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니라 어간과 어미의 결합에서도 적용된다.
예) , 거우루는, 사, 수른, 오닌, 이젠
, 거우루, 사, 수를, 智慧ㄹ, 머릴
소로, 므로, 左手로, 믈로
2) 모음조화 규칙만 적용되는 조사
양성모음 아래
음성모음아래
중성모음아래
의
관형격조사와 처소의 부사격조사
애
에
예 (i, y)
처소의 부사격조사
예) 도 알, 大衆 의 거긔
이 해, 굴허에, 서리예, 예
3)체언의 끝소리 종류에 따라
자음아래
i, y 이외의 모음 아래
i, y를 가진 체언 아래에서 주격조사 실현 X
이
l
φ
주격 조사
이라
l 라
φ라
서술격 조사
예) 미(이) 기픈, 우리 始祖 l 慶興에 사샤, 도리(φ) 업건마
樓는 다라기라(다락이라), 여슷찻 乙酉ㅣ라, 第는 次第(φ)라, 齒 니(φ)라
i, y 아래 ‘l\'를 덧붙이는 표기가 간경도감에서 출간된 불경언해로부터 나타나기 시작함.
4) 조사 가운데서 ‘ㄱ\'로 시작하는 것은 특정한 소리 아래서 후두음 ‘ㅇ\'로 교체되는 일이 있다.
과/와 →동반 및 비교의 부사격과 접속의 기능
곳/옷 →단독의 보조사
가/아 →의문보조사
현대국어의 ‘과/와’는 체언의 끝소리가 자음이냐 모음이냐에 따라 구별되지만 중세국어는 ‘ㄹ’받침 아래에서도 ‘와’가 선택되었다. (곳/옷, 가/아 도 마찬가지)
<조사의 갈래와 격조사>
<조사의 갈래>
중세국어의 조사 갈래 ; (중세국어에서도 현재와 마찬가지로) 격조사, 접속조사, 보조사
조사 ┰ 격조사 -주격, 서술격, 목적격, 보격, 관형격, 부사격, 호격
┠접속조사
┗보조사
<격조사>
주격, 서술격, 목적격, 보격, 관형격, 부사격, 호격이 있다.
1) 격조사에는 체언으로 하여금 주성분이 되게 하는 격조사가 있다.
예) 가. 내히(내ㅎ이) 이러 (용비어천가, 2장) - 주격조사
나. 國 나라히라(나라ㅎ이라) (훈민정음언해, 1장) -서술격조사
다. 耶輸는…法을 모 (석보상절 권6, 6장) -목적격조사
라. ①兜率他制天히…他人이 외더라 (월인석보 권2, 24장) -보격조사
②이…世尊ㅅ 다시(닷이) 아니시다이다 (법화경언해 권 2, 5장)
2) 격조사에는 체언으로 하여금 부속성분이 되게 하는 격조사가 있다.
-관형격조사(체언이 관형어가 되도록함)
예) 가. 사(사) 과 도(도) 입과 눈 (용비어천가, 88장)
; 는 음성모음 아래에서는 ‘의’로 실현. 대체로 높임의 자질이 없는 유정명사에,
체언의 끝소리가 유성음과 무성음 구별하지 않고 붙는다.
가‘. ①長者 l 지
예) , 거우루는, 사, 수른, 오닌, 이젠
, 거우루, 사, 수를, 智慧ㄹ, 머릴
소로, 므로, 左手로, 믈로
2) 모음조화 규칙만 적용되는 조사
양성모음 아래
음성모음아래
중성모음아래
의
관형격조사와 처소의 부사격조사
애
에
예 (i, y)
처소의 부사격조사
예) 도 알, 大衆 의 거긔
이 해, 굴허에, 서리예, 예
3)체언의 끝소리 종류에 따라
자음아래
i, y 이외의 모음 아래
i, y를 가진 체언 아래에서 주격조사 실현 X
이
l
φ
주격 조사
이라
l 라
φ라
서술격 조사
예) 미(이) 기픈, 우리 始祖 l 慶興에 사샤, 도리(φ) 업건마
樓는 다라기라(다락이라), 여슷찻 乙酉ㅣ라, 第는 次第(φ)라, 齒 니(φ)라
i, y 아래 ‘l\'를 덧붙이는 표기가 간경도감에서 출간된 불경언해로부터 나타나기 시작함.
4) 조사 가운데서 ‘ㄱ\'로 시작하는 것은 특정한 소리 아래서 후두음 ‘ㅇ\'로 교체되는 일이 있다.
과/와 →동반 및 비교의 부사격과 접속의 기능
곳/옷 →단독의 보조사
가/아 →의문보조사
현대국어의 ‘과/와’는 체언의 끝소리가 자음이냐 모음이냐에 따라 구별되지만 중세국어는 ‘ㄹ’받침 아래에서도 ‘와’가 선택되었다. (곳/옷, 가/아 도 마찬가지)
<조사의 갈래와 격조사>
<조사의 갈래>
중세국어의 조사 갈래 ; (중세국어에서도 현재와 마찬가지로) 격조사, 접속조사, 보조사
조사 ┰ 격조사 -주격, 서술격, 목적격, 보격, 관형격, 부사격, 호격
┠접속조사
┗보조사
<격조사>
주격, 서술격, 목적격, 보격, 관형격, 부사격, 호격이 있다.
1) 격조사에는 체언으로 하여금 주성분이 되게 하는 격조사가 있다.
예) 가. 내히(내ㅎ이) 이러 (용비어천가, 2장) - 주격조사
나. 國 나라히라(나라ㅎ이라) (훈민정음언해, 1장) -서술격조사
다. 耶輸는…法을 모 (석보상절 권6, 6장) -목적격조사
라. ①兜率他制天히…他人이 외더라 (월인석보 권2, 24장) -보격조사
②이…世尊ㅅ 다시(닷이) 아니시다이다 (법화경언해 권 2, 5장)
2) 격조사에는 체언으로 하여금 부속성분이 되게 하는 격조사가 있다.
-관형격조사(체언이 관형어가 되도록함)
예) 가. 사(사) 과 도(도) 입과 눈 (용비어천가, 88장)
; 는 음성모음 아래에서는 ‘의’로 실현. 대체로 높임의 자질이 없는 유정명사에,
체언의 끝소리가 유성음과 무성음 구별하지 않고 붙는다.
가‘. ①長者 l 지
추천자료
'조사와 의존명사의 띄어쓰기'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
첩해신어, 국어, 어학
표준중세문법론 활용론 요약
[중세][문학][철학][농업][봉건제][중세의 문학][중세의 철학][중세의 농업][중세의 봉건제]...
『훈민정음』서지학적 특징과 국어사적 특징
방언(사투리, 지역어) 정의와 종류, 방언(사투리, 지역어)에 대한 태도, 방언(사투리, 지역어...
한국 중세문학의 성격, 한국 중세문학의 배경, 한국 중세문학 서사문학, 한국 중세문학 통일...
<등고(登高)>의 국어학적 분석
용비어천가 제120장에 나타난 15세기 국어의 특징 분석
용비어천가 제101장에 나타난 15세기 국어의 특징
용비어천가 제118장에 나타난 15세기 국어의 특징 분석
[우리말의 역사 4공통]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
15세기 국어의 객체 높임법 또는 겸손법
중세 십자군 전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