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미인곡과 속미인곡 작품 분석과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미인곡과 속미인곡 작품 분석과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사미인곡과 속미인곡 작품 분석

Ⅱ. 조선 후기 가사의 변모 양상

본문내용

의 의미 결정에 독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 왔다. 이는 가사가 청중을 상대로 낭송되며 작품의 완성에 청중의 호응이 크게 반영되는 연행적 특성을 지닌 데에서 온 것이라 생각된다. 대화체 서술은 둘 이상의 인물을 내세워 그들의 의견을 독자들에게 제시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그 중 어느 하나에 동조하도록 하는 판단의 여지를 주고 있다. 그러나 대화를 나누는 인물에 주.종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독자를 은연중에 주인물의 생각에 동조하도록 유도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가사가 작자의 주장을 독자에게 알리는 문학이
라는 점에서 보다 고도화된 설득의 방법이라 볼 수 있겠다.
1) 뎨 가는 뎌 각시 본듯도 한뎌이고
2) 天上 白玉京을 엇디하야 離別하고
3) 해 다 뎌 져므 날의 눌을 보라 가시난고
4) 어와 네여이고 이내 사설 드러보오
5) 내 얼굴 이 거동이 님 괴얌즉 하냐마난
6) 엇딘디 날 보시고 네로다 녀기실새
7) 나도 님을 미더 군뜨디 전혀 업서
8) 이래야 교태야 어자러이 구돗떤디
9) 반기시난 낫비치 녜와 엇디 다라신고
10) 누어 생각하고 니러 안자 혜어하니
11) 내 몸의 지은 죄 뫼가티 싸혀시니
12) 하날히라 원망하며 사람이라 허믈하랴
13) 설워 플텨혜니 造物의 타시로다
14) 글란 생각마오 매친 일이 이셔이다
15) 님을 뫼셔이셔 님의일을 내 알거니
16)믈가탄 얼굴이 편하실적 몃날일고
17) 春寒苦熱은 엇디하야 디내시며
18) 秋日冬天은 뉘라셔 뫼셧난고
19) 粥早飯 朝夕뫼 녜와갓티 셰시난가
20) 기나긴 밤의 잠은 엇디 자시난고
21) 님다히 消息을 아므려나 아쟈 하니
22) 오날도 거의로다 내일이나 사람 올가
23) 내 마음 둘 대 업다 어드러도 가잣말고
24) 잡거니 밀거니 놉픈 뫼해 올라가니
25) 구롬은 카니와 안개난 무사 일고
26) 山川이 어둡거니 日月을 엇디 보며
27) 咫尺을 모라거든 千里를 바라보랴
28) 찰하리 믈가의 가 뱃길히나 보쟈 하니
29) 바람이야 믈결이야 어둥져 된뎌이고
30) 샤공은 어대 가고 뷘 배만 걸렷나니
31) 江天의 혼자 셔셔 디난 해랄 구버보니
32) 님다히 消息이 더욱 아득한뎌이고
33) 茅 찬 자리의 밤듕만 도라오니
34) 半璧靑燈은 눌 위하야 발갓난고
35) 오라며 나리며 헤뜨며 바자니니
36) 져근덧 力盡하야 픗잠을 잠간 드니
37) 情誠이 지극하야 꿈의 님을 보니
38) 玉가탄 얼굴이 半이나마 늘거셰라
39) 마암의 머근 말삼 슬카장
  • 가격무료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9.28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54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