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극복하려는 의도를 짐작케 한다. 이는 당시 현실에 대한 희망과 기대가 좌절된 상황에서 희생에 이를 수 있는 새로운 사실의 발견으로 상당한 가치를 지닌다. 이러한 그의 자세는 그의 뇌리에 내재된 주체 의식이 겉으로 발로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4.실천적 효용성의 문학
이규보는 무신의 난 이후에 등장한 신흥사대부이다. 신흥사대부는 기존의 지배층과 달리 현실 자체를 대상으로 하는 실천적 활동을 긍정하고 실무에 밝았기 때문에 물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물에서 존재하는 도를 실현하는 활동이 매우 가치 있는 일이라고 여겼다.
당시의 사대부는 백성을 교화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그들이 배운 바를 세계에 펼쳐 나라를 빛내겠다는 이른 바 이문화국(以文華國)의 정신을 머리 속에 두고 있었다. 당시 사대부들은 문학이 유희적인 관념적인 것이 아니며, 표현보다는 내용을 중시하는 실천적인 문학을 시도했던 것이다.
또한 당시의 구귀족이 관념적 세계 인식을 통해 가지고 있던 낡은 사고의 구질서에 대응하여 새로운 시대와 역사를 개척하기 위하여 노력한 그였기에 문학을 통하여 현실을 비판하고 참여하려는 의지가 작품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아래 작품에서 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세월이 황폐하여 거의 죽게 된 백성
오직 남은 건 앙상한 뼈와 가죽뿐이네
몸 속에 남은 살이 얼마나 되면
남김없이 죄다 긁어 가려는가
그대는 보았는가, 강물을 마시는 두더지도
그 배를 채우는 데 지나지 않거니
묻거니, 그대는 몇 개의 입을 가졌으면
백성들의 살을 겁탈해 먹는가
이러한 그의 정신은 시문을 인습적, 관념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대상의 본질을 꿰뚫어 보고자 하는 현실주의적 세계관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의 많은 작품이 이러한 문제를 다루고 있는 것은 바로 그가 현실 비판 내지는 올바른 현실 인식을 위한 도구로서 문학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이규보의 문학 사상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그는 관직에 대한 갈망을 강하게 드러냈으며 문학을 사회 진출을 위한 수단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시 창작에 있어서 의와 기를 중심으로 한 신의론을 중시하는 독창적인 문학성을 표방하였다.
셋째, 중국 문학에 치우친 당시의 양반 문학에 대하여 우리의 구비문학을 중시하는 민족적 주체성을 보이고 있다. 넷째, 문학을 현실에 대한 인식과 비판 정신을 수용하여 당시 사대부의 이상이었던 이문화국을 바탕으로 한 문학의 실천적 효용성을 강조하였다.
4.실천적 효용성의 문학
이규보는 무신의 난 이후에 등장한 신흥사대부이다. 신흥사대부는 기존의 지배층과 달리 현실 자체를 대상으로 하는 실천적 활동을 긍정하고 실무에 밝았기 때문에 물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물에서 존재하는 도를 실현하는 활동이 매우 가치 있는 일이라고 여겼다.
당시의 사대부는 백성을 교화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그들이 배운 바를 세계에 펼쳐 나라를 빛내겠다는 이른 바 이문화국(以文華國)의 정신을 머리 속에 두고 있었다. 당시 사대부들은 문학이 유희적인 관념적인 것이 아니며, 표현보다는 내용을 중시하는 실천적인 문학을 시도했던 것이다.
또한 당시의 구귀족이 관념적 세계 인식을 통해 가지고 있던 낡은 사고의 구질서에 대응하여 새로운 시대와 역사를 개척하기 위하여 노력한 그였기에 문학을 통하여 현실을 비판하고 참여하려는 의지가 작품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아래 작품에서 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세월이 황폐하여 거의 죽게 된 백성
오직 남은 건 앙상한 뼈와 가죽뿐이네
몸 속에 남은 살이 얼마나 되면
남김없이 죄다 긁어 가려는가
그대는 보았는가, 강물을 마시는 두더지도
그 배를 채우는 데 지나지 않거니
묻거니, 그대는 몇 개의 입을 가졌으면
백성들의 살을 겁탈해 먹는가
이러한 그의 정신은 시문을 인습적, 관념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대상의 본질을 꿰뚫어 보고자 하는 현실주의적 세계관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의 많은 작품이 이러한 문제를 다루고 있는 것은 바로 그가 현실 비판 내지는 올바른 현실 인식을 위한 도구로서 문학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이규보의 문학 사상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그는 관직에 대한 갈망을 강하게 드러냈으며 문학을 사회 진출을 위한 수단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시 창작에 있어서 의와 기를 중심으로 한 신의론을 중시하는 독창적인 문학성을 표방하였다.
셋째, 중국 문학에 치우친 당시의 양반 문학에 대하여 우리의 구비문학을 중시하는 민족적 주체성을 보이고 있다. 넷째, 문학을 현실에 대한 인식과 비판 정신을 수용하여 당시 사대부의 이상이었던 이문화국을 바탕으로 한 문학의 실천적 효용성을 강조하였다.
추천자료
신소설에 타나난 이인직의 개화사상과 그 한계
루소(J. J. Rousseau)의 교육사상
고운 최치원의 작품에 나타난 특징과 사상 분석
[사실주의문학][리얼리즘문학][사실주의][리얼리즘][문학]한국 사실주의(리얼리즘) 문학(사실...
송강 정철의 생애와 사상
에드먼드 버크(E.Burke)의 정치사상
[문학][문학 예술성][문학과 음악][문학과 신앙][문학과 비유][문학과 연행문학][문학과 선우...
한국 중세문학 고려시대문학 시가, 한국 중세문학 고려시대문학 고려가요, 한국 중세문학 고...
한국문학(한국문학사) 1910년대와 1920년대 문학, 한국문학(한국문학사) 1930년대와 1940년대...
한국 중세문학 조선전기문학, 한국 중세문학 조선후기문학, 한국 중세문학 조선시대문학 야담...
가전체(가전체문학)의 개념, 가전체(가전체문학)의 성격, 가전체(가전체문학)의 주요작품, 가...
허균 소설 홍길동전의 줄거리, 허균 소설 홍길동전의 작가, 허균 소설 홍길동전의 주인공, 허...
김동리(金東里) 소설에 나타난 죽음을 통해 알아본 해탈의식(등신불을 중심으로) - 김동신의...
심청전(沈淸傳) 연구 - 심청전의 줄거리와 불교 사상, 심청전에서 제기되는 인생의 문제 및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