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춘곡 소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춘곡 소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상춘곡」에 나타난 江湖閑情
1. 江湖歌辭 개관
2.「상춘곡」에 나타난 강호가사의 특질

Ⅲ「상춘곡」에 나타난 생태적 사유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 인생을 즐기는 것을 노래한 가사로, 고향 태인의 산수의 경치가 배어난 곳에 몇 칸 띠집을 지어 자연을 벗하며 정자를 거닐면서 시를 읊조리고 냇가에서 목욕도 하고 조석으로 낚시질도 하고 꽃나무로 수를 셈하여 술을 마시고 춘흥을 겨워하는 작자의 강호한정의 심경이 잘 묘사되어 있다.
2.「賞春曲」에 나타난 강호가사의 특질 이 論議는 정재호의 「 江湖歌辭小考」의 분류 참조
강호가사의 특질을 세분하여 검토해 보면, 우선 작자의 문제를 들 수 있다. 강호에 병이 깊은 선비로서 강호에 묻혀 사는 것이 仁과 智 의 德을 기를 수 있기 때문이며, 이렇게 인격의 수양으로 세상이 도가 있으면 다시 출세하는 것이 그들의 듯이며 본질적인 현실 부정을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승려들이 불교적 은둔을 노래한 가사나 막연히 산이나 강에서 생활을 노래한「농부가」, 「어부가」류와 다른 것이다.
둘째, 자연관의 문제이다. 강호가사에 나타나는 자연의 아름다움은 자신의 은둔 생활을 합리화하려는 의미가 있지 강호 자체의 아름다움을 그리는 것이 전부는 아니다.
셋째, 강호가사는 醉樂을 전적으로 노래한 가사는 아니다. 그들이 술을 마시는 것은 자신들의 무료한 상황을 즐기고 나아가 세상 근심을 잊기 위하여 마시는 것이지 사랑이나 유흥을 위하여 마시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술을 마시고 사랑을 찾아 헤매는 작품들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넷째, 유배가사와의 차이점을 들 수 있다. 유배 생활은 자유의 몸으로 마음대로 집을 짓고 정자를 지어 逍遙吟詠하고 夕釣(밤낚시)를 즐기은 생활이 아니라 제약된 생활이기 때문에 강호가사와는 구별된다.
다섯째, 강호가사의 구성면의 특질이다. 이른바 ‘歌素’의 배열방식이 그 유형적 특질을 좌우한다. 序詞 展開(또는 本詞) 結詞로 나뉘어지는데, 서사에서는 그들이 강호에 머무르게 된 취지를 노래하고, 전개는 일(一), 이(二)로 나눌 수 있다. 일(一)에서는 그들의 생활환경을, 이(二)에서는 생활을 노래하였고 대체로 아름다운 강산에서 초가삼간에 정자를 곁들어 지어 놓고 소요음영과 석조 및 취흥으로 즐김을 노래하였다. 결사에서는 강호에 묻혀 안빈낙도를 즐기겠다는 것과 성은(聖恩)에 감사하는 것의 두 가지 형식이 이사고 볼 수 있다. 이를 「상춘곡」에서 확인해 보면, 우선 서사(序詞)는 산림에 묻히는 이유가 드러난다. 「상춘곡」의 경우는 산림에 묻혀 사는 것이 좋아서 그렇게 산다는 것이다.
紅塵에 뭇친 분네 이 내 生涯 엇더고.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2.15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69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