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말하는 태도가 예의 바르며 상황에 맞게 말로 표현하기를 잘하며 존대말 사용도 잘한다.
사회관계
(11/ )
친구 00를 빤히 쳐다보더니 “너는 빨간 옷 밖에 없어? 왜 이옷만 계속입어?”라고 이야기한다. 친구 00가 “아니야 옷많아.”라고 이야기하자 “그럼 다른 옷 입어봐”라고 이야기한다.
자신의 생각을 잘 이야기하면서 친구들과 지내지만 친구의 입장을 생각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예술경험
( 11/ )
종이 접어 끼우기를 하는데 잘 되지 않자 “나만 안돼요.”하며 울어버린다. 그리고는 다시 손으로 종이를 구기듯이 접는다. 그러다 종이가 찢어져버리자 “어떻게~ 나만 못하겠다”하며 운다.
의욕은 많지만 소근육 활동이 잘 되지않아 결과물을 만들어 내지 못할때가 많다. 하지만 꾸준히 관심을 가지는 편이다.
자연탐구
( 11/ )
풍선을 불어 크게 만들고 부채를 이용해 풍선을 옮겨보는 활동을 한 후 지우는 종이를 놓고도 부채로 이동시켜본다. “선생님, 바람 때문에 종이도 움직여요”라고 말을 한다.
부채를 이용해 바람을 만들어 보고 바람에 의해 풍선이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호기심에서 멈추지 않고 행동으로 표현하는 편이다.
비고
유아 관찰기록
결재
담임
원장
관찰 기간 :
이름
성별
생년월일(월령)
기록자
구분
관찰내용
평가
신체운동
(11/ )
음악소리에 교사가 발레하는 흉내를 내자 교사에게 다가와 손을 잡는다. 교사가 손을 잡고 빙그르르 돌다가 손을 뻗고 움직이기를 반복하자 활짝웃으며 “또해요”하며 깡총뛴다.
음악소리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춤으로 표현하는 즐거움을 안다. 친구들 앞에서도 자신감있게 몸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의사소통
(11/ )
도서실에서 책을 가져와 제목에 손을 대고 “깔깔깔”이라고 읽으며 교사에게 보여달라고 한다. 교사가 한 장을 넘기자 내용을 기억하고 몸으로 개구리 입에 뽀뽀를 한다. 또 한 장을 넘기자 원숭이에게 ‘메롱’을 하며 내용을 이야기한다.
책을 좋아하고 책에 있는 내용을 기억하고 말할 수 있다.
사회관계
(11/ )
소꿉놀이하다 옆에 앉아 있는 친구들에게 “음식이 없어. 가져와봐”라고 이야기하자 친구들이 가져온다. 한 친구가 늦게 가져오자 “너는 1등이 아니네”라고 말하고는 놀이를 계속한다.
친구들과의 놀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편이지만 싸우지는 않는다.
예술경험
( 11/ )
교실에 발레 음악을 틀어놓자 시키지도 않았는데 아주 밝은 표정으로 양손을 펼치고 다리를 쭉 뻗어 들어 올리고는 빙글 돈다. 친구가 옆에 다가 오자 웃으며 하던 행동을 계속 한다.
음악을 즐길 줄 알며 음악에 맞춰 몸으로 표현할 수 있고 즐길 수 있다.
자연탐구
( 11/ )
아침 체조 후 텃밭 산책을 하는데 “선생님, 아직도 가지가 있어요”한다. “그런데 색깔이 조금 달라요”라고 이야기하며 갈색으로 변한 부분을 가리킨다. 추워서 그렇다고 이야기해주니 고개를 끄덕인다.
환경에 따른 식물의 변화에 관심을 보이고 자세히 관찰하고 관찰한 부분을 말할 수 있다.
비고
유아 관찰기록
결재
담임
원장
관찰 기간 :
이름
성별
생년월일(월령)
기록자
구분
관찰내용
평가
신체운동
(11/ )
부채를 이용해 풍선 옮기기를 하였는데 빠르게 달려 친구보다 먼저 반환점을 돌아온다.
신체를 이용한 활동에 자신감을 보이며 승부욕도 많은 편이다.
의사소통
(11/ )
교사에게 오더니 “선생님, 우리 엄마 이제 공부해요. 그래서 늦게 데릴거 와요”라고 이야기한다. 무슨 공부하냐고 물어보니 “그건 모르겠지만 계속 집에서 공부만 해요. 저는 놀기만 해요”하며 웃는다.
하고싶은 말은 그때그때 잘 표현하며 그 상황을 이해하며 자신의 감정도 말로써 잘 표현한다.
사회관계
(11/ )
친구 00이와 블록 정리를 하다가 00이가 “내껀데 왜 너가 정리해”라고 이야기 하자 **가 “내가 정리하는 거 도와주는 거잖아”하며 오히려 소리를 친다. 그러자 00이가 울먹거린다.
집단생활에 적극 참여하지만 친구들과 의견 차이를 조정하여 놀이하는 태도가 요구된다.
예술경험
( 11/ )
친구 00와 함께 작은 나무 블록으로 반원모양으로 세운다. 색깔별로 빨, 주, 노, 초.... 로 세우고는 “선생님, 우리가 무지개 도미노 만들었어요”한다. 그리고 남은 노란색 블록을 동그랗게 세우더니 해를 만든다.
그림그리기를 좋아하는데 블록을 이용하여 그림그리듯이 창의적으로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자연탐구
( 11/ )
사과6개가 있는 그림을 보더니 세어보지도 않고 “이건 6이야”라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오렌지 그림을 보고도 “10”하고 손가락으로 하나하나 세어보지 않고 바로 이야기한다.
1부터 10까지의 수를 잘 이해하고 있으며 눈으로 세고 맞는 수를 이야기할 수 있다.
비고
유아 관찰기록
결재
담임
원장
관찰 기간 :
이름
성별
생년월일(월령)
기록자
구분
관찰내용
평가
신체운동
(11/ )
돌멩이 쌓기 상자와 물 쌓기 상자를 놓고 게임을 하였다. 한 바퀴를 뛰고 하나씩 쌓아 빨리 쌓기 게임을 친구와 하는데 힘들어 하는 모습 없이 쉬지 않고 뛰면서 활동을 한다.
몸으로 하는 신체활동에 자신감이 있으며 승부욕이 있어 게임하면서 친구를 의식하는 모습도 관찰되었다.
의사소통
(11/ )
“선생님, 오는 자는 날이에요?”라고 이야기해서 “오늘은 조금만 자요”라고 이야기하자 야호하며 친구에게 간다. 가서 “오늘 조금만 잔대”라고 이야기한다.
궁금한 것을 질문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고 알맞은 목소리로 이야기할 수 있다.
사회관계
(11/ )
장간감 전화기를 가지고 문앞으로 가더니 서서 전화거는 시늉을 하며 말을 한다. 그리고는 소방관 모자를 쓰고 있는 친구에게 뛰어가더니 “내가 소방서에 전화했어. 어서 불꺼”라고 이야기한다.
친구와 역할놀이하듯 하는 놀이를 즐기며 친구를 배려하는 모습도 많이 보인다.
예술경험
( 11/ )
종이 한 장을 친구와 가운데 두고 “나는 땅을 그릴게 너는?”이라고 이야기를 하자 “나는 풀을 그릴거야”하며 서로 한 장의 종이에 풀, 꽃, 구름 등을 그리며 채워나간다. 그리고는 색칠까지 하며 한참을 앉아있다.
서로 협동하여 그림을 그릴수 있으며 즐길 수 있다.
자연탐구
( 11/ )
풍선, 튜브,
말하는 태도가 예의 바르며 상황에 맞게 말로 표현하기를 잘하며 존대말 사용도 잘한다.
사회관계
(11/ )
친구 00를 빤히 쳐다보더니 “너는 빨간 옷 밖에 없어? 왜 이옷만 계속입어?”라고 이야기한다. 친구 00가 “아니야 옷많아.”라고 이야기하자 “그럼 다른 옷 입어봐”라고 이야기한다.
자신의 생각을 잘 이야기하면서 친구들과 지내지만 친구의 입장을 생각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예술경험
( 11/ )
종이 접어 끼우기를 하는데 잘 되지 않자 “나만 안돼요.”하며 울어버린다. 그리고는 다시 손으로 종이를 구기듯이 접는다. 그러다 종이가 찢어져버리자 “어떻게~ 나만 못하겠다”하며 운다.
의욕은 많지만 소근육 활동이 잘 되지않아 결과물을 만들어 내지 못할때가 많다. 하지만 꾸준히 관심을 가지는 편이다.
자연탐구
( 11/ )
풍선을 불어 크게 만들고 부채를 이용해 풍선을 옮겨보는 활동을 한 후 지우는 종이를 놓고도 부채로 이동시켜본다. “선생님, 바람 때문에 종이도 움직여요”라고 말을 한다.
부채를 이용해 바람을 만들어 보고 바람에 의해 풍선이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호기심에서 멈추지 않고 행동으로 표현하는 편이다.
비고
유아 관찰기록
결재
담임
원장
관찰 기간 :
이름
성별
생년월일(월령)
기록자
구분
관찰내용
평가
신체운동
(11/ )
음악소리에 교사가 발레하는 흉내를 내자 교사에게 다가와 손을 잡는다. 교사가 손을 잡고 빙그르르 돌다가 손을 뻗고 움직이기를 반복하자 활짝웃으며 “또해요”하며 깡총뛴다.
음악소리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춤으로 표현하는 즐거움을 안다. 친구들 앞에서도 자신감있게 몸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의사소통
(11/ )
도서실에서 책을 가져와 제목에 손을 대고 “깔깔깔”이라고 읽으며 교사에게 보여달라고 한다. 교사가 한 장을 넘기자 내용을 기억하고 몸으로 개구리 입에 뽀뽀를 한다. 또 한 장을 넘기자 원숭이에게 ‘메롱’을 하며 내용을 이야기한다.
책을 좋아하고 책에 있는 내용을 기억하고 말할 수 있다.
사회관계
(11/ )
소꿉놀이하다 옆에 앉아 있는 친구들에게 “음식이 없어. 가져와봐”라고 이야기하자 친구들이 가져온다. 한 친구가 늦게 가져오자 “너는 1등이 아니네”라고 말하고는 놀이를 계속한다.
친구들과의 놀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편이지만 싸우지는 않는다.
예술경험
( 11/ )
교실에 발레 음악을 틀어놓자 시키지도 않았는데 아주 밝은 표정으로 양손을 펼치고 다리를 쭉 뻗어 들어 올리고는 빙글 돈다. 친구가 옆에 다가 오자 웃으며 하던 행동을 계속 한다.
음악을 즐길 줄 알며 음악에 맞춰 몸으로 표현할 수 있고 즐길 수 있다.
자연탐구
( 11/ )
아침 체조 후 텃밭 산책을 하는데 “선생님, 아직도 가지가 있어요”한다. “그런데 색깔이 조금 달라요”라고 이야기하며 갈색으로 변한 부분을 가리킨다. 추워서 그렇다고 이야기해주니 고개를 끄덕인다.
환경에 따른 식물의 변화에 관심을 보이고 자세히 관찰하고 관찰한 부분을 말할 수 있다.
비고
유아 관찰기록
결재
담임
원장
관찰 기간 :
이름
성별
생년월일(월령)
기록자
구분
관찰내용
평가
신체운동
(11/ )
부채를 이용해 풍선 옮기기를 하였는데 빠르게 달려 친구보다 먼저 반환점을 돌아온다.
신체를 이용한 활동에 자신감을 보이며 승부욕도 많은 편이다.
의사소통
(11/ )
교사에게 오더니 “선생님, 우리 엄마 이제 공부해요. 그래서 늦게 데릴거 와요”라고 이야기한다. 무슨 공부하냐고 물어보니 “그건 모르겠지만 계속 집에서 공부만 해요. 저는 놀기만 해요”하며 웃는다.
하고싶은 말은 그때그때 잘 표현하며 그 상황을 이해하며 자신의 감정도 말로써 잘 표현한다.
사회관계
(11/ )
친구 00이와 블록 정리를 하다가 00이가 “내껀데 왜 너가 정리해”라고 이야기 하자 **가 “내가 정리하는 거 도와주는 거잖아”하며 오히려 소리를 친다. 그러자 00이가 울먹거린다.
집단생활에 적극 참여하지만 친구들과 의견 차이를 조정하여 놀이하는 태도가 요구된다.
예술경험
( 11/ )
친구 00와 함께 작은 나무 블록으로 반원모양으로 세운다. 색깔별로 빨, 주, 노, 초.... 로 세우고는 “선생님, 우리가 무지개 도미노 만들었어요”한다. 그리고 남은 노란색 블록을 동그랗게 세우더니 해를 만든다.
그림그리기를 좋아하는데 블록을 이용하여 그림그리듯이 창의적으로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자연탐구
( 11/ )
사과6개가 있는 그림을 보더니 세어보지도 않고 “이건 6이야”라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오렌지 그림을 보고도 “10”하고 손가락으로 하나하나 세어보지 않고 바로 이야기한다.
1부터 10까지의 수를 잘 이해하고 있으며 눈으로 세고 맞는 수를 이야기할 수 있다.
비고
유아 관찰기록
결재
담임
원장
관찰 기간 :
이름
성별
생년월일(월령)
기록자
구분
관찰내용
평가
신체운동
(11/ )
돌멩이 쌓기 상자와 물 쌓기 상자를 놓고 게임을 하였다. 한 바퀴를 뛰고 하나씩 쌓아 빨리 쌓기 게임을 친구와 하는데 힘들어 하는 모습 없이 쉬지 않고 뛰면서 활동을 한다.
몸으로 하는 신체활동에 자신감이 있으며 승부욕이 있어 게임하면서 친구를 의식하는 모습도 관찰되었다.
의사소통
(11/ )
“선생님, 오는 자는 날이에요?”라고 이야기해서 “오늘은 조금만 자요”라고 이야기하자 야호하며 친구에게 간다. 가서 “오늘 조금만 잔대”라고 이야기한다.
궁금한 것을 질문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고 알맞은 목소리로 이야기할 수 있다.
사회관계
(11/ )
장간감 전화기를 가지고 문앞으로 가더니 서서 전화거는 시늉을 하며 말을 한다. 그리고는 소방관 모자를 쓰고 있는 친구에게 뛰어가더니 “내가 소방서에 전화했어. 어서 불꺼”라고 이야기한다.
친구와 역할놀이하듯 하는 놀이를 즐기며 친구를 배려하는 모습도 많이 보인다.
예술경험
( 11/ )
종이 한 장을 친구와 가운데 두고 “나는 땅을 그릴게 너는?”이라고 이야기를 하자 “나는 풀을 그릴거야”하며 서로 한 장의 종이에 풀, 꽃, 구름 등을 그리며 채워나간다. 그리고는 색칠까지 하며 한참을 앉아있다.
서로 협동하여 그림을 그릴수 있으며 즐길 수 있다.
자연탐구
( 11/ )
풍선, 튜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