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CU case study[Hyperbilirubinemia]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NICU case study[Hyperbilirubinemi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환아의 일반적 사항

2.질병소개- Hyperbilirubinemia

3.간호사정

4.간호진단/계획/수행/평가
-광선요법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본문내용

행하고 기저귀의 접촉 부위의 발적을 자주 사정하여 필요 시 처방에 따라 피부연고를 바른다.
6.적절한 영양섭취를 수행한다.
7.주기적으로 목욕을 시켜준다.
이 론 적
근 거
1.감염의 진행 시 맥박과 호흡, 체온의 상승이 V/S에서 나타날 수 있다.
2.감염의 징후는 환부의 발적, 발열, 부종, 염증 등이 있으며 출혈의 지연은 상처부위의 개방으로 감염될 위험이 크다.
3.같은 병실에 있는 환아를 간호한 뒤 대상자를 간호할 경우 의료인의 손에 의한 교차감염이 발생될 수 있다.
4.피부에 직접 닿는 침구류에는 진드기나 세균으로 인해 신생아의 약한 피부에 손상을 줄 수 있고 기저귀의 느린 교환은 요로감염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5.체위변경을 통해 압력이 가해지는 부위의 피부 손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6.적절한 영양섭취는 신체의 면역력을 증가시킨다.
7.청결 관리의 부족은 가려움과 면역력 감소를 일으켜 피부손상을 줄 수 있다.
간호중재
1.2시간마다 대상자의 호흡, 맥박, 체온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었고 감염의 징후는 보이지 않았다. (7/8~7/11)
평균 V/S (PR-RR-BT)
8일 140~150회/분-40~50회/분-36.7~36.8℃
9일 150~160회/분-40~50회/분-36.7~36.9℃
10일 130~140회/분-40~50회/분-36.6~36.8℃
2.IV line을 잡을 때 알콜 솜으로 소독 후 말린 다음 하고 수유시, 기저귀 교환 시 등 수시로 site를 확인하여 정맥염, 부종 등의 여부를 관찰하였다. 7/10 IV Site에서 1cm의 발적과 부종이 보였으나 이는 7/11 호전되었고 IV line제거 후에는 알콜솜으로 지혈하면서 플라스타로 붙여주어 수 분간 유지하였다.
(7/8~7/11)
3.업무가 바쁜 관계로 매 간호시마다 손을 씻지는 못하였으나 대상자를 간호하기 전에 곳곳에 비치된 알콜 용액으로 손을 소독한 후 대상자를 간호하였다.(7/8~7/11)
4.자주 용변 여부를 관찰하여 기저귀를 갈아주면서 피부사정을 하였다. 그러나 시트, 융포 등은 우유와 같은 이물이 묻었어도 2~3일간 갈아주지 못하였다.
(7/8~7/10)
5.Supine position과 Prone position을 병행하면서 적절한 체위변경을 수행하였고 후두골, 팔꿈치, 어깨, 천골 쪽에서 피부손상의 여부를 사정하였으나 발견하지 못하였다. 서혜부 아래쪽으로 기저귀가 닿는 부분이 발적이 있었으나 피부연고를 바를 정도는 아니었다.(7/8~7/11)
6.대상자의 Sucking need에 따라 인공수유를 수행하였다. 1회 수유량 40~60cc로 하루 400cc 정도를 수유하였다.(7/8~7/11)
7.대상자가 IV line을 갖고 있기 때문에 통목욕은 수행할 수 없어 물티슈 등으로 하루에 1~2회 부분목욕을 해주었다.(7/8~7/10)
간호평가
대상자는 정상범위 내에서 V/S을 유지하였고 침습적 절차 부위도 7/11 호전되었다. mild한 발적은 있으나 약물이나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은 상태에서 7/11 11AM 퇴원하였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7.20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18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