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심리학적 이해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의 심리학적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 장 심리학적 사고의 변천 Ⅰ:
의식 경험의 탐구와 정신역동적 견해들
제 1 절 심리학의 탄생과 의식의 탐구
1. 현대 과학의 탄생
2. 심리학 탄생에 미친 두 영향: 철학과 생리학
3. 구조주의심리학: 심리학의 독립
4. Gestalt 심리학
제 2 절 정신역동적 관점의 심리학
1. 정신분석학
2. 자아심리학
3. 인본주의 심리학

제 2 장 심리학적 사고의 변천 Ⅱ:
행동주의와 인지 심리학
제 1 절 행동주의
1. 행동주의 개관
2. 행동주의의 붕괴
제 2 절 인지심리학 약사
1. New Look: 인지혁명의 시작
2. 다른 연구들이 미친 영향
3. 인지심리학: 정보처리적 설명
4. 인지과학의 최근흐름 : 연결주의

제 3 장 인지혁명에 의한 교육개혁
제 1 절 진보주의교육에 대한 비판과 Bruner의 교육관
1. Dewey의 진보주의 교육
2. Dewey에 대한 Bruner의 비판
3. Bruner가 본 교육 : 제 1차 교육혁명

제 4 장 인간본성의 이해: 발달적 관점
제 1 절 인간발달에 관한 일반적 개관
1. 발달심리학의 탈바꿈
2. 진화와 발달
3. 유전적 영향
제 2 절 지적발달에 영향을 주는 기본적인 사실들
1. 지적발달에 관한 일반적 지식
2. 초기경험
3. 사회적 행동의 발달

제 5 장 인간의 정보처리
제 1 절 정보처리의 일반적 개념
1. 렌즈모델
▷ 지각에 관한 Brunswik의 렌즈모델
2. 감각정보의 성질
▷ 중다저장이론(multistore model)
3. 형태재인과 정보처리
▷ 특징분석이론
제 2 절 처리수준이론과 병렬분산처리
1. 중다저장이론의 문제점과 처리수준이론
2. 병렬분산처리(Parallel Distributed Processing) or 연결주의(connectionisim)

제 6 장 장기기억과 지식
제 1 절 장기기억에 관한 일반적 지식
1. 지식의 분류
2. 공간적 지식과 심상
3. 지식의 역할과 영향
4. 지식의 획득
제 2 절 의미적 지식과 표상
1. 개념 - 지식의 토대
2. 의미적 지식의 표상

제 7 장 지능
제 1 절 정신능력으로 본 지난날의 지능이론들
제 2 절 인지활동으로 보는 견해들
1. 지능이론의 은유들
A. 지리학적 은유
B. 계산적 은유
C. 생물학적 은유
D. 인식론적 은유
E. 인류학적 은유
F. 사회생물학적 은유
G. 시스템 은유
2. Sternberg의 삼두이론과 Gardner의 복합지능이론
A. Sternberg의 삼두이론(triarchic theory)
B. Gardner의 복합지능이론

제 8 장 사고
제 1 절 사고와 관한 초기 연구들
1. 사고연구의 개관: 1960년까지의 탐구
A. 개념학습에 관련된 연구들
B. 문제해결이 중심이 된 연구들
C. 추리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연구
2. 사고과정에 관한 세부적 분석연구
3. 창조성에 관한 회고적 분석
A. 퍼스내리티 특성에 관한 분석
B. 지적자극이 주어진 성장배경에 관한 분석
제 2 절 새로운 사고연구: 정보처리적 분석
1. 전문가 연구
A. 의학에서의 전문가와 초심자
2. 창조적 사고 구성요인과 직관
A. 창조적 사고를 구성해 주는 요인들(Sternberg)
B. 직관에 관한 지식

제 9 장 동기

본문내용

년 법칙(10 year rule) - 매일 3-4시간 정도 전념
전문성 발달의 4단계
① 단계 1 : 어릴 때 눌이로 배움
② 단계 2 : 교사에게 lesson, 체계적인 연습
③ 단계 3 : 장시간의 연습
④ 단계 4 : 자기만의 이론, 업적
제 9 장 동기와 정서
제 1 절 동기이론의 변천과 귀인이론
1. 동기를 설명하는 생각의 변천
- 동기 : 인간 행동의 방향과 강도를 조정
① 물활론적인(animism or hylozoism) 생각 - 미신적 사고
② 본능(instinct)설 - 인간이나 동물의 행위는 기본적으로 본능에 의해서 일어난다
③ 정신분석학에서의 생각 - 인간의 행위를 일으키는 동기의 원천을 id or libido에 있다고 하는 생각. id가 쾌락의 원리에 의해 지배되는 한편 libido(성적 id)는 id의 한 부분으로서 인간 행위가 기본적으로는 인간의 쾌락적이며 성적인 충동에 의해 일어난다는 것
④ 행동주의의 욕구이론 - 행동주의가 가정한 동기이론
행동이 생리적인 욕구에 의해 지배된다고 가정 → 곧 본능을 욕구로 대치한 것
2. 귀인이론(attribution theory)
- 인간의 행위는 마음먹기에 달렸다, 즉 지식이 마음을 형성한다는 인지심리학적 관점에서 귀인이론도 인간의 동기를 인지구조에 두고 탐구
- 기본 가정 : 인간의 행위는 자신이 자각하는 행위의 원천이 원인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행위를 어떻게 지각하느냐 즉, 귀인 시키느냐에 관한 것
- 행위 → 결과 → 해석(원인분석) → 내적 or 외적
▷ 인과의 소재
인과의 소재(귀인)
내적
노력(effort) : 성공 시 성취감 or 실패 시 죄책감
능력(ability) : 자기 존중감 상승 or 굴욕감(self에 관련)
외적
과제곤난도(task difficulty)
운(luck)
⇒ 보통 성공한 경우 내적으로 실패한 경우 외적으로 귀인 시킴
▷ Weiner의 3차원이론
① 인과소재의 차원
② 인과의 안정성(stability of causes)
③ 통제가능성(controllability)
인과의 소재
안정성 차원
통제가능성
능력
내적
불변
통제불가
노력

변화
통제가능
과제곤난도
외적
불변
통제불가


변화
통제″
▷ 자기효능감 이론(self-efficacy)
- 자기에게 부딪힌 일을 자신이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자기지각을 형성하는데 초점을 둠.
- 자꾸 실패하면 자기효능감이 떨어지고 무력감(helplessness)을 느낌
→ 학습된 무력감(Learned helplessness)
- 지식(교직이론)과 열정으로 교사 효능감이 높아짐
제 2 절 정서와 시험불안
1. 시험불안
▷ 시험불안의 의미 - 일반적인 불안의 특수사례이다. 앞으로 나타날 수 있는 실패에 관련해서 나타나는 현상적, 생리학적(땀), 또한 행동적인(덜덜 떰) 반응이다.
▷ 상태불안과 빔성불안
상태불안(state anxiety) - 순간적으로 느끼는 불안감
특성불안(trait anxiety) - 고착된 불안. 특성불안이 있는 사람은 상태불안도 나타남
검사자극 → 검사자극의 해석 → A-상태반응 → 인지적 재평가 → 대응, 회피, 방어
시험지 → 큰일 남 → anxiety → 어떻게 할까? → 컨닝 or 나가버림
▷ 불안의 경험의 2가지 주요요소
(1) 걱정(worry) - 자신에 대한 부정적 기대와 인지적 관심, 직면된 상황 or 앞으로 닥쳐 올 결과 등과 같은 불안경험의 인지적 요인을 의미. working memory를 걱정으로 채움.
(2) 정서성(emotionality) - 불안경험에서 일어나는 생리적-정의적 요인에 대한 자기지각. 즉 신경과민이나 긴장, 불유쾌한 감정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
2. 시험불안과 학업성취
▷ 정보처리적 분석의 시작
- 시험불안의 과정을 정보처리적으로 이해.
정보처리의 각 단계와 불안의 관계
① 처리전(preprocessing) 단계의 불안과 주의분산
- 정보가 부호화되는 정도를 방해해서 학습을 어렵게 만듬
- 불안이 높은 학생들은 과제가 요구하는 것과 선입관(신체적 걱정, 부정적 자기참조)에 이들의 주의를 양분
② 처리(processing) 단계 : 인지적 조작이 미치는 영향
- 불안이 부호화 처리를 수행한 인지조작(cognitive operations)에 영향을 줌으로서 직접적으로 학습에 피해를 주게 됨
-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형태의 조작 : 곤난도(difficulty), 기억에의 의존(reliance), 과제의 조직화(organization)
③ 처리후(postprocessing) 단계
▷ 시험불안에 관한 종합적 설명
- 시험불안이 높은 학생들의 문제는 인출뿐만 아니라 투입(정보의 학습)에 문제가 있다. 투입부터 인출까지 일련의 원인적 순서가 나타남.
시험불안이 성적을 떨어뜨리는 이유
학업성적에 대한 불안 → 정서보다도 걱정을 더 야기 → 걱정으로 인한 작업기억의 한계 → 손쉬운 정보처리인 반복적 읽기, 암기 등 효과적이지 못한 학습습관이나 전략을 사용하여 정보 투입 → 투입 후도 비효과적 정보처리 → 체계적이고 조직화된 정교한 지식구조가 형성되지 못함 → 이 상태에서 시험 → 불안과 시험실패에 대한 걱정이 점증됨 → 작업기억의 과부하 → 시험을 제대로 볼 수 없음 → 성적 저조
▷ 교사효능감 - 교사가 가르치기 매우 어렵거나 또는 학업에 거의 동기화되지 않은 학생일지라도 도와 줄 수 있다는 신념. 자질 있는 교사가 효능감이 높다
교사의 자질에 관련된 교사의 변인
(1) 지적 자극을 준다(stimulation) (2) 열중(enthusiasm)
(3) 교과지식 (4) 준비 - 수업 준비 철저
(5) 교과의 조직 - 지식의 구조화 (6) 명료화(clarity)
▷ 학습목표의 기대역할 강조
- 선택적 주의가설(selective attention hypothesis) : 선택적 주의를 할 수 있다.
▷ 선행조직체(Advanced organizer) - 교과처리에 상당한 정도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전지식을 통해 기대감을 가지고 선택적 주의를 할 수 있다.
▷ 필기 - 외적저장으로서의 필기
- 지식의 정교화, 구조화에 도움을 줌.
- 지식수준이 서로 다르므로 필기 수준도 다르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6.04.22
  • 저작시기200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55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