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동번의 중국역사소설 명사통속연의 34회 35회 36회 한문 및 한글번역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채동번의 중국역사소설 명사통속연의 34회 35회 36회 한문 및 한글번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삼십사회 왕기토평녹천만 영종패함토목보
명사통속연의 34회 왕기는 녹천 남만을 평정하고 영종은 토목보에서 패배했다
제삼십오회 주당간경제등극 각강적우겸주공
명사통속연의 35회 간사한 당을 죽인 경제가 등극하고 강적을 퇴각히킨 우겸이 공로를 상주하다
제삼십육회 의화전별상황환도 희지진사동궁역위
명사통속연의 36회 화친을 논의하고 전별하며 상황은 도읍에 돌아가고 말을 진술해 동궁은 지위를 바꾸다

본문내용

第三十四回 王驥討平麓川蠻 英宗敗陷土木堡
제삼십사회 왕기토평녹천만 영종패함토목보
土木堡: 하북성 회래현 부근
명사통속연의 34회 왕기는 녹천 남만을 평정하고 영종은 토목보에서 패배했다.
  
却說司禮監王振, 因太皇太后旣崩, 遂得肆行無忌。
각설사례감왕진 인태황태후기붕 수득사행무기
각설하고 사례감 왕진은 태황태후가 이미 붕어해 곧 마음대로 해서 거리낌이 없었다.
先是太祖置鐵牌於宮門, 高約三尺, 上鑄“內官不得干預朝政”八字, 振竟將鐵牌去。
선시태조치철패어궁문 고약삼척 상주내관부득간예조정팔자 진경장철패휴거
이에 앞서 태조는 궁문에 철패를 두고 높이가 약 3척으로 위에 “내관은 조정에 간섭할수 없다”는 글자를 새겨 왕진이 마침내 철패를 제거했다.
自在皇城築一大宅, 宅東建智化寺, 碑祝厘, 侈述功德。
자재황성축일대택 택동건지화사 수패축리 치술공덕
祝厘:장수기원
황성에 한 큰 저택을 세워 집 동쪽에 지화사를 건축해 패를 세워 장수를 기원해 많이 공덕을 서술했다.
翰林院侍講劉球, 上言十事, 大旨在勤聖學, 親政務, 用正士, 選禮臣, 核吏治, 愼刑罰, 罷土木, 定法守, 息兵爭, 儲武備, 說得井井有條, 頗切時弊, 惟未嘗劾及王振, 振亦不以爲意。
한림원시강유구 상언십사 대지재근성학 친정무 용정사 선예신 핵리치 신형벌 파토목 정법수 식병쟁 저무비 설득정정유조 파절시폐 유미상핵급왕진 진역불이위의
井井有[jng jng yu tiao]① 조리정연하다 ② 질서정연하다
한림원시강 유구는 상소로 10개 사건을 말해 대지는 성인의 학문을 부지런히 배우고 친히 정무를 하고 바른 선비를 등용하고, 예신을 선발하고 관리 다스림을 고찰하고 형벌을 삼가고 토목공사를 마치고, 바르게 법을 지키고, 병쟁을 멈추고, 무력대비를 하고, 설득이 질서와 조리가 있었다.
偏有個欽天監正彭德, 倚振爲奸, 公卿多趨謁。
편유개흠천감정팽덕청 의진위간 공경다추알
[qye]찾아가 뵙겠습니다
흠천감정 팽덕청은 왕진을 기대 간사하게 되어 공경등이 많이 찾아가 뵈었다.
球與同, 獨不爲禮, 德恨甚, 遂摘球疏中語, 謂振道:“這便是有意劾公。”(一語了。)
구여동향 독불이례 덕청한심 수적구소중어 위진도 저편시유의핵공니 일어구료
유구와 같은 고향이나 유독 예우하지 않아 팽덕청이 매우 한탄하고 곧 유구 상소중에 구절을 따서 유구에게 말했다. “이것이 곧 공을 탄핵할 뜻이 있소.” (한 구절 말로 충분하다.)
振聞言大怒, 遂逮球下獄, 且囑錦衣衛指揮馬順, 置球死地。
진문언대노 수체구하옥 차촉금의위지휘마순 치구사지
왕진이 말을 듣고 매우 분노해 곧 유구를 곧 하옥시켜 금의위지휘 마순에게 부탁해 유구를 사지에 두게 했다.
順遂夜小校入獄, 令持刀殺球。
순수야휴소교입옥 령지도살구
마순은 야간에 소교를 데리고 옥에 들어가 칼을 지니고 유구를 죽이려고 했다.
球大呼太祖太宗, 聲尙未, 首已被斷, 血流遍體, 尙屹立不動。
구대호태조태종 성상미절 수이피단 혈류편체 상흘립부동
유구는 태조 태종을 불러 음성이 아직 끊기지 않아 머리가 이미 절단되어 피가 온 몸에 흘렀지만 아직 우뚝서 움직이지 않았다.
順竟命將屍身支解, 獄戶下。
순경명장시신지해 예옥호하
(묻을 예; -총15획; yi)
곧장 시체와 몸을 잘라 감옥 지게문 안에 묻었다.
畢竟忠魂未泯, 先小校, 暴病斃命, 次馬順子, 病狂大哭, 突順髮, 拳足交下, 痛道:“老賊!我劉球無大過, 敢趨附逆, 害死我?看等將來如何?我先索子去罷。”
필경충혼미면 선수소교 폭병폐명 차수마순자 병광대곡 돌졸순발 권족교하 병통리도 노적 아유구병무대과 니감추부역엄 해사아마 간니등장래여하 아선색니자거파
(잡을 졸; -총11획; zuo,zu)

키워드

명사통속연의,   우겸,   왕기,   상황,   동궁,   명영종,   토목보,   명경제,   에센
  • 가격10,000
  • 페이지수63페이지
  • 등록일2020.02.12
  • 저작시기202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42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