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아.. 가족들이 박OO님에게 부담을 준 것이 스트레스로 다가왔었겠군요. 그런 스트레스가 있을 때는 어떻게 반응하였었나요?
25.화가 나는 것을 우는 것으로 해결하셨나보군요. 그럼 만약 퇴원해서 그런 상황이 또 오면 어떨 것 같으신가요?
27.그러시군요. 퇴원해서 같은 스트레스가 주어지면 또 울 것 같다고 생각하시나 보네요. 하지만, 그러시다 보면 가족분들은 박OO님 마음을 몰라주게 되지 않을까요? 이런이런 점이 힘들다고 말씀하시는 건 어떨까요?
29.아...가족분들이 박OO님의 말을 듣고 잘 이해해 주지 않을 거라 믿으시는군요.
31.박OO님, 졸리신 것 같은데 좀 주무시는 게 좋을 것 같네요. 그럼 오늘 대화 나눠서 고마웠구요. 오늘은 계획세운 거랑 가족에 대한 스트레스에 대해서 이야기 나눠봤어요. 주무시고 나서 시간이 되면 또 이야기하면 좋겠네요.
2.생활 계획을 지키지 못할 피치못할 이유가 있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4.(문제해결격려)지키지 못한 것에 대해 스스로 비판하기 보다 앞으로 더 잘지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6.(정보제공)도서관에서 책을 빌려볼 수 있도록 이용시간을 알리고 생활 계획 실천에 대한 느낌을 사정하기 위해서
8.(반복하기)대상자가 한 말을 확인하고 그 의미에 대하여 좀 더 알아보기 위해서
10.(요약,바꾸어 말하기)대상자가 말한 내용을 한마디로 정리하고 바꾸어 말하여 확인하기 위해서
12.생활 계획이 어느정도 도움이 된다고 느끼는지 사정하기 위해서
14.(경청)대상자가 말한 내용을 이해하였고 반응을 보이기 위해서
15.(명료화)알아들을 수 없는 말에 대하여 그 의미를 다시 말해줄 것을 요구하기 위해서.
17. (바꾸어말하기) 대상자가 말한 것을 이렇게 이해했음을 표현하기 위해서
19.(침묵) 대상자가 자신이 말한 것을 정리하고 생각할 시간을 주기 위해서
21.(명료화, 확인하기)“부담”의 구체적인 의미를 확인하기 위해서
23.(공감)대상자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있음을 표현하기 위해서
25.(바꾸어 말하기, 미래에 대한 격려)대상자가 퇴원 후 같은 상황을 겪을 때 어떻게 할 것인지 스스로 생각해보도록 하기 위해서.
27.(정보제공)우는 것보다 다른 방법으로 스트레스에 반응하도록 인도하기 위해서
29.(바꾸어 말하기)대상자의 말한 의미를 이렇게 이해했음을 표현하기 위해서
31.(요약)대화의 종결을 알리고 지금까지 한 대화의 주제를 짚어주기 위해서.
2. 대상자분이 먼저 말을 걸어와주셔서 면담시도가 용이하였다. 그래도 치료자가 먼저 다가가는게 더 좋을 것 같다.
4. 격려하는 것은 좋았지만 계획을 실천하는데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말도 같이 하는 것이 좋았을 것 같다.
6. 날짜만 알고 정확한 시간은 알지 못해 아쉽고 개방적 질문을 한 것은 치료적이라고 생각된다.
8-10. 반복도 하고 바꾸어 말하기도 하면서 대상자가 표현한 느낌에 대해서 반영을 사용하지 못한 것이 아쉽다.
14. 대상자가 한 말에 대해서 너무 상투적으로 반응하지 않았나 하는 후회가 든다. 앞으로 더 잘지켜 나갈 수 있도록 격려를 하는 말을 덧붙이는 것도 좋았을 것 같다.
15. 대상자가 말한 것을 분명히 하도록 하는 것은 치료적이라 생각된다.
17. 색깔과 관련되서 색깔이 부모님과 어떤 연관이 있어 말한 건지 물어보는 게 좋았을 것 같고 대상자의 의도를 너무 앞질러 파악한 것 같다.
19. 대상자가 말한 것에 대해서 반영 기술을 사용했다면 더 좋았을 것 같다.ex)부모님이 사이가 좋지 않아 속이 상하신가 봅니다.
21.두리뭉실할 수 있는 부담이란 말에 대해 그 의미를 자세히 말해줄 것을 요청한 것은 치료적이라고 생각된다.
23. 좀 더 공감을 잘 나타내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좋았을 것 같다.
ex) 가족들이 준 부담으로 정말 힘들고 괴로우셨겠어요.
25-27. 생각하기도 싫은 미래의 일을 너무 집착하여 질문한 것 같다. 입원 전의 스트레스 대처기전이 올바르지 않다는 걸 인지하도록 돕는 것이 먼저이다.
29.대상자의 말을 가족들이 믿지 않는 이유를 좀 더 구체적으로 물어봐서 혹시 있을 지 모를 욕구를 사정했어야했는데 그러지 못해 아쉽다.
그날의 평가
1. 치료적 인간관계의 형성단계 - 중간단계
:계획 실천 여부를 관찰하였고 계획실천에 있어 방해가 되는 것은 “잠”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입원 전 스트레스원과 대처기전에 대해 이야기해보고 건설적인 대처기술을 이용하도록 도왔다.
2. 그날의 대화 내용에 대한 평가
: 본 학생과 세운 계획을 잘 실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그 점에서 잘 지켜나갈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대화 도중 잠시 침묵이 흘렀고 대상자분이 가족과 관련된 이야기로 화제를 돌리게 되어 가족과 관련된 이야기를 통해 입원 전 스트레스와 대처기전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았다.
3. 대화 기술에 대한 평가
: 좀 더 신중하게 공감, 반영 기술을 사용하지 못한 것 같다. 대상자의 발음이 정확하지 못하기 때문인 이유도 있으나 반복하기 또는 바꾸어 말하기를 자주 사용하여 대상자가 불편해 할 수 있던 대화였던 것 같다.
다음날의 계획
1. 치료적 인간관계의 형성단계 - 종결단계
:상호 결정한 간호문제의 진전 상황과 성취 여부에 대하여 관찰, 토의해보고 치료적 관계의 종결을 알리기
2. 다음날의 대화 내용에 대한 계획
:본 학생과 함께 했던 계획에 대하여 의견 나누고 스스로 반성해보기. 치료적 관계의 종결에 대한 감정 표현하기
3. 대화 기술에 대한 계획
:대상자가 표현하는 감정에 대하여 반영해주고 앞으로의 계획에 대하여 격려하기.
#5. 2007년 3월 7일 수요일 오전 9시 20분(40분간) 병실
대상자의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학생의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학생 반응의
이론적 근거
대화과정에 대한
평가 및 분석
(병실에서 다른 환자들은 수면 중이고 편지 쓰고 있는 모습)
2.(고개를 들고 웃으며) 보호사님이랑 병동 식구들한테요.
4.좋아요. 보호사님한테 편지줬더니 이 책도 읽으라고 줬어요. 아, 엄마랑 아빠에게도 써야겠다.
6.(편지지를 집어 들며) 네, 엄마한테는 너무 미안해서요.
8.에휴... 날 고생해서 낳아줬는데 이렇게 있으니까요.
10.네... 엄마는 내가 여
25.화가 나는 것을 우는 것으로 해결하셨나보군요. 그럼 만약 퇴원해서 그런 상황이 또 오면 어떨 것 같으신가요?
27.그러시군요. 퇴원해서 같은 스트레스가 주어지면 또 울 것 같다고 생각하시나 보네요. 하지만, 그러시다 보면 가족분들은 박OO님 마음을 몰라주게 되지 않을까요? 이런이런 점이 힘들다고 말씀하시는 건 어떨까요?
29.아...가족분들이 박OO님의 말을 듣고 잘 이해해 주지 않을 거라 믿으시는군요.
31.박OO님, 졸리신 것 같은데 좀 주무시는 게 좋을 것 같네요. 그럼 오늘 대화 나눠서 고마웠구요. 오늘은 계획세운 거랑 가족에 대한 스트레스에 대해서 이야기 나눠봤어요. 주무시고 나서 시간이 되면 또 이야기하면 좋겠네요.
2.생활 계획을 지키지 못할 피치못할 이유가 있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4.(문제해결격려)지키지 못한 것에 대해 스스로 비판하기 보다 앞으로 더 잘지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6.(정보제공)도서관에서 책을 빌려볼 수 있도록 이용시간을 알리고 생활 계획 실천에 대한 느낌을 사정하기 위해서
8.(반복하기)대상자가 한 말을 확인하고 그 의미에 대하여 좀 더 알아보기 위해서
10.(요약,바꾸어 말하기)대상자가 말한 내용을 한마디로 정리하고 바꾸어 말하여 확인하기 위해서
12.생활 계획이 어느정도 도움이 된다고 느끼는지 사정하기 위해서
14.(경청)대상자가 말한 내용을 이해하였고 반응을 보이기 위해서
15.(명료화)알아들을 수 없는 말에 대하여 그 의미를 다시 말해줄 것을 요구하기 위해서.
17. (바꾸어말하기) 대상자가 말한 것을 이렇게 이해했음을 표현하기 위해서
19.(침묵) 대상자가 자신이 말한 것을 정리하고 생각할 시간을 주기 위해서
21.(명료화, 확인하기)“부담”의 구체적인 의미를 확인하기 위해서
23.(공감)대상자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있음을 표현하기 위해서
25.(바꾸어 말하기, 미래에 대한 격려)대상자가 퇴원 후 같은 상황을 겪을 때 어떻게 할 것인지 스스로 생각해보도록 하기 위해서.
27.(정보제공)우는 것보다 다른 방법으로 스트레스에 반응하도록 인도하기 위해서
29.(바꾸어 말하기)대상자의 말한 의미를 이렇게 이해했음을 표현하기 위해서
31.(요약)대화의 종결을 알리고 지금까지 한 대화의 주제를 짚어주기 위해서.
2. 대상자분이 먼저 말을 걸어와주셔서 면담시도가 용이하였다. 그래도 치료자가 먼저 다가가는게 더 좋을 것 같다.
4. 격려하는 것은 좋았지만 계획을 실천하는데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말도 같이 하는 것이 좋았을 것 같다.
6. 날짜만 알고 정확한 시간은 알지 못해 아쉽고 개방적 질문을 한 것은 치료적이라고 생각된다.
8-10. 반복도 하고 바꾸어 말하기도 하면서 대상자가 표현한 느낌에 대해서 반영을 사용하지 못한 것이 아쉽다.
14. 대상자가 한 말에 대해서 너무 상투적으로 반응하지 않았나 하는 후회가 든다. 앞으로 더 잘지켜 나갈 수 있도록 격려를 하는 말을 덧붙이는 것도 좋았을 것 같다.
15. 대상자가 말한 것을 분명히 하도록 하는 것은 치료적이라 생각된다.
17. 색깔과 관련되서 색깔이 부모님과 어떤 연관이 있어 말한 건지 물어보는 게 좋았을 것 같고 대상자의 의도를 너무 앞질러 파악한 것 같다.
19. 대상자가 말한 것에 대해서 반영 기술을 사용했다면 더 좋았을 것 같다.ex)부모님이 사이가 좋지 않아 속이 상하신가 봅니다.
21.두리뭉실할 수 있는 부담이란 말에 대해 그 의미를 자세히 말해줄 것을 요청한 것은 치료적이라고 생각된다.
23. 좀 더 공감을 잘 나타내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좋았을 것 같다.
ex) 가족들이 준 부담으로 정말 힘들고 괴로우셨겠어요.
25-27. 생각하기도 싫은 미래의 일을 너무 집착하여 질문한 것 같다. 입원 전의 스트레스 대처기전이 올바르지 않다는 걸 인지하도록 돕는 것이 먼저이다.
29.대상자의 말을 가족들이 믿지 않는 이유를 좀 더 구체적으로 물어봐서 혹시 있을 지 모를 욕구를 사정했어야했는데 그러지 못해 아쉽다.
그날의 평가
1. 치료적 인간관계의 형성단계 - 중간단계
:계획 실천 여부를 관찰하였고 계획실천에 있어 방해가 되는 것은 “잠”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입원 전 스트레스원과 대처기전에 대해 이야기해보고 건설적인 대처기술을 이용하도록 도왔다.
2. 그날의 대화 내용에 대한 평가
: 본 학생과 세운 계획을 잘 실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그 점에서 잘 지켜나갈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대화 도중 잠시 침묵이 흘렀고 대상자분이 가족과 관련된 이야기로 화제를 돌리게 되어 가족과 관련된 이야기를 통해 입원 전 스트레스와 대처기전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았다.
3. 대화 기술에 대한 평가
: 좀 더 신중하게 공감, 반영 기술을 사용하지 못한 것 같다. 대상자의 발음이 정확하지 못하기 때문인 이유도 있으나 반복하기 또는 바꾸어 말하기를 자주 사용하여 대상자가 불편해 할 수 있던 대화였던 것 같다.
다음날의 계획
1. 치료적 인간관계의 형성단계 - 종결단계
:상호 결정한 간호문제의 진전 상황과 성취 여부에 대하여 관찰, 토의해보고 치료적 관계의 종결을 알리기
2. 다음날의 대화 내용에 대한 계획
:본 학생과 함께 했던 계획에 대하여 의견 나누고 스스로 반성해보기. 치료적 관계의 종결에 대한 감정 표현하기
3. 대화 기술에 대한 계획
:대상자가 표현하는 감정에 대하여 반영해주고 앞으로의 계획에 대하여 격려하기.
#5. 2007년 3월 7일 수요일 오전 9시 20분(40분간) 병실
대상자의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학생의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학생 반응의
이론적 근거
대화과정에 대한
평가 및 분석
(병실에서 다른 환자들은 수면 중이고 편지 쓰고 있는 모습)
2.(고개를 들고 웃으며) 보호사님이랑 병동 식구들한테요.
4.좋아요. 보호사님한테 편지줬더니 이 책도 읽으라고 줬어요. 아, 엄마랑 아빠에게도 써야겠다.
6.(편지지를 집어 들며) 네, 엄마한테는 너무 미안해서요.
8.에휴... 날 고생해서 낳아줬는데 이렇게 있으니까요.
10.네... 엄마는 내가 여
키워드
추천자료
[정신간호]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case study
정신간호case
아동 정신간호
[만성정신질환자, 정신재활간호사업, 재활서비스, 사회적응기술훈련]만성정신질환자와 정신재...
[정신간호학][delusion][망상][irritable behavior]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정신간호학][Bipolar disorder][양극성인격장애]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우...
[CASE STUDY] 정신간호학 알콜중독 케이스 스터디 - 알콜중독 대상자에 관련된 사례연구보고서
정신간호학 실습지침서(조현병간호, 정신간호, 간호진단, 계획,수행, 평가 포함. 조현병)
정신과병동의업무 및 간호사 역할, 정신과병동간호사, 정신간호사 역할, 정신과병동의 업무, ...
2017년 정신건강과간호] 1) 지난 일주일 동안의 자신의 스트레스인식일지 작성 2) 교재 66~68...
2017년 정신건강과간호] 1) 지난 일주일 동안의 자신의 스트레스인식일지 2) 교재 66~68쪽에...
정신간호실습 알코올 케이스, 알콜 중독 케이스, 자존감저하 케이스
2018년 정신건강과간호] 1)지난 1주일 동안의 자신의 스트레스인식일지 작성 2)발견한 내용이...
[정신간호학] case study - (Schizophrenia) 조현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