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속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틀과 여성영화의 중요성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 속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틀과 여성영화의 중요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문제제기

2.여성영화와 페미니즘 영화
2.1. 페미니즘이란?
2.2. 여성영화란?
2.3 여성영화의 역사

3. 페미니즘이란?
3.1. 정의
3.2. 특징
3.3. 다양한 관점
3.3.1. 자유주의적 페미니즘
3.3.2. 사회주의적 페미니즘
3.3.3. 급진주의적 페미니즘
3.3.4. 페미니즘에 대한 세계의 다양한 의식

4. 페미니즘 영화
(1) 다양한 영화
스텝포드 와이프 분석
마요네즈 분석
스템포드 와이프와 마요네즈의 비교분석

4. 요약

본문내용

영화에 대한 비판은 같다고 볼 수 없다. 하지만 영화는 사회와 현실을 반영하여 지금보다 더 앞선 세계를 미리 보여주는 거울과 같은 매체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영화가 페미니즘적 요소를 담고 남성위주의 세계관에 반하는 주제를 관객들에게 보여줄 때, 관객들은 자연스럽게 페미니즘에 관심을 갖고, 남성중심적 가치관도 서서히 무너뜨릴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여성영화를 더욱 신장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기존의 영화들을 여성주의적 입장에서 비판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 여성영화의 감독 또한 페미니즘적 이라고 할 수 있는가?
여기서 여성영화의 정의에 따라 답변의 성질이 틀려진다. 여성영화를 보통 페미니즘이라고 본다면 감독의 시선또한 페미니즘적인것이 당연하지만, 여성영화가 단순히 여자와 관련된 요소를 담고 있는 영화라면 그렇게 볼 수는 없다.
- 여성 감독의 영화를 무조건 페미니즘 영화라 하는 것은 역차별이 아닌가?
남성영화의 정의를 내리기 힘들 듯이 여성영화 역시 정확히 정의 내리기는 힘들지만 여성이 주제로 나오는 영화 혹은 여성감독이 만든 영화를 여성영화라고 한다. 페미니즘 영화라 함은 여성영화의 한 부류이지 페미니즘영화를 여성영화라고 하는 것은 범주의 잘못된 규정이다. 남성들도 페미니즘 영화를 만들 수 있고 여성이 만들었다고 해서 모두 페미니즘 영화는 아닌것이다
- \'여권\'이라는 것이 어떤 범위를 말하는 것인가?
특별한 범위가 지정되어있지 않다. 여권이란 여성의 권리를 말하는 것인데 우리의 남성이 주로 사회의 모든 요소의 권리를 갖고 있는 사회에서 여성의 권리를 신장시켜야 한다는 것이 페미니즘이다.
- 페미니즘이 역설적으로 여성에게 부정적인데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안은 무엇인가?
일부 여성들이 페미니즘을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은 페미니즘을 극단적인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본다. 하지만 페미니즘은 극단적인 것이 아니라 우리 생활 속에서 사소한 것부터 여성의 권리를 찾아가는 것이다. 하지만 특히 우리나라 같은 가부장적 사회에서는 사람들의 사고방식을 이렇게 여성 권리 회복적으로 바꾸기는 어렵다. 그것도 급작스럽게는 더더욱. 그렇기에 사람들에게 잘 닿아있고 친숙한 영화라는 매체의 역할이 중요하고, 페미니즘적 요소를 담고 있는 영화가 또한 중요하다. 영화를 비롯한 모든 매체들이 남성중심적인 요소들을 억제하고 페미니즘적 시각을 찾아가야 한다. 보다 친숙하고 천천히 다가가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 대표적인 페미니즘 영화는?
비주류영화들 중 <우리네 아이들>,<작은 풀에도 이름은 있으니>, <굴레를 벗고서>, 이름이 알려진 변영주 감독의 <아시아에서 여성으로 산다는 것>, 주류영화, 즉 충무로영화로는 <단지 그대가 여자라는 이유만으로>,<씨받이>,<우묵배미의 사랑>,<안개기둥>,<물위를 걷는 여자>,<그대 안의 블루>,<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등을 뽑을 수 있다
- 대표적인 페미니즘 영화 감독은?
이현승, 아네스, 바르다가 대표적인 페미니즘 영화감독이라 할 수 있다.
- 영화 \'스텝포드 와이프\'에서 배경이 잘 사는 주의 보수적인 마을이기 때문에 더 획기적인 설정이 되었다고 생각되는데, 어떻게 해서 그 것이 영화의 한계라고 생각하는가?
해석하는 사람에 따라 오히려 그러한 마을의 배경이 더욱더 마을의 문제점을 부각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그렇게 보수적인 마을 속에 백인뿐인 미인 부인들을 보여주는 설정 자체가 우리의 고정관념을 표현한 것이라고 보아서 문제점에 넣게 되었다.
- 기존의 어머니상이 인간으로서의 존재가치를 상실하였다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은 데, 왜 그런 생각을 하였는가?
기존의 어머니상이 인간으로서의 존재가치를 상실했다는 것은 우리 사회가 바라는 어머니에 대한 이미지가 너무나 헌신적이고 무성적이어야 한다는, 즉 인간적인 모습보다는 신성한 모습이라는 것이다. 어머니는 여성으로서 멋을 내거나 인간으로서 욕심을 부려서도 안되는, 묵묵히 집안일을 하고 자식에게 항상 헌신해야 한다는 생각이 잘못된 생각이며, 남성중심적인 고정관념이라는 것을이 \'마요네즈\'라는 영화는 말하고 있다. 즉 딸에게는 너무나 한심스러운 어머니 김혜자가 실은 지극히 인간적인 모습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영화 \'마요네즈\'에서 마요네즈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영화 속 어머니는 (김혜자분) 딸에게 있어서 창피하게 여겨지는 존재이며 그러한 딸의 시각을 잘 보여주는 장면이 실제로 머리에 영양을 주기 위해 (즉 외모를 가꾸기 위해) 마요네즈를 바르는 어머니의 모습이다. 즉 마요네즈는 딸이 처음에 싫어했던, 우리나라의 현모와는 많이 다른 어머니의 모습을 상징한다. 이는 기존에 우리사회가 갖고 있던 모성신화를 깨뜨리는 어머니상을 상징하는 것이기도 하다.
- 발표 제목 \'나쁜 여자\'과 내용의 연관성은 무엇인가?
아직은 우리의 모습이나 행동을 기존의 \'착한여자\' 즉 \'고분고분한 여자\' 와 대비하여 \'나쁜 여자\'라고 불리는 것이 정이다. 하지만 우리는 \'나쁜 여자\' 가 아니라 사회를 정당하게 보는 여자들이다. 기존의 관습과 시각에에서는 꼬집어 내지 못한 모습을 폭로할 수있는 여자들이다. 그런데 요즘 \'나쁜여자로 살아가는 법\' 등의 책이 나올 정도로 \'나쁜 여자\'의 붐이 일어나고 있다. 기존의 \'착한여자\'만 존재하던 사회에 비하면 분명 나아진 것이긴 하지만 아직도 그런 여자를 \'나쁜 여자\'라고 범주 짓는 것은 현 사회에 페미니즘의 위상을 보여주는 것이며 앞으로 우리가 더 나아가야 함을 시사해준다
- 우리나라의 페미니즘이 과도기적이라는 점은 무엇에 준한 것인가?
우리나라에서 페미니즘 운동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고, 진행되고 있는 운동이긴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지 않는 분위기 속에 진행되고 있다. 다시 말해, 많은 사람들(여성들까지도)이 페미니즘에 대해 거부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나라의 페미니즘이 과더기적이라고 할 수 있다. 페미니즘이 제대로 우리나라에 정착하는 것은 일부 사람들만의 공감하에 이루어지는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대다수의 사람들이 공감하고 적극적으로 수용할 때, 진정한 의미의 페미니즘이 이루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미국에서 여권이 높았기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05.04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56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