆女仙道:“這個孩子雖是牛種, 到也聰明。只是他學好之心却還未定, 是以至今住他雙手。”
남해대사는 여러 여선을 향해 말했다. “이 아이가 비록 소 종류이지만 총명하다. 단지 그는 학문을 좋아하는 마음이 아직 결정이 안되니 그래서 지금 그의 두 손을 테로 묶었다.”
衆女仙皆各稱善, 大士將手一指, 善財兩手分開, 接去桃子。
여러 여선은 모두 좋다고 하며 남해대사는 한 손가락으로 선재동자는 양손으로 쪼개 복숭아를 접해 보냈다.
吃畢, 仍舊合了。
合 [he//lng] ① 한데 합치다 ② 합하다 ③ 닫다
다 먹고 여전히 한데 합쳤다.
有嫦娥左右二仙女, 一名素英, 一名寒簧, 是最親近的。
名寒의 원문은 句寒이다.
항아 좌우 2선녀는 한명은 소영이며 한명은 한황으로 가장 친근하였다.
嫦娥以蟠桃分作三分, 以二小分與二仙女, 一大分自嘗。
항아는 반도를 3조각내어서 2작은 분량을 2선녀에게 주고 한 큰 부분은 자신이 먹었다.
王母見了, 便問侍女董雙成、謝長珠:“還剩下蟠桃多少?”
서왕모가 보고 곧 시녀 동쌍성 사장주에게 물었다. “다시 반도 복숭아가 얼만큼 남았는가?”
董仙女就知要與嫦娥, 因答云:“往年結得少, 到剩二十餘枚;今歲結得多, 反剩得十一顆。”
동선녀는 중요부분을 항아에게 주고 대답했다. “작년 결실이 적고 단지 20여매만 남았습니다. 올해는 결식이 많아 반대로 11알이 남았습니다.”
王母云:“這吝!可取一個來, 餘十枚留與們分吃罷。”
[yhuan] 머리를 얹은 젊은 여자 종① 계집종 ② 시녀 ③ 여복
서왕모가 말했다. “이 하녀가 인색하구나! 한 개 가져오고 나머지 10개는 당신들에게 남겨서 먹게 하겠다.”
董仙女因檢一枚送到, 王母隨遞與嫦娥道:“嫦娥, 今將遠別, 分外申敬一枚。”
分外 [fenwai] ① 유달리 ② 본분 밖의 일 ③ 특별히
申敬 [shnjing] 경의를 표하다
동선녀는 한 매를 검사해 보내오고 서왕모는 항아에게 주었다. “항아, 지금 멀리 이별하려고 하니 특별히 한매를 공경을 표하고 주겠습니다.”
嫦娥不知所謂, 只道是筵散分別的話, 欠身謝道:“佛祖、道祖止有二顆, 小仙何德敢承?”
항아는 말할 것을 모르고 단지 잔치가 끝고 헤어지는 말을 하면서 몸을 굽혀 감사하고 말했다. “불조, 도조는 단지 2알인데 제가 어찌 감히 받을 덕이 있겠습니까?”
堅辭不受。
단단히 사양하고 받지 않았다.
戰勝佛大言曰:“誰謂仙家無情?以我看來, 比凡人還勝。請看王母剩下蟠桃, 獨與嫦娥, 若說不是有情, 因何不多送我一顆?”
투전승불이 큰 소리를 쳤다. “누가 선가가 무정하다고 합니까? 저를 보면 보통 사람보다 낫습니다. 보기에 서왕모께서 반도복숭아가 남아서 유독 항아에게만 주니 만약 정이 없다고 하면 어찌 제게도 한 알을 보내주시지 않으십니까?”
如來日:“王母送與嫦娥, 禮也, 非情也。猶如下界錢行一般。悟空已成佛, 何猶似舊日粗鹵?”
行 [qianhang]
粗 [cl] 粗거
추천자료
채동번의 당나라 역사소설 당사통속연의 1회 2회 3회 한문 및 한글번역
시내암의 수호전 계자 1회 2회 3회 한문 및 한글번역
채동번의 중국 5대사역사소설 오대사통속연의 자서 1회 2회 3회 한문 및 한글번역
채동번의 중국역사 남북사통속연의 1회 2회 3회 한문 및 한글번역 68페이지
채동번의 중화민국역사소설 민국통속연의 상 1회 2회 3회 한문 및 한글번역
명사통속연의 자서 1회 2회 3회 한문 및 한글번역
중국 청나라 법정 공안소설 팽공안 1회 2회 3회 한문 및 한글번역
여선외사 4회 5회 6회 50페이지 한문 및 한글번역
여선외사 7회 8회 9회 한문 및 한글번역 57 페이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