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기(5~6세) 발달특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기(5~6세) 발달특성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신체발달

2)인지발달

3)언어발달

4)사회성발달

5)자아개념발달

6)정서발달

본문내용

만 아직 시계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읽기는 어렵다.
4. ○, △, □ 등의 도형을 정확하게 구분하고 그릴 수 있으며 위, 아래, 안, 밖과 같이 위치와 관련된 공간 개념도 발달한다.
5. 동물과 식물에 관심을 갖고 이름, 생김새, 움직임 등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형성합니다.
★ 지도방법 ★
- 기억력과 사고력이 상당히 발달돼 있기 때문에 어떤 일이나 상황에 대해 스스로 설명할 수 있다.
울고 있는 아이를 보고 \'엄마한테 혼났나봐\'라며 상당히 논리적으로 원인을 추측하거나 \'이불을 덮지 않고 자면 감기에 걸린다\'는 식으로 결과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놀이를 많이 하는 것이 이 시기 인지발달에 좋다. 처음에는 경험을 바탕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상황을 제시하거나 그림을 보여주며 원인과 결과를 추측해볼 수 있도록 하고 점차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내용으로 발전시켜 나가도록 하는 것이 좋다. 경험해보지 못한 일에 대해서도 상당히 구체적으로 얘기할 수 있을만큼 상상력이 발달한다. \'새처럼 하늘을 날면 어떤 기분이 들까?\'라고 물었을 때 이전에는 단순히 \'좋아\'라고 대답하는 식이었다면 이제는 실제로 새가 되는 상상을
해보고는 \'구름 위로도 올라갈 수 있어?\' 하는 식이다.
- 아직 시계는 볼 줄 모르지만 시간의 흐름이나 때에 대한 개념은 생긴다.
이전에는 \'조금 있다가 하자\'고 하면 수긍을 해놓고도 당장 해달라고 조르기 일쑤지만 이제는 \'조금있다가\'라는 개념을 이해하기 때문에 참고 기다릴 수 있다. 날짜에 대한 개념은 없지만 어제와 오늘, 내일이라는 개념을 이해할 수 있고 비교적 정확하게 사용한다. 그러나 모레, 그제와 같은 하루를 건너뛴 날짜는 아직 이해하기 어렵다. 또 아침, 낮, 저녁, 밤 등으로 하루를 대략적으로 구분할 수 있고 시간의 순서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오늘 낮에 뭐했니?\'라고 물으면 실제로 낮에 한 일을 얘기할 수 있고 \'세수하고 나서 밥 먹고 엄마랑 백화점에 갔다\'는 식으로 일이 일어난 순서대로 나열할 수 있다.
★ 상호작용 방법 ★
1. 가정에서 일상생활을 통해 생기는 호기심을 가지고 탐구하도록 격려해준다.
- \"미정이가 본 책을 찾기 쉽게 하려면 어떻게 정리해 놓으면 좋을까?\"
- \"이 과자를 동생과 똑같이 나누어 먹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2. 놀이 속에서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다른 사람과 서로의 생각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3. 학습지와 같은 형태보다 아이가 직접 조작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자료를 이용하여 놀이하면서 호기심과 사고력을 발달하도록 돕습니다. 이는 이후에 학습 동기(공부를 하고 싶은욕구)를 가지게 된다.
4. 정해진 답을 찾아 답하는 형태의 놀잇감(학습지, 색칠공부, 완성된 놀잇감)보다는 아이의 생각을
시도하고 실험해 볼 수 있는 교구(블록, 모래 놀이 등)를 제공해주고 아이가 다양한 방법으로 놀이
하도록 격려해준다.
5. 사물의 특성이나 현상을 진지하게 탐구하고 문제를 주어 적절한 방법으로 해결하는 학적인 자세에 대해 엄마가 먼저 모델을 보여 준다. 이는 아이에게 어릴때 부터 탐구하는 태도를 가지게 할 것이다.
6. 숫자를 암기식으로 읽고 쓰기 보다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접하도록 한다.
(3) 언어 발달
4세에는 과장된 말이나 유머를 사용, 혼잣말 언어 발달.
3세에서 4세가 되는 과정에서 언어발달이 가장 빠르게 나타난다. 어휘가 늘어남과 동시에 사용하는
어휘의 연결 감각도 발달하게 된다. 이때에는 두 단어 문장이 4. 5개 단어 문장으로 나타나면서 급속한 문장 능력을 나타낸다. 그리하여 대략 1,500 내지 2,000 단어 정도의 어휘를 이해하고 구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 , 아래, 안, 앞, 뒤\' 같은 위치에 관한 전치사들도 사용할 줄 알게 되며 복수형,대명사, 정확한 시제를 사용하게 된다.
명사보다는 동사를 많이 사용한다. 그리하여 3세 후반 4세 부터는 우리말이 가지는 문법 체계의 상당한 부분을 익히게 된다. 즉 이 때에는 문장에 대한 일단의 기본적인 언어 능력이 획득된다고 할 수 있다. 이 때 형성된 기본적인 언어에서 보여지는 아동 언어의 특성들은 예를 들면 \" 철이야 동생을 찾아서 저녁 먹을 시간이 되었다고 해 \" 와 같은 행동의 순서를 이해 할 수 있다거나, 가족 외의 사람도 자녀의 말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친구들과 훨씬 더 많이 대화를 한다는 것이다. 이 때 문장은 문법에 맞는 문장을 사용한다. 보편적인 언어의 형태를 보면 반복, 독백, 집단적인 독백이 있다.
5세 유아는 대개 새로운 단어에 호기심을 나타내며 끊임없이 모르는 단어의 의미를 질문하고 또한
정보를 모으기 위해 질문을 한다. 5- 6세의 아동은 6 - 8 단어로 된 문장을 사용하기 시작하며 간단한 단어의 의미를 정의할 줄도 알게 되고 반대말도 이해하기 시작한다. 예를 들면 우유는 마시는 것, 공은 던지는 것, 사과는 먹는 것, 아빠는 회사 가는 사람, 아기는 잠자는 사람 등이며, 할머니의 반대는 할아버지 등이다. 일상언어에서 접속사, 전치사 등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비교적 문법에 맞게 정확하게 구사할 수 있게 된다. 언어사용도 덜 자기중심적이고 사회화되어 가며 어휘도 2,000 - 2,500 단어로 늘어난다. 5세 정도의 유아들은 말하기를 좋아하고 비교적 긴 대화를 나눌 수 있다. 집에서 일어난 일을 교사에게 이야기 하고 유치원에서의 일과를 부모에게 말하기를 좋아한다. 그러나 여기에는 개인차가 있어 아동이 이야기하려 하지 않는데, 억지로 캐묻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유아들은 이야기 듣기를 좋아하지만 스스로 구석에서 책을 보거나 읽기도 하며, 책에서 아는 낱말을 찾아내는 것을 즐긴다. 유아들은 책의 한 페이지의 내용을 모두 기억하고 어느 때는 책 전체를 기억하기도 한다. 유모어를 좋아하고 사람처럼 행동하는 동물이야기를 좋아한다. 또한 그들은 경쾌한 리듬과 운율들을 암송하거나 노래하기를 즐긴다. 이 때 가장 유의해야 할 일은 어린 아이의 일상생활 용어 사용시 부자연스러움을 느끼지 않도록 해 주는 것이 말을 가르치는 첫걸음이며 가장 기본적인 요건인 것을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11.01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19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