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 유대교의 중요한 교훈과 기준이 되었다.
1.미드라쉬
-미드라쉬는 구약성서 주석서인데 구약성서를 교리적, 설교적으로 설명한 교훈을 담고 있어 성서 본문 비평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2.토세프타
-이느 탄나임학파의 교훈과 전통을 수집하여 기록한 것이다. 이들은 주로 생략된 부분을 보충, 첨가하여 기록햇다.
3.탈무드
-교훈을 뜻하는 말로 유대인의 구전적 율법과 성서를 해석한 문학이다. 이것은 다음의 두 부분으로 구분된다.
A 미쉬나 - 이것은 미드라쉬의 주석서라 할수 있는데, 모든 구전적 율법을 요약하여 기록하고 전통과 성서 본문에 대한 설명으로 기록되었따. 이 설명과 교훈은 이스라엘인, 특히 유대교의 생활에 종교적 기준,풍슴, 생활방법을 제공하였다.
B 게마라 - 완정, 보충을 뜻하는 말로 미쉬나의 주석서라고 볼 수 있는 미쉬나를 더욱 자세히 설명해 주는 것이다.
4.맛소라 학파의 활동
-A.D 5세기에서 10세기 사이에 활동한 학파로 구약성서 본문의 마지막 형태를 고정 전수시킨 학파이다. 이들의 업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성서 본문 파수
->예부터 내려오는 성서 본문을 굳게 지키는 것을 그들의 목표로 삼았다. 그리고 이들은 히브리 성서 본문을 본래 기록자들이 한 그대로 보전 전승시키려고 노력했다.
2)자음의 본문을 표준화
->자음으로 된 본문에 쓰여진 단어대로 라는 것과, 쓰여진 본문대로 읽지 않고 수정하여 읽혀지기 바라는 것을 나눠서 본문 비평을 하여 원본을 찾으려 노력햇다.
3)모음을 창안하여 사용
->맛소라 학자들은 모음을 만들어 자음으로만 된 성서 본문에 정확한 발음을 하로록 모음을 붙였다.
4)엑센트 부호 표시
->문장의 처음,중간, 끝에 엑센트를 만들어 붙여 성서 이해와 낭독하는데에 크게 도움을 주었다.
5)성서의 절 구분 완성
->현재 형태의 절 구분으로 정해지는 위대한 맛소라 학자인 10세기의 벤 아셀에 이르러서 되었다.
6)주해의 기록
->맛소라 학자들은 성서 본문을 연수하여 중요한 주해를 본문의 옆쪽이나 위,아래쪽 혹은 본문의 각 책의 끝에 주로 써 넣었다.
7)공통 표준성서 준비
-> 맛소라 학파들 중 벤 아셀과 벤 납달리가족이 있는데 이들은 각각 표준 맛소라 성서 바본을 준비하여 하나의 공통된 표준 성서를 만드는데 기여했다. 이 벤 아셀의 삽ㄴ이 현대 맛소라 히브리 성서의 기반이 되었고, 이후부터는 본문에 대해 논랄하지 않고, 또 인쇄술의 발달로 변동이 없게 되었다.
제 7장 - 구약성서의 고대 역본
구약성서는 히브리어로 기록되어 있고, 다만 에스라서, 예레미야, 다니엘의 일부가 아랍어로 기록되었다. 그러므로 이 원어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여러 나라의 방언으로 번역되어야 했다.
Ⅰ.헬라어 역본
1.명칭과 기원
-헬라어 역본은 히브리어 사본을 헬라어로 번역했기 때문에 70인역 혹은 알렉사드리아 역본이라고도 불린다. 그러나 그 명칭의 기원은 분명치 않다.
기독교 교회에서 이 70인역을 받아들여 성서로 사용하기 지학하자 기원전 100년 경부터는 유대인들 사이에서 권위가 상실되었따,. 그 이유는 성서가 독교회의 성서처럼 되어 버렸기 때문이다. 결국 유대교에서는 그 권위를 별로 인정지 않기에 이르렀고 오늘날 현존하는 70인역 사본의 대부분이 기독교 교회의 건들이 되었다.
2.헬라어 역본의 사본들
-4세기경에 기록된 것으로 추정되며 rndirr과 신약이 모두 기록되어 있는 바티칸 사본, 역시 4세기결에 쓰여졌고 구약성서 본문과 신약 성서 전부가 기록되어진 시내산 사본, 5세기경에 기록된 것으로, 사무엘상과 시편의 일부분을 제외한 구약 전부가 완전하게 기록되어 있는 알렉산드리아 사본이 등이 있다.
3. 70인역 외 헬라어 역본
1)아
1.미드라쉬
-미드라쉬는 구약성서 주석서인데 구약성서를 교리적, 설교적으로 설명한 교훈을 담고 있어 성서 본문 비평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2.토세프타
-이느 탄나임학파의 교훈과 전통을 수집하여 기록한 것이다. 이들은 주로 생략된 부분을 보충, 첨가하여 기록햇다.
3.탈무드
-교훈을 뜻하는 말로 유대인의 구전적 율법과 성서를 해석한 문학이다. 이것은 다음의 두 부분으로 구분된다.
A 미쉬나 - 이것은 미드라쉬의 주석서라 할수 있는데, 모든 구전적 율법을 요약하여 기록하고 전통과 성서 본문에 대한 설명으로 기록되었따. 이 설명과 교훈은 이스라엘인, 특히 유대교의 생활에 종교적 기준,풍슴, 생활방법을 제공하였다.
B 게마라 - 완정, 보충을 뜻하는 말로 미쉬나의 주석서라고 볼 수 있는 미쉬나를 더욱 자세히 설명해 주는 것이다.
4.맛소라 학파의 활동
-A.D 5세기에서 10세기 사이에 활동한 학파로 구약성서 본문의 마지막 형태를 고정 전수시킨 학파이다. 이들의 업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성서 본문 파수
->예부터 내려오는 성서 본문을 굳게 지키는 것을 그들의 목표로 삼았다. 그리고 이들은 히브리 성서 본문을 본래 기록자들이 한 그대로 보전 전승시키려고 노력했다.
2)자음의 본문을 표준화
->자음으로 된 본문에 쓰여진 단어대로 라는 것과, 쓰여진 본문대로 읽지 않고 수정하여 읽혀지기 바라는 것을 나눠서 본문 비평을 하여 원본을 찾으려 노력햇다.
3)모음을 창안하여 사용
->맛소라 학자들은 모음을 만들어 자음으로만 된 성서 본문에 정확한 발음을 하로록 모음을 붙였다.
4)엑센트 부호 표시
->문장의 처음,중간, 끝에 엑센트를 만들어 붙여 성서 이해와 낭독하는데에 크게 도움을 주었다.
5)성서의 절 구분 완성
->현재 형태의 절 구분으로 정해지는 위대한 맛소라 학자인 10세기의 벤 아셀에 이르러서 되었다.
6)주해의 기록
->맛소라 학자들은 성서 본문을 연수하여 중요한 주해를 본문의 옆쪽이나 위,아래쪽 혹은 본문의 각 책의 끝에 주로 써 넣었다.
7)공통 표준성서 준비
-> 맛소라 학파들 중 벤 아셀과 벤 납달리가족이 있는데 이들은 각각 표준 맛소라 성서 바본을 준비하여 하나의 공통된 표준 성서를 만드는데 기여했다. 이 벤 아셀의 삽ㄴ이 현대 맛소라 히브리 성서의 기반이 되었고, 이후부터는 본문에 대해 논랄하지 않고, 또 인쇄술의 발달로 변동이 없게 되었다.
제 7장 - 구약성서의 고대 역본
구약성서는 히브리어로 기록되어 있고, 다만 에스라서, 예레미야, 다니엘의 일부가 아랍어로 기록되었다. 그러므로 이 원어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여러 나라의 방언으로 번역되어야 했다.
Ⅰ.헬라어 역본
1.명칭과 기원
-헬라어 역본은 히브리어 사본을 헬라어로 번역했기 때문에 70인역 혹은 알렉사드리아 역본이라고도 불린다. 그러나 그 명칭의 기원은 분명치 않다.
기독교 교회에서 이 70인역을 받아들여 성서로 사용하기 지학하자 기원전 100년 경부터는 유대인들 사이에서 권위가 상실되었따,. 그 이유는 성서가 독교회의 성서처럼 되어 버렸기 때문이다. 결국 유대교에서는 그 권위를 별로 인정지 않기에 이르렀고 오늘날 현존하는 70인역 사본의 대부분이 기독교 교회의 건들이 되었다.
2.헬라어 역본의 사본들
-4세기경에 기록된 것으로 추정되며 rndirr과 신약이 모두 기록되어 있는 바티칸 사본, 역시 4세기결에 쓰여졌고 구약성서 본문과 신약 성서 전부가 기록되어진 시내산 사본, 5세기경에 기록된 것으로, 사무엘상과 시편의 일부분을 제외한 구약 전부가 완전하게 기록되어 있는 알렉산드리아 사본이 등이 있다.
3. 70인역 외 헬라어 역본
1)아
추천자료
고고학으로 본 구약 속의 역사
[신학]구약성경과 신약성격의 관계 및 차이점
[성서해석][성경해석]성서해석(성경해석)의 영역, 설교를 위한 성서해석(성경해석), 크리스챤...
[성경해석][성서해석]성경해석(성서해석)의 시대별 특징과 요소, 성경해석(성서해석)의 비개...
[성서][성경][참으심][언약]성서(성경)의 목적, 성서(성경)의 참으심, 성서(성경)의 언약, 성...
[성경][성서][믿음][초청][생명의 기원][일곱교회]성경(성서) 믿음, 성경(성서) 인간관계, 성...
[성서][성경][예언][팀목회]성서(성경)의 권위, 성서(성경)의 해석, 성서(성경)의 예언, 성서...
[성경][성서][희년][팀목회][천문학][주님의 역사][땅의 회복]성경(성서) 목적, 성경(성서) ...
[성서][성경]성서(성경)의 가르침, 성서(성경)의 사명, 성서(성경)의 종말관, 성서(성경)의 ...
[성서][성경][죄][해석학][신앙][리더십][금속]성서(성경)의 참으심, 성서(성경)의 황금률, ...
[성경][성서]성경(성서)의 유신론과 진화론, 성경(성서)의 효율과 정의, 성경(성서)의 경제학...
[성경][성서][천부인권][설교]성경(성서)의 출애굽기, 성경(성서)의 전천년설, 성경(성서)의 ...
거룩한 전쟁 (구약신학의 주제 : 거룩한 전쟁은 정당한가?(여호수아를 중심으로))
천국과 지옥, 낙원과 음부-구약본문, 고대 문헌, 신약본문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