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환자의 일반적 사항
2. 환아의 질병에 대한 이해
3. 간호사정
4. 간호과정
5. 참고문헌
2. 환아의 질병에 대한 이해
3. 간호사정
4. 간호과정
5. 참고문헌
본문내용
a advanced stage로 2015.7, 2016.10, 2017.1 본원 NS에서 3차례 OP후 국립암센터에서 RT받은 기왕력 있는 환아
-고용량 chemo,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11/1.2)
-나이 : 3살 2개월
-과거력: -후두염, 모세기관지염, 위염(2016.12)
-덴버검사 발달지연결과.
“재활을 하고는 있는데 지금 치료받느라 못하고 있죠 뛰어다녀야할 시기인데...아무래도 소뇌쪽을 제거해서 운동쪽으로 전혀 못하고있어요”
발달지연의 위험
(2) Cue Grouping
4. 간호과정
과정
내용
날짜
간호사정
S : “(입술가리키며) 아파.”
O :
-진단명: Malignant neoplasm of brain, unspecified (GBM) 《GB12. (4th ventricle)》
-나이 : 3살 2개월
-과거력 : 후두염, 모세기관지염, 위염 (2016.12)
-고용량 chemo,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11/1.2)
-V/S
날짜
11/20
11/21
11/22
시간
08:00
16:00
18:30
08:00
16:00
18:30
08:00
16:00
18:30
BT
36.4
36.5
36.6
36.4
36.5
36.7
36.2
36.6
37.0
PR
114
114
110
100
116
110
98
102
110
RR
22
22
2490
24
23
22
24
22
24
SBP
90
90
90
100
90
89
90
98
87
DBP
50
60
60
70
50
56
60
58
62
- CBC검사결과
검사
11/20
11/21
11/22
ANC
3135
WBC count
3.8▼
1.7▼
90.3▲
WBC Neut%
82.5▲
3.8▼
WBC Lymp%
4.9▼
8.0▼
WBC Mono%
12.2▲
24.0▲
PLT Count
23▼
51▼
34▼
Hb
10.4▼
10.1▼
9.7▼
Hct
31.3▼
29.5▼
28.7▼
RBC Count
3.61▼
3.19▼
3.29▼
-skin
날짜
11/20
11/21
11/22
색
사정못함
까맣게
얼룩짐
까맣게
얼룩짐
손상상태
사정못함
머리, 얼굴 전신에 얼룩짐
부종이나 발적없음
머리, 얼굴 전신에 얼룩짐
부종이나 발적없음
-구강상태
날짜
11/20
11/21
11/22
구강
(점막/입술)
사정못함
궤양이나 상처없음/입술에 갈라짐과 상처있음
통증있음
피, 삼출물은 없음
궤양이나 상처없음/입술에 갈라짐과 상처있음
통증있음
피, 삼출물은 없음
- I&O
날짜
11/20
11/21
11/22
I(PO)
1077
(20)
1105
(40)
1288
(90)
O
770
730
1070
- 대변양상 : 경도 : normal /색 : 갈색/ 가끔 설사, 변비있음 / 빈도 : 1-2회/일
- IV Start(10/23~)
- 중심정맥관 삽입함(10/24~11/21)
- 21일 환아 발에 걸려 Perm cath remove. 2땀 봉합
- TPN 말초정맥관으로 공급(11/22~)
- oral intake decresed
날짜
11/20
11/21
11/22
I(PO)
1077
(20)
1105
(40)
1288
(90)
-현재 감염격리방이 아닌 일반 병실에 입원중.(역격리)
-Oral care(Nystantin gargle, Hexamedine soln) :부모이행안함.
2017.11.20.~11.22
간호진단
면역저하 상태,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2017.11.22
간호목표
1. 부모는 감염예방법에 대해 3가지 이상 말한다.
2. 감염예방을 위해 섭취량과 체중이 적정수준으로 증가한다.
3. 피부상태가 악화되지 않고 회복됨이 관찰된다.
4. 환아의 체온이 정상범위에서 유지된다.
5. 카테터 삽입부위에 발적이나 부종이 나타나지 않는다.
2017.11.22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1. 환아의 활력징후를 8시간 간격으로 모니터하고 기록한다.
(감염시엔 혈압, 호흡수, 맥박, 체온이 상승한다.)
-체온 측정시 구강,액와, 혹은 구강으로 측정하도록 교육하고 실시한다.
(백혈구가 현저하게 감소하면 상승된 체온이 감염의 유일한 징후일 수 있다. 연약한 점막에 상처가 날 위험이 너무커 구강, 고막, 혹은 액와로 체온을 측정해야힌다.)
2. 감염예방을 위해 섭취량과 체중을 관찰한다.
3. 철저한 무균법을 통해 감염의 위험성을 최소화한다.
-간호 처치 전, 후에 손위생을 시행한다.
-마스크를 착용한다. (손 위생, 마스크 착용을 통해 감염전파를 예 방한다.)
-적절한 손씻기를 하도록 가족에게 교육한다.(손위생을통해 방문객이나 보호자를 통한 감염의 확산을 예방한다.)
4. 환아 피부의 손상과 발적을 매일 확인하고 말초정맥관의 이상을 관찰한다.
(낮아진 면역체계를 가진 환아의 피부손상과 발적을 예방한다, 말초정맥관의 사정을 통해 감염을 막는다.)
5. 환아의 구강을 관찰한다-궤양,상처,삼출물
(점막은 약하고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에 쉽게 영향을 받는다. 구강궤양은 일반적인 부작용이며 손상된 점막으로 인해 박테리아가 침입할수 있는 잠재적 부위이다.)
6. 규칙적인 배변습관을 격려하고 관찰한다.
(활동의 감소, 영양의 변화, 투약이 변비의 원인이 된다. 딱딱한 변이 통과해서 약한 직장 점막에 외상을 입히면 박테리아가 침입하는 부위가 될 수 있다.)
7. 부모에게 구강관리 처방에따라 세심한 구강위생을 교육한다. 부드러운 칫솔사용을 권장하고 하루에 4회 구강위생을 실행한다.
(치아 우식과 약한 구강 점막에 생기는 궤양을 예방하는 것이 감염을 막는데 도움이된다.)
8. 드레싱과 IV선을 교체할 때 무균술을 적용한다.
(낮아진 면역체계를 가진 환아는 정상적으로 감연과 싸울수 없기때문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한다.)
9. 환아의 부모에게 MMR,수두백신 같은 생 바이러스나 생 박테리아 백신의 위험성을 교육한다.
(생MMR백신,수두백신은 면역저하가 심한 환아에게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10. 구강궤양의 첫 번째 징후가 있을 때 의사가 지시한 대로 항진균제로 하루에 4회 구간간호를 시행한다. 알콜이 포함된 구강청정제는 사용하지 않는다.
(입안이나 위장관에 생긴 진균감염은 면역이 억제된 환아에게 순식간에 퍼질 수 있다. 판매되는 구강청정제는 알코올함량이
-고용량 chemo,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11/1.2)
-나이 : 3살 2개월
-과거력: -후두염, 모세기관지염, 위염(2016.12)
-덴버검사 발달지연결과.
“재활을 하고는 있는데 지금 치료받느라 못하고 있죠 뛰어다녀야할 시기인데...아무래도 소뇌쪽을 제거해서 운동쪽으로 전혀 못하고있어요”
발달지연의 위험
(2) Cue Grouping
4. 간호과정
과정
내용
날짜
간호사정
S : “(입술가리키며) 아파.”
O :
-진단명: Malignant neoplasm of brain, unspecified (GBM) 《GB12. (4th ventricle)》
-나이 : 3살 2개월
-과거력 : 후두염, 모세기관지염, 위염 (2016.12)
-고용량 chemo,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11/1.2)
-V/S
날짜
11/20
11/21
11/22
시간
08:00
16:00
18:30
08:00
16:00
18:30
08:00
16:00
18:30
BT
36.4
36.5
36.6
36.4
36.5
36.7
36.2
36.6
37.0
PR
114
114
110
100
116
110
98
102
110
RR
22
22
2490
24
23
22
24
22
24
SBP
90
90
90
100
90
89
90
98
87
DBP
50
60
60
70
50
56
60
58
62
- CBC검사결과
검사
11/20
11/21
11/22
ANC
3135
WBC count
3.8▼
1.7▼
90.3▲
WBC Neut%
82.5▲
3.8▼
WBC Lymp%
4.9▼
8.0▼
WBC Mono%
12.2▲
24.0▲
PLT Count
23▼
51▼
34▼
Hb
10.4▼
10.1▼
9.7▼
Hct
31.3▼
29.5▼
28.7▼
RBC Count
3.61▼
3.19▼
3.29▼
-skin
날짜
11/20
11/21
11/22
색
사정못함
까맣게
얼룩짐
까맣게
얼룩짐
손상상태
사정못함
머리, 얼굴 전신에 얼룩짐
부종이나 발적없음
머리, 얼굴 전신에 얼룩짐
부종이나 발적없음
-구강상태
날짜
11/20
11/21
11/22
구강
(점막/입술)
사정못함
궤양이나 상처없음/입술에 갈라짐과 상처있음
통증있음
피, 삼출물은 없음
궤양이나 상처없음/입술에 갈라짐과 상처있음
통증있음
피, 삼출물은 없음
- I&O
날짜
11/20
11/21
11/22
I(PO)
1077
(20)
1105
(40)
1288
(90)
O
770
730
1070
- 대변양상 : 경도 : normal /색 : 갈색/ 가끔 설사, 변비있음 / 빈도 : 1-2회/일
- IV Start(10/23~)
- 중심정맥관 삽입함(10/24~11/21)
- 21일 환아 발에 걸려 Perm cath remove. 2땀 봉합
- TPN 말초정맥관으로 공급(11/22~)
- oral intake decresed
날짜
11/20
11/21
11/22
I(PO)
1077
(20)
1105
(40)
1288
(90)
-현재 감염격리방이 아닌 일반 병실에 입원중.(역격리)
-Oral care(Nystantin gargle, Hexamedine soln) :부모이행안함.
2017.11.20.~11.22
간호진단
면역저하 상태,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2017.11.22
간호목표
1. 부모는 감염예방법에 대해 3가지 이상 말한다.
2. 감염예방을 위해 섭취량과 체중이 적정수준으로 증가한다.
3. 피부상태가 악화되지 않고 회복됨이 관찰된다.
4. 환아의 체온이 정상범위에서 유지된다.
5. 카테터 삽입부위에 발적이나 부종이 나타나지 않는다.
2017.11.22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1. 환아의 활력징후를 8시간 간격으로 모니터하고 기록한다.
(감염시엔 혈압, 호흡수, 맥박, 체온이 상승한다.)
-체온 측정시 구강,액와, 혹은 구강으로 측정하도록 교육하고 실시한다.
(백혈구가 현저하게 감소하면 상승된 체온이 감염의 유일한 징후일 수 있다. 연약한 점막에 상처가 날 위험이 너무커 구강, 고막, 혹은 액와로 체온을 측정해야힌다.)
2. 감염예방을 위해 섭취량과 체중을 관찰한다.
3. 철저한 무균법을 통해 감염의 위험성을 최소화한다.
-간호 처치 전, 후에 손위생을 시행한다.
-마스크를 착용한다. (손 위생, 마스크 착용을 통해 감염전파를 예 방한다.)
-적절한 손씻기를 하도록 가족에게 교육한다.(손위생을통해 방문객이나 보호자를 통한 감염의 확산을 예방한다.)
4. 환아 피부의 손상과 발적을 매일 확인하고 말초정맥관의 이상을 관찰한다.
(낮아진 면역체계를 가진 환아의 피부손상과 발적을 예방한다, 말초정맥관의 사정을 통해 감염을 막는다.)
5. 환아의 구강을 관찰한다-궤양,상처,삼출물
(점막은 약하고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에 쉽게 영향을 받는다. 구강궤양은 일반적인 부작용이며 손상된 점막으로 인해 박테리아가 침입할수 있는 잠재적 부위이다.)
6. 규칙적인 배변습관을 격려하고 관찰한다.
(활동의 감소, 영양의 변화, 투약이 변비의 원인이 된다. 딱딱한 변이 통과해서 약한 직장 점막에 외상을 입히면 박테리아가 침입하는 부위가 될 수 있다.)
7. 부모에게 구강관리 처방에따라 세심한 구강위생을 교육한다. 부드러운 칫솔사용을 권장하고 하루에 4회 구강위생을 실행한다.
(치아 우식과 약한 구강 점막에 생기는 궤양을 예방하는 것이 감염을 막는데 도움이된다.)
8. 드레싱과 IV선을 교체할 때 무균술을 적용한다.
(낮아진 면역체계를 가진 환아는 정상적으로 감연과 싸울수 없기때문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한다.)
9. 환아의 부모에게 MMR,수두백신 같은 생 바이러스나 생 박테리아 백신의 위험성을 교육한다.
(생MMR백신,수두백신은 면역저하가 심한 환아에게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10. 구강궤양의 첫 번째 징후가 있을 때 의사가 지시한 대로 항진균제로 하루에 4회 구간간호를 시행한다. 알콜이 포함된 구강청정제는 사용하지 않는다.
(입안이나 위장관에 생긴 진균감염은 면역이 억제된 환아에게 순식간에 퍼질 수 있다. 판매되는 구강청정제는 알코올함량이
추천자료
케이스 스터디 (A.bronchitis, AGE, sinusitis)
아동간호학실습-가와사키 케이스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아동간호학실습 - 폐렴 케이스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호흡곤란증후군, RDS)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세기관지염 Bronchiolitis)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폐렴)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6개]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패혈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선천성 담도폐쇄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뇌수막염)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