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시조에 대하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설시조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 ‘사설시조, 개념부터 알자’
(정의, 시조와 차이점)
1. 사설시조의 개념
2. 사설시조의 명칭
3. 사설시조의 범위

본론 - ‘이래야 사설시조다!’
1.형식적 측면에서
2.내용적 측면에서
‘이래서 사설시조다!’
(본문 내용요약, 차별화)

결론

향유계층에 관하여

작가층에 관하여 등

본문내용

종장 첫마디를 3음절로 하는 것)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微細틀(4개의 마디를 ‘음보’단위로 하지 않고 ‘통사의미’ 단위로 하고, 2음보격으로 엮어나가는 융통성을 가짐)만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결국 사설시조의 형식적 틀은
① 통사 의미론적 연결고리를 이루는 3개의 章(초중종장)으로 하나의 時想을 완결한다.
② 각 장은 4개의 통사의미 단위로 구성하되, 각 단위구는 2음보격으로 엮어 짜나가는 길이의 율통성을 갖는다.
③ 시상의 전환과 완결을 위해 종장의 첫 음보는 3음절로 고정시키고, 둘째 음보는 5음 절 이상으로 늘려 변화를 준다. 사설시조는 종장도 확장될 경우가 허다한데, 이 경우 종장 첫마디의 3음절 준수는 중요한 의미를 갖지만(말이 많이 확장되는 환경 속에서도 짧은 마디를 그대로 유지하므로), 둘째마디의 5음절 이상 유지라는 규칙은 말이 많아지는 환경 속에 있으므로 별 의미를 갖지 못한다. 그 대신 둘째마디는 2음보격으로 엮어나가는 융통성이 허용되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
라고 정리할 수 있다. 사설시조의 이러한 형식적 틀의 세가지 원칙에 대하여는 拙稿(2001). 시조의 上體性과 현대적 계승 <時調學論叢>제 17집. 韓國時調學會. p.57. 전후
그 밖에도 사설시조의 초장은 앞의 두 단위구와 뒤의 두 단위구를 同量(음절 지속량이 같음)으로 하려는 형식적 성향을 강하게 보이는데 이는 5장으로 부르는 歌曲昌의 1장과 2장이 時調昌에서 초장으로 통합되고 長短의 길이가 동량인 것과 관계된다. 여기에다 초중종장 가운데 中章이 길어지려는 경향을 갖고 있음도 사설시조의 형식적 특징으로 추가할 수 있다.
이처럼 사설시조는 평시조의 틀을 전범으로 삼아 모방적으로 재현하되, 나만 평시조는 주어진 형식적 틀에 맞추어 엄격하게 音步數를 통제하는 억제발화인데 반해, 사설시조는 거대틀만은 엄격하게 준수하고 미세틀인 음보수는 상당정도 일탈하여 자유롭게 늘이고 사설을 많이 주워 섬겨 素材들을 많이 엮어 짬으로써 텍스트 자체의 재미를 느끼도록 하는 擴張發話에 해당한다. 이 때문에 사설시조를 엮음시조, 습시조, 좀는시조, 말(사설)시조 등으로 부르기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사설시조의 확장발화는 어디까지나 억제발화의 범위내에서의 그것임을 명심해 둘 필요가 있다. 사설시조가 아무리 평시조의 형식을 일탈한다 하더라도 ①의 규칙, 즉 3장으로 시상을 완결해야 한다는 것과 ②의 규칙, 즉 4개의 통사의미 단위구를 준수해야 한다는 것과 ③의 규칙에서 첫마디를 3음절로 시작해야하는 ‘三重의 억제 장치’ 內에서의 일탈이라는 것 때문이다. 결국 사설시조는 ‘억제 속의 확장발화’인 것이다.
평시조와 사설시조의 이러한 형식상의 변화를 대비해 본다면 가장 큰 차이는 각 장을 4개의 마디로 구성함에 있어서 평시조는 ‘4음보’로 완결함에 비해 사설시조는 ‘2음보격의 연속’으로 엮어나간다는 것이다. 즉 율격상으로 사설시조는 평시조의 율격양식인 ‘4음보격’을 일탈하여 ‘2음보격 연속체’로 전환한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이는 율격미학상 커다란 차이라고 할 수 있는데, 잘 알다시피 평시조의 율격양식인 4보격이 창출하는 율동은 動的이라기 보다는 靜的이고, 경쾌하거나 긴박하기보다는 悠長하고 차분해서 정리된 생각의 깊이나 흐트러짐 없는 안정된 정서를 드러내기에 적절하다. 그리하여 절제와 여유를 바탕으로 한 깊은 생각이나 분별력을 앞세우는 감정상태의 표현에 적절해서 理念的이거나 패敎示的인 語調로 흐르는 경향성이 강한 것이다. 이에 비해 사설시조의 율격양식인 2보격은 단순히 2개의 음보로 연속되기 때문에 호흡이 짧고 경쾌하게 몰아가는 경향이 강하다. 그리고 이러한 가벼운 律動구조와 빠를 템포로 인하여 비교적 단순한 생각이나 時想을 直情的으로 표상해 내기에 적절한 步格이라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생각이나 감정을 무게 있게 엮어 나가기에는 부적절하며, 본질적으로 민요적 속성이 강하기 때문에 표출하는 정서는 개인적이기 보다 집단적으로 민요적 속성이 강하기 때문에 표출하는 정서는 개인적이기 보다 집단적 성향이 강한 특성을 갖는다. 律格樣式이 갖는 이러한 특징에 관하여는 成基玉(1986). 韓國詩歌 律格의 理論. 새문사. p.165~210.
그러면서도 사설시조의 2보격은 민요의 2보격과는 차이를 갖는다는 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민요의 2보격은 앞에서 설명한 2보격의 속성을 그대로 드러내지만, 사설시조의 2보격은 평시조의 4보격에서 胎生해서 그것을 깨트리고 나온 2보격이므로 4보격적 속성도 어느 정도 胎生的으로 강하게 깔고 있는 측면도 아울러 지닐 수밖에 없는 점이다. 그만큼 사설시조의 2보격은 4보격과 긴밀하면서도 복잡하고 미묘한 관계속에서 실현되는 양면성 혹은 복잡성을 띠는 율격이라는 점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사설시조에 민요적집단적 성향과 시조 본래의 교시적이념적개인적 성향이 모두 포착 될 수 있음도 이러한 태생적인 율격양식의 특수성에 基因하는 것이다. 한마디로 사설시조의 2보격은 ‘민요조의 2보격’과는 변별되는 ‘사설조의 2보격’이라 命名할 수 있으며 ‘민요조의 2보격’과 ‘사설조의 2보격’의 차이점에 관하여는 앞으로 더 깊은 논의를 할 예정이며 여기서는 일단 문제 제기로 만족하고자 한다. 다만 현재로서 짧은 생각을 말한다면, 前者는 언어적 진술이 생각이나 감정을 길고 깊게 엮어나가기에 부적절하며, 보다 단순 경쾌 발랄하고 直情的인 표출 성향이 강하다면, 후자는 전자보다는 상대적으로 생각이나 감정을 길고 깊게 엮어나가기에 적절하며, 비극적 情感의 토로나 심각한 주제를 다룸에 있어서도 평시조보다는 가볍게 처리 되지만, 민요보다는 훨씬 무게 중심을 가지고 있으며 덜 직정적이라는 차이를 지적할 수 있겠다.
, 律格上으로는 단순한 2보격이 아니라 4보격에서 태생된 2보격이므로 ‘4보격성 2보격’이라 규정할 수 있다. 보다 세부적인 양상은 다음의 작품 예에서 확인해 보자.
(3) 孔夫子ㅣ/ 사람이리로되/ 依然/ 하늘이시라
義理를 프러내여 五倫을 발키시니/ 至愚한 民氓이 졀로셔 어일거다/ 國太平 民安樂/ 이갓튼 太仁君子/ 또 업슬까/ 노라
(4) 재너머/ 莫德 어미네/ 막적이/ 마랑마라
내품에 드러서 돌겟잠 다가/ 니고 코고오고 오

키워드

시조,   사설시조,   형식,   내용
  • 가격2,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07.07.11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01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