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Idiopathic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Idiopathic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1.역학
1)발생빈도
2)발생위험인자
2. 발병기전
3.임상 증상
1)호흡부전의 정의
2)RDS의 임상증상
3)임상경과
4.진단
1)출생전후 폐성숙도의 진단
2)RDS의 진단
5.치료
6.합병증
1)초기합병증
2)후기합병증

신생아의 일과성 빈호흡

유리질막증과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감별

본문내용

5. 치료및 예후
nasal cannula 를 통한 보조적인 산소공급만으로도 충분
유리질막증과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감별
RDS
TTN
개념
-미숙아의 폐 발달 미숙으로 인한 surfactant 부족에 이한 호흡 곤란
-만삭아의 출생 초기 일과성 빈호흡/경한 호흡곤란
-폐액 제거/ 흡수 늦어져 발생
C/S에 흔함
증상
-RR>80
-심한 함몰 호흡
-nasal flaring,지속적 무호흡
-chemical pH< 7.25 PaO2<50 PaCO2>60
-출생시부터 빈호흡, 흉부함몰
-시간 경과에 따른 증상진행 없다
-호흡성 산증 :8~24시간 이내 호전(수일내 호전)
진단
-hest X-ray
과립상 음영
air-bronchogram
-L/S ratio<2, foam stability test
-임상적으로는 미숙아/ 생후 6~8시간내 호흡곤란, 1~2일 내 악화 /2~3일간산소의존도 증가
-방사선 소견:un-burst pattern
예방/치료
- 예방: 산전 산모의 corticosteroid 접종
-체온유지/수액공급, 필요시 제대혈관 도관술
-PaO2 55~70으로 유지, 증상에 따라 CPAP
-surfactant투여
-nasal cannula 로 충분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02.12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67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