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중심 가정간호사업 모형개발 및 제도화 방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 149
  • 150
  • 151
  • 152
  • 153
  • 154
  • 155
  • 156
  • 157
  • 158
  • 159
  • 160
  • 161
  • 162
  • 163
  • 164
  • 165
  • 166
  • 167
  • 168
  • 169
  • 170
  • 171
  • 172
  • 173
  • 174
  • 175
  • 176
  • 177
  • 178
  • 179
  • 180
  • 181
  • 182
  • 183
  • 184
  • 185
  • 186
  • 187
  • 188
  • 189
  • 190
  • 191
  • 192
  • 193
  • 194
  • 195
  • 196
  • 197
  • 198
  • 199
  • 200
  • 201
  • 202
  • 203
  • 204
  • 205
  • 206
  • 207
  • 20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요 약
Ⅰ. 서 론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
3. 연구내용 및 방법

Ⅱ. 선진국의 가정간호제도 현황
1. 일본
2. 미국
3. 유럽

Ⅲ. 병원중심 가정간호시범사업 현황
1. 병원중심 가정간호시범사업 기관 특성
2. 병원중심 가정간호시범사업 인력
3. 병원중심 가정간호시범사업 관리 및 운영
4. 병원중심 가정간호시범사업 실적
5. 병원중심 가정간호 이용환자 진단명별 서비스 제공 특성

Ⅳ. 병원중심 가정간호사업 경제성 평가
1. 병원중심 가정간호시범사업에 따른 직접 의료비용 절감효과
2. 병원중심 가정간호 최다빈도 이용환자의 비용-편익분석

Ⅴ. 병원중심 가정간호사업 운영 및 관리모형
1. 병원중심 가정간호 시범병원에서의 사업 모형에 대한 의견
2. 병원중심 가정간호사업 선도병원 운영관리 현황
3. 병원중심 가정간호사업 모형 개발

Ⅵ. 병원중심 가정간호 제도화 방안
1. 병원중심 가정간호사업 주체
2. 병원중심 가정간호사업 운영 관리 조건
3. 병원중심 가정간호 제공 간호인력
4. 병원중심 가정간호 사업대상
5. 병원중심 가정간호 서비스 제공 및 관리
6. 병원중심 가정간호 비용에 대한 보험급여 적용조건의 개선
7. 병원중심 가정간호사업 질 관리 평가를 위한 중앙단위
[가정간호사업 중앙운영위원회] 설치 운영

Ⅶ. 정책 제언
1. 가정간호사업 법적 근거 마련을 위한 관련법 개정
2. 지역사회 중심 가정간호사업기관의 인 허가
3. 가정간호사 이외 인력의 가정간호사업 참여
4. 가정간호사업과 질병군별 포괄수가제도와의 연계
5. 환자의뢰 과정에서 발생되는 행위에 대한 지불보상체계의 정비
6. 의료보호 대상자에 대한 가정간호사업 실시
7. 안전하고 효과적인 가정간호 관련 기구 및 장비의 개발과 활용방안 마련
8. 가정간호 수요 증가에 대응한 비용의 관리

본문내용

정간호: 연구와 사업, 『가정간호연구소 학술대회』, 1995.
유승흠, 『양질의 의료관리』, 서울: 수문사, 1993.
윤순녕 외, 「우리나라 가정간호 제도화 방안에 대한 고찰」, 『가정간호학회지』, 제2권, 1995.
_________, 「국내 가정간호사업의 성과 측정 연구의 고찰」, 『한국가정간호학회지』, 제4권, 1997.
윤순녕, 「지역사회 중심 가정간호사업」, 『가정간호사업 간담회 자료』, 1997.
의료보험관리공단, 『주요국의 고령자 의료보장제도』, 1996.
의료보험연합회, 『일본사회보험 의과진료보수 점수표』, 1994.
이규식, 「가정간호연구의 방향제안: 운영관리측면」, 『간호학탐구』, 1993.
이선자, 「노인보건의료 관리모형」, 『노인보건의료 관리모델개발을 위한 워크숍』, 1994.
이소우 외, 「말기암환자와 가족의 의료 및 간호서비스 요구」, 『대한간호학회지』, 제28권, 1998.
_________, 「만성질환자의 퇴원후 가정간호 요구변화 추이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가정간호학회지』, 제3권, 1996.
이혜원, 박정숙, 「가정간호사 직무교육과정-연세대학교 간호대학편」, 『간호학탐구』, 1993.
장현숙, 「CQI의 개념과 접근방법」, 『CQI개념도입과 프로그램개발 워크섀』, 임상간호사회, 1995, pp.3∼17.
장현숙. 「간호의 질」, 『간호학탐구』, 제5권 제2호, 1996, pp.16∼29.
추수경, 「가정간호사업 대상자의 선정기준개발과 써비스 내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0.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1996.
한국가정간호학회, 「병원가정간호사업 확대에 따른 발전전략」, 『한국가정간호학회 학술대회』, 1997.
한국보건의료관리연구원, 『DRG 지불제도 시범사업 제1차년도 평가 및 2차년도 실시방안 연구』, 1998.
황나미, 「병원중심 가정간호사업 현황과 전망」, 『한림대학교 강동성심병원 가정간호심포지움』, 1997.
______, 『병원중심 가정간호 시범사업 평가 I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6.
______, 『병원중심 가정간호 시범사업 평가 II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7.
厚生省, 日本 『老人保健法』 등 내부 자료, 1999.
日本訪問看護振興財團, 『訪問看護 스테이션 開設, 運營, 評價』, 1996.
Marrelli., T. M., Handbook of Home Health Standards and Documentation Guidlines for Reimbursement, Mosby, 1994.
Health Care Financing Adminitration; Unpublished data from the one line survey and certification agency report, 1994.
Hutten, J. B. & Kerkstra, A., Home Care in Europe, Ashgate Publishing Co, 1996, pp.1∼40.
American Nurses Association, Standards of Home Health Nursing Practice, 1998.
Benefield, L. E., "Component Analysis of Productivity in Home Care RNs", Public Health Nursing, Vol.13, No.4, 1996, pp.233∼243.
Donabedian, A., Aspects of Medical Care Administration, 1973.
Department of Health, Hawaii Administrative Rules Title 11, 1999.
Health Care Financing Administration, Unpublished data from the one line survey and certification agency report, 1994.
Home Care Coalition, The Importance Role of Home Care in the Emerging Health Care Delivery System, Alexandria, VA: author, 1995.
Kleczkowski, B. M., Werff, A. V., & Roemer, M. I., National Health System and their Reorientation Toward Health for All, Geneva, WHO, 1984.
Marrelli, T. M., Handbook of Home Health Standards and Documentation Guidelines for Reimbursement, Mosby, 1994.
Mauser, E. & Miller, N. A., "A Profile of Home Health Users in 1992", Health Care Financing Review, Vol.16, No.1, 1994, pp.17∼33.
Rice, R., Handbook of Home Health Nursing Procedures, Mosby, 1995.
_______, Home health nursing practice: Concepts and application(2nd ed.), St. Louis: Mosby, 1996.
Sanborn, C. W. and M. Blount, "Standard Plans for Care and Discharg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Nov., 1984, pp.1394∼1396.
Stanhope, M., Knollmueller R. N., Handbook of Community and Home Health Nursing, Mosby, 1996.
Stanhope M., & Lancaster, J., Community Health Nursing, Mosby: Washington, D.C., 1996.
Stephenson, M. E., "Discharge criteria in day surger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15, 1990, pp.601∼613.
  • 가격3,300
  • 페이지수208페이지
  • 등록일2002.10.20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74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