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동기
Ⅱ. 자료 및 방법
1. 입원기간
2. 병동
3. 대상
4. 연구방법
Ⅲ.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치료
Ⅳ.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도구
2) 투약중인 약물
3) 검사 자료
4) 자료 분석
2. 간호진단
3. 우선순의에 따른 간호 목표, 계획, 수행, 평가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1. 동기
Ⅱ. 자료 및 방법
1. 입원기간
2. 병동
3. 대상
4. 연구방법
Ⅲ.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치료
Ⅳ.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도구
2) 투약중인 약물
3) 검사 자료
4) 자료 분석
2. 간호진단
3. 우선순의에 따른 간호 목표, 계획, 수행, 평가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위해 필요하다.
급성 기관지염의 대부분의 원인은 바이러스이기 때문에 항생제치료에 효력이 없다. 그러나 박테리아성 급성 기관지염과 감별 진단을 쉽게 할 수 없으면 항생제로 치료를 하기도 한다.
실내의 습도를 적절하게 조절하고 수분을 적절히 섭취한다. 기침할 때 가래를 쉽게 뱉게 수분을 적절히 취한다.
바이러스성 급성 기관지염으로 인한 기침 치료를 하는 데 안전하고 효력이 좋고 이상적인 기침약은 없다. 코데인이나 하이코민 등 강력한 기침약으로 기침 치료를 할 때는 기침약이 뇌 기침중추의 기능을 둔화시켜 기침을 덜 나게 한다. 그러나 치료하는 동안 기관지 속에 가래가 생기지 않게 할 수도 없고 가래를 쉽게 뱉을 수 있게 할 수도 없다. 그리고 기관지 내에 가래가 많이 차도 기침을 잘 하지 않을 수 있다. 강력한 기침약으로 기침을 치료하면 가래로 기도 속이 막힐 정도로 가래가 많이 생겨도 기침을 정상적으로 할 수 없기 때문에 기도가 가래로 막혀 호흡곤란이 심하게 생길 수 있다. 기침을 더 이상 하지 않을 때까지 될 수 있는 한 강력한 기침약으로 기침을 치료하지 않는 것이 좋다.
심하게 앓으면서 구미가 떨어지고 탈수 될 때는 포도당 전해질용액 정맥주사로 탈수를 예방 치료한다. 따라서 산소호흡 치료를 하며 열이 나고 목안이 아프면 타이레놀으로 해열 진통시킨다.
하부기도 감염의 비교
기관지염
천식성 기관지염
세기관지염
바이러스성 폐렴
정의
상부기관지와 하부기관의
감염
천식 형태의 기관지 감염
세기관지의 염증
가장 흔한 하부기도 감염 중의 하나
폐실질의 염증
원인
바이러스(paramyxovirus, RSV, adenovirus), 박테리아, 곰팡이, 알러지, 공기오염
바이러스, 상기도 감염의 원인균
바이러스 , 대부분 RSV에 의하며 adenovirus, parainfluenza virus, Mycoplasma pneumonia에 의해 발생하기 함
RSV, parainfluenza virus와 adenovirus
연령
4세까지
1~4세
6개월에 가장 잘 발생, 2세 이후 드물다
모든 연령.
RSV 의한 폐렴은
대부분 3세까지
발병
보통 바이러스 상기도 감염이 선행되나 Croup이나 Pneumonia 같은 질병 이후
감염에 대한 기관지의 과잉반응으로 발생
경한 상기도 감염으로 시작
급성 증상은 보통 폐질환을 선행한다.
임상증상
마른기침(밤에 심해짐)으로 시작해 2~3일내에 분비물이 있는 기침이 된다. 수포음과 나음이 질병진행시 들릴 수 있다.
기침
천식음
빈호흡, 흉부견축, 발작적 천명성 기침; 환자는 불안정, 호흡곤란, 지연되는 호기가 있다. 수포음, 천명, 나음은 폐 곳곳에 들린다. 폐쇄된 곳의 호흡소리는 감소된다. X-선 촬영상 범발성 폐 과다팽창과 기관지 주변의 침윤이 간질성 폐렴을 암시한다. 흩어져 있는 경화 부위는 무기폐나 폐포의 염증에 의한 것이다.
기침, 천명, 거친 수포음, 잦은 고열, 두통, 쇠약, 근육통이 나이든 아동에게 나타난다.
치료
진해제 투여
Ribavirin 투여
증상완화요법
기관지 확장제 투여
휴식, 수분, 습화된 산소로 치료된다. 기관지 확장제, 진정제와 corticosteroid는 적용되지 않는다.
증상완화 요법. 기관지 확장제 투여.
항생제는 사용되지 않는다.
Ⅳ. 간호과정
1. 간호사정(Assessment)
1)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도구
(1) 일반적 정보(정보제공자 : 어머님)
이름 : 심○○
나이 : 2세
성별 : F
주소 : ○○○○○○○○○○○○
종교 : 기독교
가족사항 :
입원일 : 2006년 10월 19일
입원경로 : 외래
(2) 기본욕구에 대한 정보
① 안전과 안정
입원동기 : 기침, 열, 콧물의 증상이 나타나 외래로 진료한 다름 입원
질환에 대한 심리상태(불안정도) : 어리고 자신의 질병에 대한 자각이 없으나 불안해함, 부모님은 안 좋아 질까봐 불안해 하심
② 영양과 배설
식사습관 : 잘 드심
배설습관
- 대변 : 1일 1회, 정상적인 양상, 동통이나 출혈 없음, 그러나 환경이 바뀌면 변비가 나타남
- 소변 : 1일 7~8회 보심. 잘 가림
③ 활동과 휴식
수면습관 : 9~10시간. 잘 주무심
활동 능력의 범위 : 잘 놀음
④ 호흡
호흡곤란 : 있음(기침, 콧물, 그르렁 거리는 소리가 남)
(3) 건강에 관련된 정보
① 과거력(past history)
그동안 앓아온 주요 질병 : 태어날 때부터 폐기능, 심장이 좋지 않고 경기를 가지고 있음
알레르기 여부 : 우유(잘못 먹으면 볼쪽으로 청색증이 나타남)
② 현병력 : Bronchitis
③ 신체검진(physical finding)
동통 : 없음
마비 및 쇠약 : 없음
기형 및 시청력 장애 없음
피부 색상태 정상
입원 당시 V/S
-맥박 : 120회/min -호흡 : 24회 - 체온 : 37.4℃
키/체중 : 88cm/13kg
최근 투약상태 : 테그레톨(오르필) : ○○병원에서 1달에 1번씩 타서 복용중
미열이 있음
④ 의식 및 정서 상태
지남력 : 시각, 장소, 사람 모두 지남력이 있음
의식 명료, 의사소통 원만하지 않음(아직 말을 잘 알아 듣지 못함) , 정서 상태는 불안
2) 투약중인 약물
분류
medication
iv
이부서스펜 시럽
암브로콜 시럽
뮤코펙트
페니라민
아토크건조시럽
염화나트륨포도당(1:4)
세트라졸
아디칸
이부서스펜 시럽(ibprofen)
- 분류 : 해열, 진통, 소염
- 효능/효과 : 감기로 인한 발열 및 동통, 요통, 월경곤란증, 수술후 동통, 규마티양 관절염, 연소성 류마티양 관절염, 골관절염(퇴행성 관절질환), 두통, 치통, 근육통, 신경통, 급성 통풍, 건선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연조직 손상(염좌, 좌상), 비관절 류마티스질환(건염, 건초염, 활액낭염)
경증 및 중등고의 동통, 감기
- 용법/용량
소아는 다음 1회 용량을 1일 3~4회 : 11~14세 10~13ml, 7~8세 8~10ml, 3~6세 5~8ml, 1~2
체중 30kg 미만인 소아는 1일 최대 500mg, 공복시 투여 피함
- 금기 : 소화성 궤양, 심한 혈액이상간장애신장애심기능부전고혈압, 본제 과민증자, 기
급성 기관지염의 대부분의 원인은 바이러스이기 때문에 항생제치료에 효력이 없다. 그러나 박테리아성 급성 기관지염과 감별 진단을 쉽게 할 수 없으면 항생제로 치료를 하기도 한다.
실내의 습도를 적절하게 조절하고 수분을 적절히 섭취한다. 기침할 때 가래를 쉽게 뱉게 수분을 적절히 취한다.
바이러스성 급성 기관지염으로 인한 기침 치료를 하는 데 안전하고 효력이 좋고 이상적인 기침약은 없다. 코데인이나 하이코민 등 강력한 기침약으로 기침 치료를 할 때는 기침약이 뇌 기침중추의 기능을 둔화시켜 기침을 덜 나게 한다. 그러나 치료하는 동안 기관지 속에 가래가 생기지 않게 할 수도 없고 가래를 쉽게 뱉을 수 있게 할 수도 없다. 그리고 기관지 내에 가래가 많이 차도 기침을 잘 하지 않을 수 있다. 강력한 기침약으로 기침을 치료하면 가래로 기도 속이 막힐 정도로 가래가 많이 생겨도 기침을 정상적으로 할 수 없기 때문에 기도가 가래로 막혀 호흡곤란이 심하게 생길 수 있다. 기침을 더 이상 하지 않을 때까지 될 수 있는 한 강력한 기침약으로 기침을 치료하지 않는 것이 좋다.
심하게 앓으면서 구미가 떨어지고 탈수 될 때는 포도당 전해질용액 정맥주사로 탈수를 예방 치료한다. 따라서 산소호흡 치료를 하며 열이 나고 목안이 아프면 타이레놀으로 해열 진통시킨다.
하부기도 감염의 비교
기관지염
천식성 기관지염
세기관지염
바이러스성 폐렴
정의
상부기관지와 하부기관의
감염
천식 형태의 기관지 감염
세기관지의 염증
가장 흔한 하부기도 감염 중의 하나
폐실질의 염증
원인
바이러스(paramyxovirus, RSV, adenovirus), 박테리아, 곰팡이, 알러지, 공기오염
바이러스, 상기도 감염의 원인균
바이러스 , 대부분 RSV에 의하며 adenovirus, parainfluenza virus, Mycoplasma pneumonia에 의해 발생하기 함
RSV, parainfluenza virus와 adenovirus
연령
4세까지
1~4세
6개월에 가장 잘 발생, 2세 이후 드물다
모든 연령.
RSV 의한 폐렴은
대부분 3세까지
발병
보통 바이러스 상기도 감염이 선행되나 Croup이나 Pneumonia 같은 질병 이후
감염에 대한 기관지의 과잉반응으로 발생
경한 상기도 감염으로 시작
급성 증상은 보통 폐질환을 선행한다.
임상증상
마른기침(밤에 심해짐)으로 시작해 2~3일내에 분비물이 있는 기침이 된다. 수포음과 나음이 질병진행시 들릴 수 있다.
기침
천식음
빈호흡, 흉부견축, 발작적 천명성 기침; 환자는 불안정, 호흡곤란, 지연되는 호기가 있다. 수포음, 천명, 나음은 폐 곳곳에 들린다. 폐쇄된 곳의 호흡소리는 감소된다. X-선 촬영상 범발성 폐 과다팽창과 기관지 주변의 침윤이 간질성 폐렴을 암시한다. 흩어져 있는 경화 부위는 무기폐나 폐포의 염증에 의한 것이다.
기침, 천명, 거친 수포음, 잦은 고열, 두통, 쇠약, 근육통이 나이든 아동에게 나타난다.
치료
진해제 투여
Ribavirin 투여
증상완화요법
기관지 확장제 투여
휴식, 수분, 습화된 산소로 치료된다. 기관지 확장제, 진정제와 corticosteroid는 적용되지 않는다.
증상완화 요법. 기관지 확장제 투여.
항생제는 사용되지 않는다.
Ⅳ. 간호과정
1. 간호사정(Assessment)
1)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도구
(1) 일반적 정보(정보제공자 : 어머님)
이름 : 심○○
나이 : 2세
성별 : F
주소 : ○○○○○○○○○○○○
종교 : 기독교
가족사항 :
입원일 : 2006년 10월 19일
입원경로 : 외래
(2) 기본욕구에 대한 정보
① 안전과 안정
입원동기 : 기침, 열, 콧물의 증상이 나타나 외래로 진료한 다름 입원
질환에 대한 심리상태(불안정도) : 어리고 자신의 질병에 대한 자각이 없으나 불안해함, 부모님은 안 좋아 질까봐 불안해 하심
② 영양과 배설
식사습관 : 잘 드심
배설습관
- 대변 : 1일 1회, 정상적인 양상, 동통이나 출혈 없음, 그러나 환경이 바뀌면 변비가 나타남
- 소변 : 1일 7~8회 보심. 잘 가림
③ 활동과 휴식
수면습관 : 9~10시간. 잘 주무심
활동 능력의 범위 : 잘 놀음
④ 호흡
호흡곤란 : 있음(기침, 콧물, 그르렁 거리는 소리가 남)
(3) 건강에 관련된 정보
① 과거력(past history)
그동안 앓아온 주요 질병 : 태어날 때부터 폐기능, 심장이 좋지 않고 경기를 가지고 있음
알레르기 여부 : 우유(잘못 먹으면 볼쪽으로 청색증이 나타남)
② 현병력 : Bronchitis
③ 신체검진(physical finding)
동통 : 없음
마비 및 쇠약 : 없음
기형 및 시청력 장애 없음
피부 색상태 정상
입원 당시 V/S
-맥박 : 120회/min -호흡 : 24회 - 체온 : 37.4℃
키/체중 : 88cm/13kg
최근 투약상태 : 테그레톨(오르필) : ○○병원에서 1달에 1번씩 타서 복용중
미열이 있음
④ 의식 및 정서 상태
지남력 : 시각, 장소, 사람 모두 지남력이 있음
의식 명료, 의사소통 원만하지 않음(아직 말을 잘 알아 듣지 못함) , 정서 상태는 불안
2) 투약중인 약물
분류
medication
iv
이부서스펜 시럽
암브로콜 시럽
뮤코펙트
페니라민
아토크건조시럽
염화나트륨포도당(1:4)
세트라졸
아디칸
이부서스펜 시럽(ibprofen)
- 분류 : 해열, 진통, 소염
- 효능/효과 : 감기로 인한 발열 및 동통, 요통, 월경곤란증, 수술후 동통, 규마티양 관절염, 연소성 류마티양 관절염, 골관절염(퇴행성 관절질환), 두통, 치통, 근육통, 신경통, 급성 통풍, 건선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연조직 손상(염좌, 좌상), 비관절 류마티스질환(건염, 건초염, 활액낭염)
경증 및 중등고의 동통, 감기
- 용법/용량
소아는 다음 1회 용량을 1일 3~4회 : 11~14세 10~13ml, 7~8세 8~10ml, 3~6세 5~8ml, 1~2
체중 30kg 미만인 소아는 1일 최대 500mg, 공복시 투여 피함
- 금기 : 소화성 궤양, 심한 혈액이상간장애신장애심기능부전고혈압, 본제 과민증자, 기
키워드
추천자료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 문헌고찰 및 case study
심근경색증(MI)case study
자연분만(NSVD) Case Study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간경변증 (Liver Cirrhosis, LC)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폐렴 (Pneumonia)
CKF 만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A+영어-영문 레포트] Case Study on IKEA - 이케아(IKEA)의 글로벌화 과정, 마케팅,현지화전략
뇌내출혈(ICH) Case Study - 문헌고찰, 간호과정(진단3개)
만성신부전 케이스스터디 (CRF CASE STUDY)
모성간호학실습 자궁경부암 cervix cancer case study
우측어깨회전근개파열, 간호과정,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간호사정, 간호계획,...
림프종(Lymphoma) case study A+
Schizophrenia 정신 분열증 정신간호 case study 간호진단 간호과정 포함
bipolar disorder 조울증 정신간호학 case study 간호진단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수면장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