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지도와 상담의 개념과 발달과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활지도와 상담의 개념과 발달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생활지도와 상담의 개념과 발달과정
1. 생활지도(Guidance)의 의미
2. 상담(counseling), 심리치료(psychotherapy)의 의미
3. 상담과 생활지도, 심리(정신)치료 개념 비교
4. 학교상담의 의미

Ⅱ. 생활지도 및 상담의 필요성과 목적
1. 생활지도 및 상담의 필요성
2. 생활지도 및 학교상담의 목적
3. 학교상담의 특성

Ⅲ. 생활지도와 상담의 발달과정
1. 외국
2. 한국

본문내용

0-\'90년대: 34개 주에서 종합적 생활지도프로그램.
2. 한국
1) 도입기(1945 -1960)
아동중심 교육사상 유입- 새교육 운동
비지시적 상담방법 소개
심리측정 연구활용. 심리검사 방법 도입
교도교사 강습회 실시(1957) - 두 번의 연수로 180명 배출.
2) 정착기(1961 - 1980)
대학 학생생활연구소 설치(1962) - 학생운동 저지와 지도 감독.
한국카운슬러협회 창립(1963) - 교도교사에게 생활지도 원리 전파.
전담교도교사제 시행(1964) - 240시간의 자격 강습.
상담이론과 기법 도입(1970) - 연수, 워크숍, 선, 감수성훈련,
심리검사가 도입되어 표준화됨. 비지시적 상담이론이 상담심리학계를 풍미.
교도교사제가 법제화(1973년) - 생활지도 활동이 보편화 됨
3) 성장기(1981- 현재)
상담심리학회(1987) - 자격증 수여(상담심리 전문가->상담심리사1급. 상담심리사)
전문상담교사 양성제도 시행(1999)
한국상담학회(2000)-집단상담학회, 진로상담학회. 대학상담학회. 아동 및 청소년 상담학회. 학교 상담학회. - 자격증 수여 ( 수련감독 전문상담사, 1급 전문상담사, 2급 전문상담사)
학교상담과 생활지도에 임하는 교사의 태도
(1) 긍정적 인간관 (2) 끊임없는 자기발전: 인간적 성장; 전문성의 발전
(3) 학교조직 및 제도와의 협력
참고문헌 ------------------------------------------------------
1. 김태호 지음, 학교생활지도와 상담, 학지사, 2004.
2. 정용부 외 지음, 아동생활지도와 상담, 학지사, 1998.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4.27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77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