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목:참여연대의 조직구조
1.참여연대란?
2.조직분석
(1)계급구조
(2)조직구조
3.인사체계
4.의사결정체계 (낙선운동을 예로 분석)
5.재정 (손익계산서와 대차대조표를 통한 분석)
6.투명성 (현재의 투명성에 대한 시스템과 문제점 해결책)
7.임금체계
참고자료- 회계감사보고서, 정관
1.참여연대란?
2.조직분석
(1)계급구조
(2)조직구조
3.인사체계
4.의사결정체계 (낙선운동을 예로 분석)
5.재정 (손익계산서와 대차대조표를 통한 분석)
6.투명성 (현재의 투명성에 대한 시스템과 문제점 해결책)
7.임금체계
참고자료- 회계감사보고서, 정관
본문내용
조 [ 소집 ]
정기총회는 연 1회 열며, 임시총회는 재적회원 1/10이상의 요구나 운영위원회의 결의가 있을 때 소집할 수 있다.
제13조 [ 권한 및 의결사항]
1. 총회는 참여연대의 조직과 운영에 관한 중요사항들을 토의하여 결정하며 출석회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2. 정기 총회에서는 다음의 사항들을 결정한다.
정관의 개정
공동대표의 선출
운영위원회 위원장, 부위원장 및 운영위원의 선출
고문, 자문위원의 추대와 감사의 선임
결산 및 예산과 사업계획의 승인
제2절 운영위원회
제14조 [ 지위 ]
운영위원회는 총회의 위임을 받아 다음 총회시까지 참여연대의 조직과 운영 및 사업과 활동에 관한 중요한 사항들을 토의하고 의결하는 상설기구이다.
제15조 [ 구성 ]
1. 운영위원회는 총회에서 선출한 임기 1년의 선출직 운영위원과 당연직 운영위원으로 구성한다.
2. 당연직 운영위원은 공동대표와 운영위원회 위원장과 부위원장, 집행위원회 위원장과 부위원장, 각 활동기구의 장, 각 부설기관의 장, 정책위원장, 사무처장, 협동사무처장, 각 회원모임의 대표로 한다. 단, 당연직 운영위원으로 하는 각 활동기구와 부설기관의 장에 대한 기준과 범위는 내규로 정한다.
3. 운영위원회는 운영위원장이 소집하며 주관한다.
제16조 [ 임기]
운영위원회 위원장과 부위원장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제17조 [ 소집 ]
운영위원회는 매 2개월마다 운영위원장이 정기운영위원회를 소 집하며 운영위원 1/5이상의 요구나 집행위원회의 결의가 있을 때 임시운영위원회를 소집한다.
제18조 [ 의결 ]
운영위원회는 운영위원 재적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회하며, 출석 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제19조 [ 권한 ]
운영위원회는 집행위원회 위원장과 약간명의 부위원장, 정책위원장단과 선출직 집행위원을 선출하며, 집행위원장이 제청하는 당연직 집행위원과 각 활동기구의 임원을 임명한다.
제3절 집행위원회
제20조 [ 지위 ]
집행위원회는 총회와 운영위원회의 의결사항을 집행하며, 정관에 명시된 사업과 활동을 추진하는 상설기구이다.
제21조 [ 구성 ]
1. 집행위원회는 운영위원회에서 선출한 임기 1년의 선출직 집행위원과 당연직 집행위원으로 구성한다.
2. 당연직 집행위원은 공동대표, 운영위원회 위원장과 부위원장, 집행위원회 위원장과 부위원장, 각 활동기구의 장, 각 부설기관의 장, 정책위원장, 사무처장, 협동사무처장, 회원모임협의회 대표로 구성한다. 단, 당연직 집행위원으로 하는 각 활동기구와 부설기관의 장에 대한 기준과 범위는 내규로 정한다.
3. 집행위원회는 집행위원장이 소집하며 주관한다.
제22조 [ 임기]
집행위원회 위원장과 부위원장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제23조 [ 권한 ]
1. 집행위원회는 참여연대의 사업과 활동을 추진하기 위해 각 활동기구를 조직·관리하며, 예산을 편성·집행하고, 이를 위해 사무처를 설치·운영한다.
2. 집행위원회는 정책위원회와 각 부설기관의 활동을 지원한다.
3. 집행위원회는 그 업무를 원활히 수행하기 위하여 상임집행위원회를 둔다.
4. 상임집행위원회의 구성과 운영에 관한 사항은 내규로 정한다.
제4절 공동대표, 고문, 자문위원회, 감사
제24조[ 공동대표 ]
공동대표는 참여연대를 대표하고 제반 업무를 총괄한다.
공동대표는 5인 이내로 총회에서 선출하며, 임기는 2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제25조 [ 고문 ]
공동대표, 운영위원장단, 집행위원장단으로 활동한 전직 임원을 고문으로 추대할 수 있다.
제26조 [ 자문위원회 ]
참여연대의 사업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지도와 자문을 받기 위하여 각계 인사를 자문위원으로 추대할 수 있다.
제27조 [ 감사 ]
참여연대의 사업과 재정을 감사하기 위해 약간 명의 감사를 둔다.
제5절 정책위원회, 전문활동센터, 사무처, 활동기구
제28조 [ 정책위원회 ]
정책위원회는 참여연대의 정책 및 연구사업을 담당하며 각 전문활동센터의 정책기능을 담당한다.
정책위원회는 위원장, 약간명의 부위원장, 실행위원 및 산하 분과위원회로 구성한다.
제29조 [ 활동기구 ]
참여연대의 목적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운영위원회의 의결에 따라 활동기구를 둘 수 있다.
각 활동기구의 구성과 운영에 관한 사항은 내규로 정한다.
각 활동기구는 참여연대의 목적과 집행위원회가 정하는 전체 사업취지의 범위 안에서 자율적인 활동을 전개할 수 있다.
제30조 [사무처]
참여연대의 실무를 총괄하기 위하여 집행위원회 산하에 사무처를 둔다.
사무처의 구성과 운영에 대한 사항은 내규로 정한다.
제31조 [ 사무처장]
사무처장은 집행위원회에서 추천하여 운영위원회에서 인준하며 임기는 2년으로 하고 연임할 수 있다.
제32조 [ 협동사무처장]
사무처의 원활한 업무를 위해 약간명의 협동처장을 둘 수 있고 그 인준절차와 임기는 사무처장과 같다.
제33조 [ 지역조직 ]
참여연대의 사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운영위원회의 의결에 따라 지역조직을 둘 수 있다.
제34조 [ 부설기관 ]
참여연대의 사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운영위원회의 의결에 따라 부설기관을 둘 수 있다.
제4장 재 정
제35조 [ 회계연도 ]
참여연대의 회계연도는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로 한다.
제36조 [ 예산 및 결산 ]
집행위원장은 다음해 예산안을 운영위원회에 제출해야 하며 다음해 총회에서 추인받아야 한다.
집행위원장은 회계년도 경과 2개월 내에 예산회계 준칙에 따라 감사로부터 회계감사를 받아 전년도의 결산안을 운영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한다.
제37조 [ 수입 ]
참여연대의 수입은 회원회비, 후원금, 특별모금, 기타수익으로 한다.
제5장 보 칙
제38조 [ 정당활동 등의 제한 ]
주요 임원은 정당에 가입하거나 공직에 취임할 경우 또는 공직선거에 입후보할 경우 사임하여야 한다.
주요 임원의 범위는 내규에 따른다.
제39조 [ 준용규정 ]
정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민주주의 일반원칙과 내규에 따른다.
내규는 상임집행위원회의 의결로 제정 또는 개정할 수 있다.
정기총회는 연 1회 열며, 임시총회는 재적회원 1/10이상의 요구나 운영위원회의 결의가 있을 때 소집할 수 있다.
제13조 [ 권한 및 의결사항]
1. 총회는 참여연대의 조직과 운영에 관한 중요사항들을 토의하여 결정하며 출석회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2. 정기 총회에서는 다음의 사항들을 결정한다.
정관의 개정
공동대표의 선출
운영위원회 위원장, 부위원장 및 운영위원의 선출
고문, 자문위원의 추대와 감사의 선임
결산 및 예산과 사업계획의 승인
제2절 운영위원회
제14조 [ 지위 ]
운영위원회는 총회의 위임을 받아 다음 총회시까지 참여연대의 조직과 운영 및 사업과 활동에 관한 중요한 사항들을 토의하고 의결하는 상설기구이다.
제15조 [ 구성 ]
1. 운영위원회는 총회에서 선출한 임기 1년의 선출직 운영위원과 당연직 운영위원으로 구성한다.
2. 당연직 운영위원은 공동대표와 운영위원회 위원장과 부위원장, 집행위원회 위원장과 부위원장, 각 활동기구의 장, 각 부설기관의 장, 정책위원장, 사무처장, 협동사무처장, 각 회원모임의 대표로 한다. 단, 당연직 운영위원으로 하는 각 활동기구와 부설기관의 장에 대한 기준과 범위는 내규로 정한다.
3. 운영위원회는 운영위원장이 소집하며 주관한다.
제16조 [ 임기]
운영위원회 위원장과 부위원장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제17조 [ 소집 ]
운영위원회는 매 2개월마다 운영위원장이 정기운영위원회를 소 집하며 운영위원 1/5이상의 요구나 집행위원회의 결의가 있을 때 임시운영위원회를 소집한다.
제18조 [ 의결 ]
운영위원회는 운영위원 재적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회하며, 출석 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제19조 [ 권한 ]
운영위원회는 집행위원회 위원장과 약간명의 부위원장, 정책위원장단과 선출직 집행위원을 선출하며, 집행위원장이 제청하는 당연직 집행위원과 각 활동기구의 임원을 임명한다.
제3절 집행위원회
제20조 [ 지위 ]
집행위원회는 총회와 운영위원회의 의결사항을 집행하며, 정관에 명시된 사업과 활동을 추진하는 상설기구이다.
제21조 [ 구성 ]
1. 집행위원회는 운영위원회에서 선출한 임기 1년의 선출직 집행위원과 당연직 집행위원으로 구성한다.
2. 당연직 집행위원은 공동대표, 운영위원회 위원장과 부위원장, 집행위원회 위원장과 부위원장, 각 활동기구의 장, 각 부설기관의 장, 정책위원장, 사무처장, 협동사무처장, 회원모임협의회 대표로 구성한다. 단, 당연직 집행위원으로 하는 각 활동기구와 부설기관의 장에 대한 기준과 범위는 내규로 정한다.
3. 집행위원회는 집행위원장이 소집하며 주관한다.
제22조 [ 임기]
집행위원회 위원장과 부위원장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제23조 [ 권한 ]
1. 집행위원회는 참여연대의 사업과 활동을 추진하기 위해 각 활동기구를 조직·관리하며, 예산을 편성·집행하고, 이를 위해 사무처를 설치·운영한다.
2. 집행위원회는 정책위원회와 각 부설기관의 활동을 지원한다.
3. 집행위원회는 그 업무를 원활히 수행하기 위하여 상임집행위원회를 둔다.
4. 상임집행위원회의 구성과 운영에 관한 사항은 내규로 정한다.
제4절 공동대표, 고문, 자문위원회, 감사
제24조[ 공동대표 ]
공동대표는 참여연대를 대표하고 제반 업무를 총괄한다.
공동대표는 5인 이내로 총회에서 선출하며, 임기는 2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제25조 [ 고문 ]
공동대표, 운영위원장단, 집행위원장단으로 활동한 전직 임원을 고문으로 추대할 수 있다.
제26조 [ 자문위원회 ]
참여연대의 사업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지도와 자문을 받기 위하여 각계 인사를 자문위원으로 추대할 수 있다.
제27조 [ 감사 ]
참여연대의 사업과 재정을 감사하기 위해 약간 명의 감사를 둔다.
제5절 정책위원회, 전문활동센터, 사무처, 활동기구
제28조 [ 정책위원회 ]
정책위원회는 참여연대의 정책 및 연구사업을 담당하며 각 전문활동센터의 정책기능을 담당한다.
정책위원회는 위원장, 약간명의 부위원장, 실행위원 및 산하 분과위원회로 구성한다.
제29조 [ 활동기구 ]
참여연대의 목적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운영위원회의 의결에 따라 활동기구를 둘 수 있다.
각 활동기구의 구성과 운영에 관한 사항은 내규로 정한다.
각 활동기구는 참여연대의 목적과 집행위원회가 정하는 전체 사업취지의 범위 안에서 자율적인 활동을 전개할 수 있다.
제30조 [사무처]
참여연대의 실무를 총괄하기 위하여 집행위원회 산하에 사무처를 둔다.
사무처의 구성과 운영에 대한 사항은 내규로 정한다.
제31조 [ 사무처장]
사무처장은 집행위원회에서 추천하여 운영위원회에서 인준하며 임기는 2년으로 하고 연임할 수 있다.
제32조 [ 협동사무처장]
사무처의 원활한 업무를 위해 약간명의 협동처장을 둘 수 있고 그 인준절차와 임기는 사무처장과 같다.
제33조 [ 지역조직 ]
참여연대의 사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운영위원회의 의결에 따라 지역조직을 둘 수 있다.
제34조 [ 부설기관 ]
참여연대의 사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운영위원회의 의결에 따라 부설기관을 둘 수 있다.
제4장 재 정
제35조 [ 회계연도 ]
참여연대의 회계연도는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로 한다.
제36조 [ 예산 및 결산 ]
집행위원장은 다음해 예산안을 운영위원회에 제출해야 하며 다음해 총회에서 추인받아야 한다.
집행위원장은 회계년도 경과 2개월 내에 예산회계 준칙에 따라 감사로부터 회계감사를 받아 전년도의 결산안을 운영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한다.
제37조 [ 수입 ]
참여연대의 수입은 회원회비, 후원금, 특별모금, 기타수익으로 한다.
제5장 보 칙
제38조 [ 정당활동 등의 제한 ]
주요 임원은 정당에 가입하거나 공직에 취임할 경우 또는 공직선거에 입후보할 경우 사임하여야 한다.
주요 임원의 범위는 내규에 따른다.
제39조 [ 준용규정 ]
정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민주주의 일반원칙과 내규에 따른다.
내규는 상임집행위원회의 의결로 제정 또는 개정할 수 있다.
추천자료
여성운동 단체의 연대와 균열
반세계화 운동과 국제사회에서 사회세력 연대(시애틀 시위 사례를 중심으로)
플래시몹 현상 연구를 통한 네트워크 연대의 효과적인 동원력
시민참여채널(시민참여방송, 퍼블릭액세스)의 의미와 영역, 시민참여채널(시민참여방송, 퍼블...
노동자경영참여(근로자경영참여)의 정의, 노동자경영참여(근로자경영참여)의 필요성, 외국의 ...
학부모참여(학부모학교교육참여)의 정의와 유형, 학부모참여(학부모학교교육참여)의 필요성과...
노동자경영참여(근로자경영참여)의 개념과 필요성, 노동자경영참여(근로자경영참여)의 원칙과...
시민참여방송(시민참여채널, 퍼블릭액세스)의 역할과 필요성, 시민참여방송(시민참여채널, 퍼...
학부모학교참여(학부모교육참여)의 정의, 학부모학교참여(학부모교육참여)의 유형, 학부모학...
NGO를 이해하고, 그 사례- 반부패국민연대(한국투명성기구) 소개, 의사결정구조, 재정, 활동 ...
자유권 사회권 연대권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배경, 초기상황,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역사왜곡, 제주 ...
NGO_춘천시민연대_발표자료
NGO_춘천시민연대_발표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