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퇴원예고제의 필요성
(2) 퇴원예고제 실시에 따른 효과
퇴원수속절차
2. 퇴원계산
(1) 퇴원계산의 의의
(2) 퇴원계산시 유의사항
(2) 퇴원예고제 실시에 따른 효과
퇴원수속절차
2. 퇴원계산
(1) 퇴원계산의 의의
(2) 퇴원계산시 유의사항
본문내용
경우(수련병원실태조사 자료에서의 요구사항) 표시한다. 수술 후 10일 혹은 12일 여부는 병원의 규정에 따라 정한 후에 일치시켜야 한다.
4) 결핵(Tuberculosis)
폐결핵인 경우만 기재한다.
5) 불임수술(Tubal ligatiom of sterilization)
재원기간 중에 여성이 불임수술을 받은 경우에 표시한다.
6) 전과환자수(No. of patients transferred)
전과한 환자를 표시하는 것으로 전과율을 계산할 경우 필요하다.
7) 생검(Biopsy)
현재 병원에 따라 분석방법에 차이가 있다.
① 방법 1. : 진단을 위한 조직의 생검수를 표시하는 것으로 같은 장기에서 여러 피검물(specomen)을 생검했을 경우 한번으로 기입하고 각각의 장기 에서 생검했을 경우 생검한 장기 각각의 횟수를 기입한다.
② 방법 2. : 조직병리검사를 한 모든 경우에 기입한다. 예를 들어 Internal hemorrhoid로 인해 Hwmorrhoidectomy를 시행하였다. 조직병리 검사결과 Multiple internal hemorrhoid가 나왔다면 방법1인 경우 는 생검난에 표시하지 않고, 방법2에서는 1회로 표시한다.
8) 병원 합병증(Complications)
ICD-9의 질병분류번호 996-999중 병원내 합병증일 경우와 원내감염인 경우에 기입한다.
9) 재입원(Readmission)
과거에 그 병원에 입원 사실이 있는 경우 기재한다.
10) 주치의(Attending physician)
일반적으로 환자를 담당한 Staff(전문의)를 지칭하며 만약 해당 전문의가 없이 일반의나 전공의가 환자를 담당했을 경우 해당 담당의사를 기입한다.
4. 전산처리 방법에 의한 분석(Automated System)
(1) 분석항목
1) 성명: 의무기록의 내용과 표지를 확인한 후 기입하며 일치하지 않을 경우 환자 색인카드를 확인하여 정확히 기록한다.
2) 주민등록번호 : 의무기록에 기입된 것을 기록하되 주민등록번호의 성별이 의무 기록의 내용과 일치해야 한다.
3) 거주지
4) 주진단명, 기타진단명, 주수술명, 기타수술명
ICD-9를 참고로 하여 분류번호를 기입한다.
5) 원사인 종류 : 선행사인에 대한 분류번호를 기록하되 ICD-9의 Mortalotylist를 참고로 하며 선행사인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담당전공의 나 전문의에게 문의하여 기재한다.
6) 부검 : 사망한 환자의 부검여부를 병리과 부검대장을 확인하여 기록하며 입원 중에 사망한 환자의 부검인 경우만 기입한다.
7) 입원경로 : 간호기록지, 응급실기록지, 경과기록지를 참고하여 기록한다. 입원 시 경로별 점유율을 확인하여서 병원 정책 수립에 도움을 준다.
① 응급실 : 응급실기록지가 첨부되었거나 응급실기록지가 누락되었을 경우에도 간호기록지 및 경과기록지에 Admitted by ER의 기록이 되었을 경우 해당된다.
② 외래 : 각 진료과 외래(Outpatient department)를 통하여 입원했을 경우 해당 된다.
③ 기타 : 병원 분만실에서 태어난 신생아인 경우나 산모가 분만실로 직접 내원하 여 분만한 경우에 해당한다.
8) 입원과 및 입원날짜 : 입퇴원기록지와 간호기록지의 내용과 일치하는가를 확 인한 후 기입한다.
9) 마취(Anesthesia)
① 전신마취(General anesthesia) : 기관내 흡입법 inhalation(open drop, semiclosed, closed, hook, mask) Endotracheal, Enodbronchial, OV, Rectal, IM ② 부분마취(Regional anesthesia) : spinal, Epidural, caudal, Brachial, nerve block, Celiac nerve block, Pudendal block, Other nerve block, Field block, Infiltration, Topocal
③ 국소마취(Local anesthesia) :회복실 기록지가 없으므로 수술기록지에서 국소마취제를 확인하여 기록한다.
10) 신생아 : 임신기간과 출생시 체중을 기록한다.
11) 엄마 등록 번호 : 신생아 인적사항에 기록되어 있는 Mother's unit no.를 기입 한다.
참고문헌
병원경영 이론과 실체 유승흠 수문사 1998
원무관리 실무 김수배 편저 군자출판사 1997
의무기록실무 김미숙외 3명 고문사 2002
병원실무 원무관리 김영춘외 4명 수문사 1997
96.제2호 의무행정 유한전문대학 의무행정과 1996
4) 결핵(Tuberculosis)
폐결핵인 경우만 기재한다.
5) 불임수술(Tubal ligatiom of sterilization)
재원기간 중에 여성이 불임수술을 받은 경우에 표시한다.
6) 전과환자수(No. of patients transferred)
전과한 환자를 표시하는 것으로 전과율을 계산할 경우 필요하다.
7) 생검(Biopsy)
현재 병원에 따라 분석방법에 차이가 있다.
① 방법 1. : 진단을 위한 조직의 생검수를 표시하는 것으로 같은 장기에서 여러 피검물(specomen)을 생검했을 경우 한번으로 기입하고 각각의 장기 에서 생검했을 경우 생검한 장기 각각의 횟수를 기입한다.
② 방법 2. : 조직병리검사를 한 모든 경우에 기입한다. 예를 들어 Internal hemorrhoid로 인해 Hwmorrhoidectomy를 시행하였다. 조직병리 검사결과 Multiple internal hemorrhoid가 나왔다면 방법1인 경우 는 생검난에 표시하지 않고, 방법2에서는 1회로 표시한다.
8) 병원 합병증(Complications)
ICD-9의 질병분류번호 996-999중 병원내 합병증일 경우와 원내감염인 경우에 기입한다.
9) 재입원(Readmission)
과거에 그 병원에 입원 사실이 있는 경우 기재한다.
10) 주치의(Attending physician)
일반적으로 환자를 담당한 Staff(전문의)를 지칭하며 만약 해당 전문의가 없이 일반의나 전공의가 환자를 담당했을 경우 해당 담당의사를 기입한다.
4. 전산처리 방법에 의한 분석(Automated System)
(1) 분석항목
1) 성명: 의무기록의 내용과 표지를 확인한 후 기입하며 일치하지 않을 경우 환자 색인카드를 확인하여 정확히 기록한다.
2) 주민등록번호 : 의무기록에 기입된 것을 기록하되 주민등록번호의 성별이 의무 기록의 내용과 일치해야 한다.
3) 거주지
4) 주진단명, 기타진단명, 주수술명, 기타수술명
ICD-9를 참고로 하여 분류번호를 기입한다.
5) 원사인 종류 : 선행사인에 대한 분류번호를 기록하되 ICD-9의 Mortalotylist를 참고로 하며 선행사인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담당전공의 나 전문의에게 문의하여 기재한다.
6) 부검 : 사망한 환자의 부검여부를 병리과 부검대장을 확인하여 기록하며 입원 중에 사망한 환자의 부검인 경우만 기입한다.
7) 입원경로 : 간호기록지, 응급실기록지, 경과기록지를 참고하여 기록한다. 입원 시 경로별 점유율을 확인하여서 병원 정책 수립에 도움을 준다.
① 응급실 : 응급실기록지가 첨부되었거나 응급실기록지가 누락되었을 경우에도 간호기록지 및 경과기록지에 Admitted by ER의 기록이 되었을 경우 해당된다.
② 외래 : 각 진료과 외래(Outpatient department)를 통하여 입원했을 경우 해당 된다.
③ 기타 : 병원 분만실에서 태어난 신생아인 경우나 산모가 분만실로 직접 내원하 여 분만한 경우에 해당한다.
8) 입원과 및 입원날짜 : 입퇴원기록지와 간호기록지의 내용과 일치하는가를 확 인한 후 기입한다.
9) 마취(Anesthesia)
① 전신마취(General anesthesia) : 기관내 흡입법 inhalation(open drop, semiclosed, closed, hook, mask) Endotracheal, Enodbronchial, OV, Rectal, IM ② 부분마취(Regional anesthesia) : spinal, Epidural, caudal, Brachial, nerve block, Celiac nerve block, Pudendal block, Other nerve block, Field block, Infiltration, Topocal
③ 국소마취(Local anesthesia) :회복실 기록지가 없으므로 수술기록지에서 국소마취제를 확인하여 기록한다.
10) 신생아 : 임신기간과 출생시 체중을 기록한다.
11) 엄마 등록 번호 : 신생아 인적사항에 기록되어 있는 Mother's unit no.를 기입 한다.
참고문헌
병원경영 이론과 실체 유승흠 수문사 1998
원무관리 실무 김수배 편저 군자출판사 1997
의무기록실무 김미숙외 3명 고문사 2002
병원실무 원무관리 김영춘외 4명 수문사 1997
96.제2호 의무행정 유한전문대학 의무행정과 1996
추천자료
의료사회사업 사례
산모에 대한 교육
신부전 간호사례
아동학대 사례에 대한 실천과정과 가족복지적 개입방안
정신분열증 케이스
비판적사고와 간호과정(간호계획)
가족활동 분쟁으로 인한 문제 상담 사례
[가정간호 논문요약] 기관절개관을 보유하고 있는 가정간호대상자를 위한 기관절개관 자가관...
★주변에 개입이 필요한 아동 선정 및 문제사정과, 개입계획(아동학대의 사정, 개입, 평가)★.
간호조직의 직무분석 - 외과 병동 간호사의 직무분석
[아동간호] 폐렴(Pneumonia) & 천식(Asthma) 케이스 스터디(CaseStudy)
산욕기(産褥期 / Postpartum Period) 케이스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