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지가 작품의 이해와 감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한샘(김) 上

2-학습목표

3-감상의 길잡이

4-심층 이해

5-참고 학습

더 읽을 거리

본문내용

한다.
동아 (김) 上
학습목표
고대 민중들의 강렬한 주술적 원망(願望)의 삶에 유의하며 읽자
서사 문학에 삽입된 가요의 기능을 생각하며 읽자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태초에 신(神)을 최초로 맞는 장엄하고도 경건한 제의(祭儀)에서 불려진 '구지가'는 신탁(神託)을 통해 인간에게 주어지는 신의 노래이다. 이 노래는 신의 출현까지에 겪은 과정을 몸짓으로 실연(實演)하는 행동과 도무(蹈舞)와 더불어 혼연 일체로 존재하고 있다.
이 노래의 주술성(呪術性)은 어떠 소망을 이루려는 인간의 욕구가 강하게 일어날 때 생기는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유의할 점은 이 노래에 등장하는 '거북'이다. '거북'은 왕에 대한 신령스러움, 또는 장수를 기원하려는 뜻에서 등장시킨 것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이 신화에 서사적 갈등이 있다면, 그것은 신의 출현을 고대하는 인간과 좀처럼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신 사이에 있을 것이다. 그것은 신을 갈망하는 사람들의 기대에 찬 불안이나 긴장을 동반한다. 이 갈등과 긴장, 불안을 극적으로 지양한 것이 '구지가'이다.
참고 사항
① '거북'의 상징성
'거북'은 옛날부터 십장생(十長生)이라 하여 신령스럽고 오래 사는 동물로 상징되어 왔다. 이러한 거북을 작품에 등장시킨 것은 그들의 지도자로서의 왕에 대한 신성성을 말하고, 왕의 장수(長壽)를 기원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거북에 대해 위협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을 볼 때, '거북'은 원시 시대에 있어서 주술적 소망을 성취시키는 매개체 또는 그런 힘을 가진 어떤 존재이되 인간과 친화 관계에 있지 않은 대상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② 해가(海歌)
삼국유사(三國遺事) 수로 부인 조에 전하는 '해가'에도 '구지가'와 유사한 가사가 들어 있다. 신라 선덕왕 때 순정공이 강릉 태수로 부임하여 가던 중 동해 안에서 갑자기 해룡(海龍)이 나타나 수로 부인을 납치해 갔다. 이 때 한 노인의 말에 따라 백성들을 모아 막대기로 언덕을 치면서 이 노래를 불렀더니 용이 부인을 내놓았다고 한다. 이 노래 역시 집단 가무이면서 주가인데, 그 가사는 다음과 같다.
거북아, 거북아, 수로를 내놓아라.
남의 아내를 빼앗은 죄가 크도다.
네가 만약 어기고 바치지 않으면,
그물로 잡아서 구워 먹으리라.
乎 乎出水路(구호구호출수로)
掠人婦女罪何極(약인부녀죄하극)
汝若悖逆不出獻(여약패역불출헌)
入網捕掠燔之喫(입망포략번지끽)
더 읽어야 할 작품
공무도하가(백수 광부의 처)
(2) 구지가
문학 (상)- (주)두산 우
구지가는 수로왕의 신이한 탄생과 일생을 기술하고 있는 '가락국기'에 실려 있다. 가락국기는 인간이 요구하고 신은 응답하는 신비 체험, 한 부족의 종교적 체험, 그리고 신화를 향유하는 사람들의 세계 인식과 행동이 잘 정리되어 있는 신화로 평가된다.
감상의 길잡이
구지가는 거북으로 상징된 '생명'이 머리를 내어 놓게 하자고 부른 노래인데, '머리를 내어 놓는다.'는 말이 바로 '수로'이다. 물과 관련된 거북을 불로 위협하여 신이한 지배자의 강림을 요청하는 집단적 의식을 상징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구지가는 신의 뜻을 인간들이 재현한 것이기 때문에, 이 노래를 부르는 것은 신과 인간의 지속적인 유대감을 확인하는 신성한 행사이기도 하다. 고대인들의 신과 인간에 대한 인식을 생각하면서 감상해 보자.
참고 사항
구지봉 : 수로왕의 이야기를 신성한 것으로 믿는 사람들에게 구지봉은 신과 인간이 교통하는 지역, 즉 세계의 중심이 되는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지역은 지상에 있지만 지상의 다른 지역과는 구별되는 신성한 지역이다. 그들은 이 지역에서 자신들의 생각을 신에게 전달하고, 또 신의 응답도 여기에서 이루어진다고 생각한다. 신화 시대의 인간들은 자기들이 거주하는 지역에 이런 특별한 지역을 설정하고, 자신들을 신과 교통하는 특별한 인간으로 생각한다. 단군 신화의 신단수나 그리스 신화의 신전 등도 바로 '세계의 중심'이라는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난생의 의미 : 알은 하나의 세계이지만 완성형이거나 현재형의 세계가 아니라 가능성을 지니는 미래의 세계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생명의 핵을 덮고 있는 알의 껍질은 현실과 맞붙어 있다. 따라서, 껍질을 깨뜨리고 새로운 생명이 탄생하는 것은 현실을 거부하고 새로운 세계의 질서를 세우는 것을 의미한다.
더 읽을 거리
*신화의 변형과 관련하여 읽을 작품 : '수로왕 탄생 신화', '석탈해 신화'
*삽입된 노래의 주술성과 관련하여 읽을 작품 : '지귀 설화', '처용가'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2.09.17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34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