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CC,LC 케이스스터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HCC,LC 케이스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문헌고찰

연구기간 및 방법

간호과정
-간호사정

.개인력
.건강력
(현병력/과거력/가족력)
.간호력
.신체검진
.진단을 위한검사
.치료및 경과
.간호과정 적용
(간호진단/간호사정/간호목표/간호중재/수행/평가)
.결론

본문내용

치료 방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3) 간성혼수
단백질 대사의 결과 체내에서는 항상 유독한 암모니아가 생성된다. 간은 암모니아를 요소로 변환시켜 해독하는 작용을 하는데, 간경변증으로 인해 간기능이 저하되면 암모니아가 제대로 처리되지 못해 신경계에 나쁜 결과를 초래한다. 간성혼수는 사람이 혼미해지고 심하면 혼수 상태에 빠져 사망하게 되는 무서운 합병증이다. 보통 만성간질환이 있으면 단백질이 많이 함유된 넉넉한 식사를 권하는데, 간성혼수가 있을 경우에는 단백질 섭취를 극도로 제한해야 한다.
#. 간성혼수가 잘 오는 조건
1. 변비
2. 과량의 단백질 섭취
3. 위장출혈 (변이 새까맣게 나오는 경우)
4. 복수의 지나친 조절(과량의 이뇨제)
5. 탈수
6. 염증
7. 안정제 복용
# 간성 혼수의 치료
간성 혼수의 치료는 간성 혼수가 올 만한 원인을 가려내어 그 원인을 없애는 것이다. 즉 변비가 있으면 변비를 해결하고, 출혈이 있으면 지혈하고, 탈수가 있으면 보충을 하고, 염증이 있으면 염증을 치료하는 등이다. 만일 출혈이나 염증이 있어서 혼수가 오는 경우는 곧바로 입원 치료하는 것이 좋으며, 혼수 정도가 심한 경우도 입원 치료하여야 한다
1. 식이요법으로 단백(고기, 우유 등) 섭취를 줄인다.
2. 설사를 시키기 위하여 듀팔락이라는 물약을 투여한다. 때로는 듀팔락으로 관장을 시키기도 한다.
3. 복수 치료로 이뇨제를 복용하는 분은 이뇨제를 중단한다.
이렇게 치료하면 대부분의 환자는 곧바로 좋아지게 된다. 그러나 문제는 한 번 간성 혼수가 발생하면 반복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렇듯 간성 혼수가 발생한다는 것은 그만큼 간기능이 나빠졌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오래 살기는 힘들다고 볼 수 있다. 한 가지, 근본적인 치료는 간이식을 받는 것이다.
4) 자발성(自發性) 복막염(腹膜炎)
정상 성인에서 저절로 복막염이 생기는 경우는 없다. 위나 장이 터져 내용물이 흘러나오거나 외상을 입거나 췌장염이 심한 경우 복막염이 발생하는데, 이와같이 선행 원인이 있는 상태에서 발생하는 복막염을 이차성(二次性) 복막염이라고 부fms다. 그러나 간경변증으로 인해 복수가 차 있는 상태에서는 위와 같은 선행 원인들이 없이 저절로 세균성 복막염이 올 수 있다. 자발성 복막염은 사망율이 높은 무서운 합병증이다.
5) 간신증후군(肝腎症候群)
진행된 간경변증 환자에서는 신장 기능의 문제가 발생하는 일이 적지 않다. 이는 신장 자체에 문제가 있어서 그러는 것이 아니라, 체내 수분 균형이 맞지 않기 때문에 신장 기능의 저하가 오는 것이다. 복수가 있으면 조절을 위해 이뇨제(利尿劑)를 쓰거나 복수를 직접 빼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도 수분의 균형이 흔들려 신장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간신증후군이란 간경변증으로 인해 신장 기능이 극단적으로 저하된 상태로서 대개 어떤 치료를 해도 회복하기 어렵다
6 간경변증의 치료
- 약물요법
- 출혈및 영양 부족으로 인한 빈혈 치료에 철함유 제제를 지시받을수 있음
- 수분 저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이뇨제(spironolactone, furosemide)
- 암모니아 축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Neomycin과 같은 항생제
- 미세 담도성 간경변에는 우르소데옥시콜린산을 사용할 수 있음
간세포암
일반적으로 간암이라 하면 원발성 간암을 말하며 간세포암과 담관암으로 나누어 진다 우리나라의 경우 간세포암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간의 원발성암 중에는 담관암도 포함되지만, 암의 생물학적 특성, 진행되는 자연경과 등이 간세포암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인다. 간세포암은 Edmondson-Steiner가 제안한 분화도를 기준으로 하는 분류법에 따라서 4가지(I형 고분화형, II형, 중등도 분화형, III형 저분화형, IV형 미분화형)으로 구분된다. B형 간염바이러스, C형 간염바이러스 및 각종 원인에 의한 간경변증, 선천성 대사성 간질환 등이 간암의 원인 질환이다. 또한 aflatoxin-B1 이나 vinyl chloride 같은 독성화학물질도 간세포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B형 혹은 C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간세포암 발생위험도가 60~200배 정도로 높고, 간경변증이 있으면 간세포암 발생위험도가 1000배 이상으로 증가된다.
- 양성 간종양: 간의 선종으로 주로 20대와 30대의 여성에게 발생,
종양의 발병에 호르몬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보임
이 종양은 양성임에도 불구하고 혈관분포가 많아 위험
-악성 간종양
원발성 간세포암은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암중의 하나
- 전이성 간종양
간은 높은 비율의 혈행, 크기, 주요한 복부 장기로부터의 문맥배액 때문에 전이가 잘 일어나는 기관이다. 미국의 경우에는 전이성 간암이 원발성 간암보다 20배나 많이 발생한다.
간암과 간염바이러스
간세포암의 원인은 전세계적 규모로 보았을 때 몇 가지가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로 제한하면 그 대부분이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이라고 생각되어진다. 간염바이러스에는 A, B, C, D, E, F 등의 종류가 있으며, 아주 최근에 G형이 발견되었다. 우라나라에서 문제가 되고있는 것은 A, B, C의 세 종류인데 이중 간암과 관계되는 것은 B, C의 두 종류이다. B형, C형간염바이러스의 검사가 가능하게 된 1990년 이후의 통계에 의하면, 간암의 수술을 받은 분들 중 85%는 B형 또는 C형의 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었다.
이들 B형, C형간염바이러스가 정상간세포에 작용하여 돌연변이를 일으켜 암화시킨다고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이 간암에 걸리기 쉬운 「간암의 고위험군」으로 취급된다.
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대부분은 「간염」이라는 병에 걸리게 된다. 그 증상에는 전신권태감, 식욕부진, 소변의 농염 (소변의 색이 홍차처럼 짙어지는 것), 더 나아가 황달 등이 있다. 그러나 자각적으로는 아무런 이상한 징조가 없으며 자연적으로 치유되기도 한다. 또 간염바이러스가 신체로 침입 (이것을 「간염에 감염되었다」고 합니다.)하는 것만으로 반드시 「간염」에 걸리는 것은 아니다. 간염바이러스가 건강한 인체와 공생공존하면서 「사람이 아무런 신체적 피해를 받지 않으며, 간염바이러스도 사람의 몸에서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07.04.09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31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