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릿말
2. 골품제와 6두품
3. 6두품 소속의 가문
4. 6성과 6두품
5. 6두품 귀족의 활동
6. 맺음말과 남는 문제
2. 골품제와 6두품
3. 6두품 소속의 가문
4. 6성과 6두품
5. 6두품 귀족의 활동
6. 맺음말과 남는 문제
본문내용
이 정치적으로 진출하는 경우에는 이 학문의 길을 통하여서 였던 것이다. 이외에 이순, 餘三, 祿眞 등의 예에서도 6두품 귀족들은 학문적인 식견을 토대로 정치적인 참여의 길을 터 나갔던 것이다. 6두품이 학문을 통해서 관직으로 진출하는 길은 국학과 讀書三品科가 설치됨으로 해서 더욱 촉진되었으리라 생각된다.
6두품은 신라가 고려에 항복한 뒤 고려 왕조에 새로운 관료로 등용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이르러 비로소 골품제의 제약을 벗어나서 중앙의 최고 귀족이 되어 그들의 학문에 바탕을 둔 정치 이념을 실천해 나갈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6. 맺음말과 남는 문제
이 글은 신라 사회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하여 신라의 독특한 신분 제도인 골품제를 밝혀 보려는 목적으로 쓰여진 것이다. 먼저 골품제의 6두품의 위치를 살펴 보고, 거기서 얻은 결론을 토대로 신라사에 나타나는 6두품 귀족의 가문을 조사해 보았다. 6두품의 사회적 정치적 활동에서는 종교나 학문과 같은 지적인 능력에 따라서 출세의 길을 트는 경우가 많았음을 지적하였다.
이 글에서 李基白님은 6촌(6부)와 6성과 6두품의 가문과의 어떠한 연관이 있지 않을까 생각하였는데, 그러나 이보다 먼저 바로 문제의 열쇠는 6촌(6부)의 실체를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에 달려 있다. 곧 이를 성읍 국가 단계의 사로국이 건국될 당시 경주 분지에 집합해 있었던 것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사로국이 성읍 국가 단계를 거쳐 연맹 왕국 단계에서 중앙 집권 국가 단계로 발전해 가는 과정에서 각 지방의 크고 작은 정치 세력을 정복, 병합, 흡수하여 그 지배 씨족들을 王京에 집결시킴으로써 성립된 훨씬 後代의 것으로 볼 것인지 하는 점이다. 사실 양자의 입장에 따라서 頭品制의 기원은 각기 달리 해석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신라 말기로 내려 오면서 두품의 신분이 6두품, 5두품, 4두품, 평인(백성)으로 구분되어 결국 1∼3두품은 평인으로 통칭되어졌다. 이러한 추세라면 4두품도 점차 평인에 속하게 되었으리라 생각할 수 있겠고, 이를 뒷받침하는 사료도 있으나, 이러한 현상이 어느 정도 광범위하게 퍼져 있었으며 좀더 상층부로 퍼져 나가지 않았을까 하는 의문이 생긴다. 또한 권력의 핵심에서 소외된 신라의 6두품과 당시 백제, 고구려의 권력에서 소외된 신분과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서 삼국 시대의 신분 제도를 총체적으로 살펴 볼 수 있을 것이다.김석배. (1993).「한국관료의 부정부패요인과 그 억제대책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사회과학연구」제16호.
오석홍 (2002). 「한국의 행정」 .법문사
김번웅, 김판석 (2001) 「신한국행정론」 . 법문사
박천오 (2001) 「한국관료제의 이해」 . 법문사김석배. (1993).「한국관료의 부정부패요인과 그 억제대책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사회과학연구」제16호.
오석홍 (2002). 「한국의 행정」 .법문사
김번웅, 김판석 (2001) 「신한국행정론」 . 법문사
박천오 (2001) 「한국관료제의 이해」 . 법문사
6두품은 신라가 고려에 항복한 뒤 고려 왕조에 새로운 관료로 등용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이르러 비로소 골품제의 제약을 벗어나서 중앙의 최고 귀족이 되어 그들의 학문에 바탕을 둔 정치 이념을 실천해 나갈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6. 맺음말과 남는 문제
이 글은 신라 사회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하여 신라의 독특한 신분 제도인 골품제를 밝혀 보려는 목적으로 쓰여진 것이다. 먼저 골품제의 6두품의 위치를 살펴 보고, 거기서 얻은 결론을 토대로 신라사에 나타나는 6두품 귀족의 가문을 조사해 보았다. 6두품의 사회적 정치적 활동에서는 종교나 학문과 같은 지적인 능력에 따라서 출세의 길을 트는 경우가 많았음을 지적하였다.
이 글에서 李基白님은 6촌(6부)와 6성과 6두품의 가문과의 어떠한 연관이 있지 않을까 생각하였는데, 그러나 이보다 먼저 바로 문제의 열쇠는 6촌(6부)의 실체를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에 달려 있다. 곧 이를 성읍 국가 단계의 사로국이 건국될 당시 경주 분지에 집합해 있었던 것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사로국이 성읍 국가 단계를 거쳐 연맹 왕국 단계에서 중앙 집권 국가 단계로 발전해 가는 과정에서 각 지방의 크고 작은 정치 세력을 정복, 병합, 흡수하여 그 지배 씨족들을 王京에 집결시킴으로써 성립된 훨씬 後代의 것으로 볼 것인지 하는 점이다. 사실 양자의 입장에 따라서 頭品制의 기원은 각기 달리 해석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신라 말기로 내려 오면서 두품의 신분이 6두품, 5두품, 4두품, 평인(백성)으로 구분되어 결국 1∼3두품은 평인으로 통칭되어졌다. 이러한 추세라면 4두품도 점차 평인에 속하게 되었으리라 생각할 수 있겠고, 이를 뒷받침하는 사료도 있으나, 이러한 현상이 어느 정도 광범위하게 퍼져 있었으며 좀더 상층부로 퍼져 나가지 않았을까 하는 의문이 생긴다. 또한 권력의 핵심에서 소외된 신라의 6두품과 당시 백제, 고구려의 권력에서 소외된 신분과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서 삼국 시대의 신분 제도를 총체적으로 살펴 볼 수 있을 것이다.김석배. (1993).「한국관료의 부정부패요인과 그 억제대책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사회과학연구」제16호.
오석홍 (2002). 「한국의 행정」 .법문사
김번웅, 김판석 (2001) 「신한국행정론」 . 법문사
박천오 (2001) 「한국관료제의 이해」 . 법문사김석배. (1993).「한국관료의 부정부패요인과 그 억제대책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사회과학연구」제16호.
오석홍 (2002). 「한국의 행정」 .법문사
김번웅, 김판석 (2001) 「신한국행정론」 . 법문사
박천오 (2001) 「한국관료제의 이해」 . 법문사
추천자료
[신라시대][신라][신라시대(신라) 유학][신라시대(신라) 건축][신라시대(신라) 불교][불상][...
[신라 향가][서동요][신라시대 향가][향가]신라향가 서동요의 배경설화, 신라향가 서동요의 ...
신라 향가 제망매가의 작자, 신라 향가 제망매가의 원문, 신라 향가 제망매가의 해독(소창진...
[신라시대 향가][제망매가]신라 향가 제망매가의 작품해제, 신라 향가 제망매가의 원문과 풀...
신라시대 향가 찬기파랑가의 원문과 해독, 신라시대 향가 찬기파랑가의 배경설화, 신라시대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 도솔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 처용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 헌화...
[신라시대 향가][신라 향가][향가][서동요]신라 향가 서동요의 배경설화, 신라 향가 서동요의...
[신라시대][월명사][향가][도솔가][제망매가]신라 월명사의 추정과 신라 월명사의 향가 도솔...
신라 향가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의 배경 설화, 신라 향가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
[신라시대 향가][신라 향가][헌화가][헌화가 해독][헌화가 작품해석]신라시대 향가 헌화가의 ...
[신라시대교육]신라시대교육(신라교육) 기관 국학과 화랑도, 신라시대교육(신라교육) 제도 독...
[통일신라시대 향가]통일신라시대 향가(제망매가), 통일신라시대 향가(도솔가), 통일신라시대...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맞춤형 호텔의 변화,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호텔 선택 ...
[원불교 송정산]원불교 송정산의 생애, 원불교 송정산의 제가수도기, 원불교 송정산의 역사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