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재활간호의 개요
2. 재활대상자의 이해
3. 재활 대상자의 사회 심리적 문제
4. 장애인 가족의 부담감
5. 재활과정과 재활간호 모형
6. 재활능력 사정방법
7. 재활간호중재
8. 일상생활 동작 훈련
2. 재활대상자의 이해
3. 재활 대상자의 사회 심리적 문제
4. 장애인 가족의 부담감
5. 재활과정과 재활간호 모형
6. 재활능력 사정방법
7. 재활간호중재
8. 일상생활 동작 훈련
본문내용
순서로 걷는다.
② 2점 보행
4점 보행보다 좀 더 빠른 방법이다. 좌측 목발과 우측 목발이 동시에 나가고 그 다음에는 우측 목발과 좌측 발이 동시에 나가서 딛게 되는 보행으로 항상 2점이 땅이 지지된다.
③ 삼각보행
하지마비 환자에게 적용되는 보행으로 몸의 중심점을 전방으로 옮겨 목발을 이용해 보행하는 방법이다. 좌측 목발이 먼저 나가고 그 다음 우측 목발이 나간 후 몸을 앞으로 끌어당기는 방법으로 훈련시키며, 나중에는 양측 목발, 몸을 앞으로 끌어당기는 순서로 보행한다.
(3) 부분 체중지지 보행
① 3점 보행
한쪽 하지가 약해서 체중부하를 할 수 없고 다른 한 쪽 하지는 튼튼하여 전체 체중유지가 가능할 때 사용한다. 좌측 목발, 우측 목발, 환측 발, 건측 발의 순이며 점차적으로 좌측 목발과 우측 목발을 동시에 내고 환측 발, 건측 발의 순으로 훈련시킨다.
(4) 체중지지 없는 보행
① 뛰기보행
양측 목발이 앞에 오고 몸을 들어서 앞으로 나가게 하는데 이때 몸이 목발의 선을 넘지 못하고 양발을 띄어 놓는 보행이다.
② 건너뛰기 보행
빠른 목발 보행으로 장애물을 뛰어 넘기 위해 양발을 동시에 들어 올려 뛰는 보행이다.
(5) 계단 오르내리기
① 오르기
양쪽 목발을 한 손으로 잡고 다른 한 손은 계단 난간을 잡고 먼저 건강한 다리를 올린 다음, 목발과 약한 다리를 계단 위로 올린다.
② 내려오기
양쪽 목발을 한 손에 잡고 다른 한 손은 계단 난간을 잡고 먼저 목발을 한 계단 내려놓고 먼저 약한 다리를 내려놓고 다음으로 건강한 다리를 내려 상체를 내려온다.
3) 지팡이
지팡이는 둔부나 무릎의 체중 부하를 줄이기 위해 사용되며 체중의 20~25% 정도 지지된다. 지팡이는 지지폭을 더 넓게 해 주며 균형을 잡도록 돕는다.
4) 보행기
보행기는 다리가 4개 있으며 환자 이동기구로는 안정성이 가장 높고 상지 체중의 전부를 지지할 수 있는 가장 지지력이 좋은 보행기구이다. 걸음을 불안하게 걷는 환자에게 안정감과 지지감을 주므로 부분적인 체중부하가 필요할 때 사용한다.
Ⅸ. 기능적 재활방법
1. 물리치료
1) 열요법
열의 생리적 효과는 혈액순환 촉진과 진통이다. 열을 피부에 적용하면 한선이 자극되어 피부가 축축해 지고 혈액 내 식균 작용이 증가되며 진통의 효과도 있다. 열을 적용하는 부위의 발적, 조직손상, 불편감 등을 자주 관찰한다. 건열과 습열을 이용한 여러 형태의 열요법이 사용되나 습열이 건열보다 침투력이 좋다.
2) 냉요법
혈관수축과 대사활동의 감소로 혈류량을 더 감소시켜 출혈과 부종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어 통증이 경감되는 것이다. 특히 근육경련으로 인한 통증이 있을 때 근육에 전달되는 신경말단부의 활동을 저하시킴으로써 근육경련을 감소시킨다.
3) 수요법
따듯한 물에 환부나 또는 전신을 침수하는 것이며 열치료 중에 가볍게 치료적 운동도 할 수 있다. 물의 온도는 목적에 따라 냉수, 온수, 미지근한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찬물(15℃)과 더운물(43℃)을 대조로 적용하는 교대욕은 적극적으로 사지혈관의 수축과 이완을 유도하여 혈류를 증가키시며 진통효과가 있다.
4) 광선치료
광선 치료는 광선을 이용하여 질환을 치료하는 것으로 일명 빛 치료라고도 한다. 자외선 치료, 적외선 치료, 레이저 치료가 있다.
5) 전기 치료
(1) 전기 자극 치료
자극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정상근이나 변성근, 즉 마비된 근육이나 말초신경 손상부위에 전기 자극을 주는 치료이다.
(2) 기능적 전기 자극
신경통제가 박탈된 평활근과 횡문근을 자극하여 기능적으로 유용한 움직임을 일으키도록 근육을 수축시키는 것이다.
(3) 경피신경 자극
동통완화를 목적으로 적용되는 저주파 전기치료의 하나이다. 피부손상이 없으며 비교적 심부조직까지 침투가 가능하다.
6) 치료적 운동
(1) 근육운동의 종류
① 등척성 운동
근수축시 근섬유의 길이는 그대로 있고 장력만 변화하는 것으로 관절의 움직임은 볼 수 없으나 근수축이 일어나며 체위를 유지하는데 관련 있다. 대퇴사두박근의 등척성 운동은 걷기 위한 준비로 필요하다.
② 등장성 운동
근장력은 그대로 유지되며 근섬유의 길이가 변동되면서 수축이 일어나는 것을 말하며 가장 흔히 사용되는 형태가 관절범위 운동이다.
③ 등속성 운동
운동 속도가 미리 정해져 있는 운동기계에서 실시하는 저항운동의 일종이다. 운동 실시 전에 원하는 운동속도를 선택하여 고정시키고 최대의 힘으로 관절운동 하도록 한다.
(2) 관절 운동의 종류
① 능동적 운동
환자가 도움없이 자신의 힘으로 운동하는 것으로 주로 근력, 근지구력을 증대시킬 때 실시한다.
② 능동적 보조운동
근력의 약화로 스스로 움직일 수 없는 경우 치료사의 도움이나 기구를 이용하여 약화된 부분에 등장성 운동을 실시하는 것으로 근력의 증가를 얻을 수 있다.
③ 저항운동
저항을 주면서 운동을 실시하는 것으로 근력 강화를 얻는데 가장 효과적인 운동이다. 근력 증대는 최대의 저항 하에 운동을 실시할 때 효과적이다.
④ 수동적 운동
환자 스스로 근수축, 이완, 관절가동이 일어나지 않을 때 치료사나 간호사 또는 기계적인 힘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운동이다.
⑤ 기능 운동
척수 손상이나 절단 등 장애를 가진 환자에 대한 기능훈련을 목적으로 하는 운동으로서 주로 일상생활동작의 활동성을 목표로 하며 침상 및 매트운동, 의자차운동, 평행봉 운동, 목발운동 등이 있다.
(3) 운동원칙
운동하는 동안 항상 좋은 체위를 유지하도록 하고 특수한 처방이 없으면 적어도 하루에 한번 3회 정도 모든 관절을 운동시켜야 한다. 운동범위가 초과되지 않도록 하며 환자가 아프다고 하는 시점에서 운동을 멈춘다.
2. 보철기와 보조기 사용
신체의 상실된 부분을 인공적으로 대치하는 것이며 보조기는 신체를 지지하고 바로 잡으며 기형을 예방하고 교정하며 신체기능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보조기는 신체 부분에 통증, 마비, 허약함 등이 있을 때 사용한다. 보조기를 사용할 때 너무 단단하게 착용되지 않았는가, 보조기 작용 부위에 피부손상은 없는가, 욕창이 발생하는가 등을 관찰한다. 보조기를 걸어 놓으면 보조기 위치가 변형되므로 걸어 두지 않는다.
② 2점 보행
4점 보행보다 좀 더 빠른 방법이다. 좌측 목발과 우측 목발이 동시에 나가고 그 다음에는 우측 목발과 좌측 발이 동시에 나가서 딛게 되는 보행으로 항상 2점이 땅이 지지된다.
③ 삼각보행
하지마비 환자에게 적용되는 보행으로 몸의 중심점을 전방으로 옮겨 목발을 이용해 보행하는 방법이다. 좌측 목발이 먼저 나가고 그 다음 우측 목발이 나간 후 몸을 앞으로 끌어당기는 방법으로 훈련시키며, 나중에는 양측 목발, 몸을 앞으로 끌어당기는 순서로 보행한다.
(3) 부분 체중지지 보행
① 3점 보행
한쪽 하지가 약해서 체중부하를 할 수 없고 다른 한 쪽 하지는 튼튼하여 전체 체중유지가 가능할 때 사용한다. 좌측 목발, 우측 목발, 환측 발, 건측 발의 순이며 점차적으로 좌측 목발과 우측 목발을 동시에 내고 환측 발, 건측 발의 순으로 훈련시킨다.
(4) 체중지지 없는 보행
① 뛰기보행
양측 목발이 앞에 오고 몸을 들어서 앞으로 나가게 하는데 이때 몸이 목발의 선을 넘지 못하고 양발을 띄어 놓는 보행이다.
② 건너뛰기 보행
빠른 목발 보행으로 장애물을 뛰어 넘기 위해 양발을 동시에 들어 올려 뛰는 보행이다.
(5) 계단 오르내리기
① 오르기
양쪽 목발을 한 손으로 잡고 다른 한 손은 계단 난간을 잡고 먼저 건강한 다리를 올린 다음, 목발과 약한 다리를 계단 위로 올린다.
② 내려오기
양쪽 목발을 한 손에 잡고 다른 한 손은 계단 난간을 잡고 먼저 목발을 한 계단 내려놓고 먼저 약한 다리를 내려놓고 다음으로 건강한 다리를 내려 상체를 내려온다.
3) 지팡이
지팡이는 둔부나 무릎의 체중 부하를 줄이기 위해 사용되며 체중의 20~25% 정도 지지된다. 지팡이는 지지폭을 더 넓게 해 주며 균형을 잡도록 돕는다.
4) 보행기
보행기는 다리가 4개 있으며 환자 이동기구로는 안정성이 가장 높고 상지 체중의 전부를 지지할 수 있는 가장 지지력이 좋은 보행기구이다. 걸음을 불안하게 걷는 환자에게 안정감과 지지감을 주므로 부분적인 체중부하가 필요할 때 사용한다.
Ⅸ. 기능적 재활방법
1. 물리치료
1) 열요법
열의 생리적 효과는 혈액순환 촉진과 진통이다. 열을 피부에 적용하면 한선이 자극되어 피부가 축축해 지고 혈액 내 식균 작용이 증가되며 진통의 효과도 있다. 열을 적용하는 부위의 발적, 조직손상, 불편감 등을 자주 관찰한다. 건열과 습열을 이용한 여러 형태의 열요법이 사용되나 습열이 건열보다 침투력이 좋다.
2) 냉요법
혈관수축과 대사활동의 감소로 혈류량을 더 감소시켜 출혈과 부종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어 통증이 경감되는 것이다. 특히 근육경련으로 인한 통증이 있을 때 근육에 전달되는 신경말단부의 활동을 저하시킴으로써 근육경련을 감소시킨다.
3) 수요법
따듯한 물에 환부나 또는 전신을 침수하는 것이며 열치료 중에 가볍게 치료적 운동도 할 수 있다. 물의 온도는 목적에 따라 냉수, 온수, 미지근한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찬물(15℃)과 더운물(43℃)을 대조로 적용하는 교대욕은 적극적으로 사지혈관의 수축과 이완을 유도하여 혈류를 증가키시며 진통효과가 있다.
4) 광선치료
광선 치료는 광선을 이용하여 질환을 치료하는 것으로 일명 빛 치료라고도 한다. 자외선 치료, 적외선 치료, 레이저 치료가 있다.
5) 전기 치료
(1) 전기 자극 치료
자극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정상근이나 변성근, 즉 마비된 근육이나 말초신경 손상부위에 전기 자극을 주는 치료이다.
(2) 기능적 전기 자극
신경통제가 박탈된 평활근과 횡문근을 자극하여 기능적으로 유용한 움직임을 일으키도록 근육을 수축시키는 것이다.
(3) 경피신경 자극
동통완화를 목적으로 적용되는 저주파 전기치료의 하나이다. 피부손상이 없으며 비교적 심부조직까지 침투가 가능하다.
6) 치료적 운동
(1) 근육운동의 종류
① 등척성 운동
근수축시 근섬유의 길이는 그대로 있고 장력만 변화하는 것으로 관절의 움직임은 볼 수 없으나 근수축이 일어나며 체위를 유지하는데 관련 있다. 대퇴사두박근의 등척성 운동은 걷기 위한 준비로 필요하다.
② 등장성 운동
근장력은 그대로 유지되며 근섬유의 길이가 변동되면서 수축이 일어나는 것을 말하며 가장 흔히 사용되는 형태가 관절범위 운동이다.
③ 등속성 운동
운동 속도가 미리 정해져 있는 운동기계에서 실시하는 저항운동의 일종이다. 운동 실시 전에 원하는 운동속도를 선택하여 고정시키고 최대의 힘으로 관절운동 하도록 한다.
(2) 관절 운동의 종류
① 능동적 운동
환자가 도움없이 자신의 힘으로 운동하는 것으로 주로 근력, 근지구력을 증대시킬 때 실시한다.
② 능동적 보조운동
근력의 약화로 스스로 움직일 수 없는 경우 치료사의 도움이나 기구를 이용하여 약화된 부분에 등장성 운동을 실시하는 것으로 근력의 증가를 얻을 수 있다.
③ 저항운동
저항을 주면서 운동을 실시하는 것으로 근력 강화를 얻는데 가장 효과적인 운동이다. 근력 증대는 최대의 저항 하에 운동을 실시할 때 효과적이다.
④ 수동적 운동
환자 스스로 근수축, 이완, 관절가동이 일어나지 않을 때 치료사나 간호사 또는 기계적인 힘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운동이다.
⑤ 기능 운동
척수 손상이나 절단 등 장애를 가진 환자에 대한 기능훈련을 목적으로 하는 운동으로서 주로 일상생활동작의 활동성을 목표로 하며 침상 및 매트운동, 의자차운동, 평행봉 운동, 목발운동 등이 있다.
(3) 운동원칙
운동하는 동안 항상 좋은 체위를 유지하도록 하고 특수한 처방이 없으면 적어도 하루에 한번 3회 정도 모든 관절을 운동시켜야 한다. 운동범위가 초과되지 않도록 하며 환자가 아프다고 하는 시점에서 운동을 멈춘다.
2. 보철기와 보조기 사용
신체의 상실된 부분을 인공적으로 대치하는 것이며 보조기는 신체를 지지하고 바로 잡으며 기형을 예방하고 교정하며 신체기능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보조기는 신체 부분에 통증, 마비, 허약함 등이 있을 때 사용한다. 보조기를 사용할 때 너무 단단하게 착용되지 않았는가, 보조기 작용 부위에 피부손상은 없는가, 욕창이 발생하는가 등을 관찰한다. 보조기를 걸어 놓으면 보조기 위치가 변형되므로 걸어 두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