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현프랑스 정치체계의 개관
Ⅱ. 본론
1. 1차적 정치 행위자 : 정당 노조
2. 2차적 정치 행위자 : 하원, 상원, 수상, 대통령
3. 수상과 각 기관과의 연결
Ⅲ.결론
1. 현프랑스 정치체계의 개관
Ⅱ. 본론
1. 1차적 정치 행위자 : 정당 노조
2. 2차적 정치 행위자 : 하원, 상원, 수상, 대통령
3. 수상과 각 기관과의 연결
Ⅲ.결론
본문내용
정치 불안을 겪은 후 등장한 제5공화국의 드골 대통령의 지도하에 강력한 대통령 중심제를 채택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공화국체제이지만 대통령을 중심으로 국력을 결집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하였다. 변화무쌍한 프랑스 정치사는 국민들의 정치적 성향을 잘 나타내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프랑스인들은 어느 나라 국민 못지않게 실존적 자유를 중시한다. 특히 정치 등 외부적 요건이 자신들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을 싫어한다. 이러한 자유를 제약하는 모든 것을 거부하는 국민성향은 왜 프랑스인들이 한때 특정 정치지도자(혹은 정당)에 압도적인 지지를 보내다가 어느새 이들에게서 등을 돌려버리는가를 짐작케 한다. 이를 해학적으로 표현하여 영국인은 법이 규정한 것을 조문 그대로 지키는 반면, 독일인은 법이 규정한 이상으로 더 지키려하고, 프랑스인은 법이 있어도 지키지 않는다.하기도 한다. 프랑스의 정치활동은 직업정치인이 아니라 다른 직업을 가지고 있으면서 불특정 국민이 언제나 진입하여 활동이 가능한 정당, 노동조합 등을 1차적 정치 행위자로 분류하고, 국민의 대리인으로써 정치활동을 하는 대통령, 국회 등의 기관을 2차적 행위자로 분류하여 보겠다.
Ⅱ.본론
1. 1차적 정치 행위자 : 정당, 노조
(1)정당의 종류
1)공화국연합(Rassemblement pour la Republique : 약자 RPR)
공화국연합은 자크 쉬락(Jacques Chirac)에 의해 1976년에 창설되었다. 공화국 연합의 정신은 운명주의(fatalisme)에 반대하면서 강한 의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1947년에 이 정신을 표명하면서 드골장군은 프랑스 국민연합당을 창설하였고 1958년에는 그 명칭이 새공화국연합(UNR)로 바뀐바 있다. 공화국연합당의 정강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Charlot, 1994: 86-87)
첫째, 인간주의이다. 즉, 최대한도로 각 개인의 자유권 및 역량을 발휘하게 한다는 것이다.
둘째, 프랑스 민족주의이다. 프랑스가 유럽 및 세계무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아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국내정치행정에서도 주권의 수호자로서 강력한 국가의 역할을 강조한다.
2)프랑스 민주연합(Union pour la francaise : 약자 UDP)
1978년 총선 직전에 강력한 공화국 연합당에 대항하기 위해 지스까르데스땡(Valery Giscard d\'Estaing)의 주도로 창설된 정당으로, 군소 정당이 협력하는 연합체의 성격을 띠고 있다. 공화당(PR)중도사회민주당(CDS), 급진사회당, 사회민주당, 현실과 전망클럽 등이 참여하고 있으나 연합내에서는 공화당이 지배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3)사회당(Parti socialiste : 약자 PS)
사회당은 쟝 조레스(Jean Jaures)의 프랑스 사회주의 운동에 그 기반을 둔다. 그러나 1920년 공산당과 결별한 후 반혁명적인 사회개량주의적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1971년에는 미테랑이 국제노동자 프랑스 지부를 재조직함으로써, 그리고 1933년에는 로까르(Rocard)가 사회당집권 10여년 후 당 재창조 운동을 일으키며 발전하였다. 사회당은 정강은 다음과 같다.(Charlot, 1994: 94-97)
첫째, 사회 ‘일부’의 발전보다는 ‘전체’의 발전을 위해 투쟁한다는 것이다.
둘째, 성, 민족, 이념 및 종교 등의 이유로 하는 모든 차별을 거부한다.
셋째, 국제문제에 있어서는 유럽공동체 건설에서 회원국에게 자국의 장래를 선택할 권리를 주어야 한다든지, 전반적으로 세력균형을 전제로 한 비무장정책을 옹호한다.
이것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사회정의 및 사회연대감 증진을 목표로 하되 이와 더불어 경제적 효율성의 증진 및 유럽연합의적극적 추진을 주창하고 있다.(Borella, 1990: 173)
4)군소정당
기존 주요정당에 실망한 사람들이 잠시 거쳐 가는 중간매개역할과, 간접적으로나마 정책방향을 바꾸게 하는 일종의 압력단체역할이라는 두 가지 기능을 하는데 영국과 같은 양당제 국가와는 달리 프랑스에는 극좌와 극우 등 다양한 군소정당들이 일정한 정치세력을 확보하여 정당의 몫을 잘 해나간다는 평가를 받는다. 주요 군소정당으로는 ‘민주적 중앙집권의 원칙(centralisme democratique)’에 기초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프랑스 공산당(Parti communiste francais : 약자 PCF), 외국인을 열등한 존재로 보고 프랑스로부터 추방시키고, 조국, 가족 및 조상, 영토를 보존하는 것 등 프랑스인 우월민족주의를 주장하며 1972년에 르
Ⅱ.본론
1. 1차적 정치 행위자 : 정당, 노조
(1)정당의 종류
1)공화국연합(Rassemblement pour la Republique : 약자 RPR)
공화국연합은 자크 쉬락(Jacques Chirac)에 의해 1976년에 창설되었다. 공화국 연합의 정신은 운명주의(fatalisme)에 반대하면서 강한 의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1947년에 이 정신을 표명하면서 드골장군은 프랑스 국민연합당을 창설하였고 1958년에는 그 명칭이 새공화국연합(UNR)로 바뀐바 있다. 공화국연합당의 정강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Charlot, 1994: 86-87)
첫째, 인간주의이다. 즉, 최대한도로 각 개인의 자유권 및 역량을 발휘하게 한다는 것이다.
둘째, 프랑스 민족주의이다. 프랑스가 유럽 및 세계무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아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국내정치행정에서도 주권의 수호자로서 강력한 국가의 역할을 강조한다.
2)프랑스 민주연합(Union pour la francaise : 약자 UDP)
1978년 총선 직전에 강력한 공화국 연합당에 대항하기 위해 지스까르데스땡(Valery Giscard d\'Estaing)의 주도로 창설된 정당으로, 군소 정당이 협력하는 연합체의 성격을 띠고 있다. 공화당(PR)중도사회민주당(CDS), 급진사회당, 사회민주당, 현실과 전망클럽 등이 참여하고 있으나 연합내에서는 공화당이 지배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3)사회당(Parti socialiste : 약자 PS)
사회당은 쟝 조레스(Jean Jaures)의 프랑스 사회주의 운동에 그 기반을 둔다. 그러나 1920년 공산당과 결별한 후 반혁명적인 사회개량주의적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1971년에는 미테랑이 국제노동자 프랑스 지부를 재조직함으로써, 그리고 1933년에는 로까르(Rocard)가 사회당집권 10여년 후 당 재창조 운동을 일으키며 발전하였다. 사회당은 정강은 다음과 같다.(Charlot, 1994: 94-97)
첫째, 사회 ‘일부’의 발전보다는 ‘전체’의 발전을 위해 투쟁한다는 것이다.
둘째, 성, 민족, 이념 및 종교 등의 이유로 하는 모든 차별을 거부한다.
셋째, 국제문제에 있어서는 유럽공동체 건설에서 회원국에게 자국의 장래를 선택할 권리를 주어야 한다든지, 전반적으로 세력균형을 전제로 한 비무장정책을 옹호한다.
이것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사회정의 및 사회연대감 증진을 목표로 하되 이와 더불어 경제적 효율성의 증진 및 유럽연합의적극적 추진을 주창하고 있다.(Borella, 1990: 173)
4)군소정당
기존 주요정당에 실망한 사람들이 잠시 거쳐 가는 중간매개역할과, 간접적으로나마 정책방향을 바꾸게 하는 일종의 압력단체역할이라는 두 가지 기능을 하는데 영국과 같은 양당제 국가와는 달리 프랑스에는 극좌와 극우 등 다양한 군소정당들이 일정한 정치세력을 확보하여 정당의 몫을 잘 해나간다는 평가를 받는다. 주요 군소정당으로는 ‘민주적 중앙집권의 원칙(centralisme democratique)’에 기초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프랑스 공산당(Parti communiste francais : 약자 PCF), 외국인을 열등한 존재로 보고 프랑스로부터 추방시키고, 조국, 가족 및 조상, 영토를 보존하는 것 등 프랑스인 우월민족주의를 주장하며 1972년에 르
추천자료
'북한의 정치 체제'에 관한 보고서
국제정치 체제에서의 환경 질서
김정일체제의 지배이데올로기연구-선군정치를 중심으로-
유신체제의 정치적 성격
스웨덴 정치 체제 소개 및 코포라티즘과 사회협약모델 및 노인복지
통일이후의 정치와 사회체제
정치 체제와 정책환경
러시아 정치 체제
개발도상국의 행정체제 [발전의 이념, 정치]
한기형, 「문화정치기 검열체제와 식민지 미디어」 요약․정리...
미국 정치 체제
[한국현대소설론] 소설사회학적 연구의 실례 - 집단과 개인, 일제강점기 소설 연구방법, 일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