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한국어의 유형적 특징
2.한국어의 음운 규칙 (예시)
2.한국어의 음운 규칙 (예시)
본문내용
★한국어의 유형적 특징
한국어는 영어를 비롯한 인구어와 여러 가지가 대조적이다.
영어 등 - SVO언어
한국어 - SOV언어
-늘 동사가 문장 끝에 놓이는 동사 문말 언어.
-한국어 = 교착어
-명사가 여러 종류의 조사를 취한다.
-동사(및 형용사)어간에 결합되는 어미가 놀라울만큼 多
-어미가 주요 문법적 기능을 담당.
-시제도 어미에 의해 정해짐.
-서술문, 의문문, 명령문의 여부 어미로 결정.
-경어법도 어미들에 의해 구분됨.
. 한국어는 끝까지 들어봐야 안다! .
-한국어는 형용사도 어미를 취함.
즉 형용사도 동사와 거의 일치하는 활용을 함.
(be동사 없이는 서술어도 안되고 시제도 나타낼 수 없는 영어의 형용사와 다른 점임.)
-한국어에서의 형용사는 독립된 품사라기보다는 동사의 한 하위류라고 하는 편이 나을만큼 동사와 일치하는 점이 多
-어미는 문말에서의 기능 이외에도 여러 가지 기능을 담당함.
(and, because to , if , though 등으로 표현된 것들이 어미 하나로 이루어짐.)
-한국어의 어미는 경어법, 시제 등에서의 미묘한 의미차를 별개의 어미들로 표현할 수 있음.
. 어미가 극도로 발달되어 있는 한국어 .
-한국어에서는 수식어가 반드시 피수식어 앞.
-관형어가 명사 앞 , 부사는 동사 앞.
-명사를 꾸미는 관계절도 명사 앞.
-영어는 전치사, 한국어는 후치사.
-한국어는 왼쪽 가지치기 언어
-한국어는 경어법이 극도로 발달.
-청자가 어떤 신분의 사람이냐에 따라 문말어미를 적절히 바꾸어 적으면 4가지, 많으면 6가지 정도로 달리 표현.
☆음운에서의 특징
-자음 목록에서 영어의 순치음,치간음이 없음.
-폐쇄음 및 마찰음,파찰음에 있는 무성음과 유성음의 대립이 없다.
-평음 - 경음 -격음의 대립이 있다.
-음절말의 자음은 모두 불파음으로 실현.
★한국어의 음운 규칙
언어마다 음소목록은 다르다.
하지만 음소목록이 같다고 하더라고
그 음운들의 연결 양상이 다 다르고,언어마다 음운 규칙도 다르다.
♥ 1.중화
\'중화\'란 원래는 구별되던 소리들이 특정 자리에 오면 구별성을 잃어 버리는 것.
한국어의 자음은 모두 음절말 위치에서 불파화되는 음절말 불파음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음절말 불파음화 성질이 가장 크고 중대하게 적용되는 것이 \'중화\'규칙이다.
특징 1. 음절말에 올 수 있는 자음의 수는
ㄱ,ㄴ,ㄷ,ㄹ,ㅁ,ㅂ,ㅇ 총 7개이다.
특징 2. 폐쇄음의 격음과 경음은 해당 평음으로 바뀐다. ( 부엌->부억 , 잎->입 )
특징 3. 마찰음과 파찰음은 모두 \'ㄷ\'으로 바뀐다. (낫->낟 , 빚->
한국어는 영어를 비롯한 인구어와 여러 가지가 대조적이다.
영어 등 - SVO언어
한국어 - SOV언어
-늘 동사가 문장 끝에 놓이는 동사 문말 언어.
-한국어 = 교착어
-명사가 여러 종류의 조사를 취한다.
-동사(및 형용사)어간에 결합되는 어미가 놀라울만큼 多
-어미가 주요 문법적 기능을 담당.
-시제도 어미에 의해 정해짐.
-서술문, 의문문, 명령문의 여부 어미로 결정.
-경어법도 어미들에 의해 구분됨.
. 한국어는 끝까지 들어봐야 안다! .
-한국어는 형용사도 어미를 취함.
즉 형용사도 동사와 거의 일치하는 활용을 함.
(be동사 없이는 서술어도 안되고 시제도 나타낼 수 없는 영어의 형용사와 다른 점임.)
-한국어에서의 형용사는 독립된 품사라기보다는 동사의 한 하위류라고 하는 편이 나을만큼 동사와 일치하는 점이 多
-어미는 문말에서의 기능 이외에도 여러 가지 기능을 담당함.
(and, because to , if , though 등으로 표현된 것들이 어미 하나로 이루어짐.)
-한국어의 어미는 경어법, 시제 등에서의 미묘한 의미차를 별개의 어미들로 표현할 수 있음.
. 어미가 극도로 발달되어 있는 한국어 .
-한국어에서는 수식어가 반드시 피수식어 앞.
-관형어가 명사 앞 , 부사는 동사 앞.
-명사를 꾸미는 관계절도 명사 앞.
-영어는 전치사, 한국어는 후치사.
-한국어는 왼쪽 가지치기 언어
-한국어는 경어법이 극도로 발달.
-청자가 어떤 신분의 사람이냐에 따라 문말어미를 적절히 바꾸어 적으면 4가지, 많으면 6가지 정도로 달리 표현.
☆음운에서의 특징
-자음 목록에서 영어의 순치음,치간음이 없음.
-폐쇄음 및 마찰음,파찰음에 있는 무성음과 유성음의 대립이 없다.
-평음 - 경음 -격음의 대립이 있다.
-음절말의 자음은 모두 불파음으로 실현.
★한국어의 음운 규칙
언어마다 음소목록은 다르다.
하지만 음소목록이 같다고 하더라고
그 음운들의 연결 양상이 다 다르고,언어마다 음운 규칙도 다르다.
♥ 1.중화
\'중화\'란 원래는 구별되던 소리들이 특정 자리에 오면 구별성을 잃어 버리는 것.
한국어의 자음은 모두 음절말 위치에서 불파화되는 음절말 불파음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음절말 불파음화 성질이 가장 크고 중대하게 적용되는 것이 \'중화\'규칙이다.
특징 1. 음절말에 올 수 있는 자음의 수는
ㄱ,ㄴ,ㄷ,ㄹ,ㅁ,ㅂ,ㅇ 총 7개이다.
특징 2. 폐쇄음의 격음과 경음은 해당 평음으로 바뀐다. ( 부엌->부억 , 잎->입 )
특징 3. 마찰음과 파찰음은 모두 \'ㄷ\'으로 바뀐다. (낫->낟 , 빚->
추천자료
남성어와 여성어의 음운, 어휘의 차이
러시아어(노어) 음운론
국어 지도안( 중학교 3-1 생활국어 4. 음운의 변동)
[국어 임용고시]음운론 - 국어 임용고사 완벽 서브노트
말소리(음운론)와 의미
우리말(한글, 한국어, 국어) 특질, 우리말(한글, 한국어, 국어) 중요성, 우리말(한글, 한국어...
국어(한국어, 우리말) 특질과 형성, 국어(한국어, 우리말) 도상성, 국어(한국어, 우리말) 두...
[리듬][영어][문학예술][바이오][한국어][영어 리듬][문학예술 리듬][바이오 리듬][한국어 리...
제 7 장 음운론 . 언어음의 바탕 요약본입니다.
경기도 방언의 전사 및 음운 문법 어휘 특징
중3) <(국어)과 갑종 지도안 (4/4)> 4. 음운의 변동
[언어치료] 조음 및 음운 장애
전북 정읍시 정해마을 언어사회의 음운변이 연구
소개글